•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handbook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rpos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Based on Korea and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hich was Revised in the Last 20th Century)

  • 임문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135
    • /
    • 2005
  •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lceil$산수과의 목표$\rfloor$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 분석 (An Contents Aanalysis of Number Sense for Elementary School Grade 1-2)

  • 최지선;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13-53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 교육과정, 해설서,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 나타난 수 감각 지도 내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수 감각에 관한 선행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수 감각의 의미와 요소를 규명한 다음, 그것을 이용해서 교육과정, 해설서, 1-2학년 교과서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수 감각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에 관한 학습에서 강조되었던 수와 계산과 더불어 어림을 포함하여, 수와 계산이 필요한 맥락에 적용하는 능력을 강조하는 용어로, 내용 요소와 과정 요소로 구성된다. 이 두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해설서, 1-2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수 감각의 범위가 불분명하고,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하지 않고, 다루고 있는 요소가 제한적이며, 일관되지 않거나 빈약한 상태로 교과서에 구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명과학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이용한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Course with Handbook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Misconceptions)

  • 김은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39-1153
    • /
    • 2013
  • 과학교육에서 오개념은 오래된 주제이지만, 아직도 학교현장에서는 오개념으로 인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들과 초등현장교사들을 위해 초등과학 교과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오개념을 조사 분석하고 이의 교정을 위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예비교사들을 위한 생명영역 교재연구 강좌에 적용하여 과학 교수 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의 교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소책자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결과를 수집하고, 초등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생명영역 단원의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소책자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소책자의 효과 검증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는 총 107명으로 소책자를 활용하여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실험집단이 46명, 소책자를 사용하지 않고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비교반이 61명이었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변량분석과 공변량분석,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를 사용한 실험 집단은 과학교수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고 오개념을 교정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명과학 영역 오개념 교정을 돕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영역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liability: A Neglected Topic in the Power Electronics Curricula

  • Calleja, Hugo;Chan, Freddy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6호
    • /
    • pp.660-666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the approach followed to develop a course that introduces reliability into the design of power electronics converters. The course is part of the curriculum of a master of science in electrical engineering program, and it is aimed at providing reliability tools that can be used in a straightforward manner, while avoiding the mathematical intricacies. The reliability calcul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ilitary Handbook 217, using the evaluation version of a commercial software package which greatly reduces the computational burden usually associated with this task. The course assessment shows that, after attending the cours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 mean time between failures in a power-electronics converter, from a minimum of 5%, up to 100%.

NCS 조경 분야 적용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현황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Four-Year University Curriculum for Introducing NCS Landscape Architecture)

  • 이창훈;김규섭;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4-147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NCS가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 편성에 일부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조경 분야 NCS의 합리적인 수정·보완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NCS 능력단위 체계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커리큘럼)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통폐합되지 않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24개소의 816개 교육과정에 대한 매칭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한 분야별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 표적집단면접법)를 통해 대-중-소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 항목의 대분류, 8개 항목의 중분류, 65개 항목의 세부분류가 도출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에서 구성된 교과목 중 조경설계 과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40.0%로 나타났다. 그 외 생태조경 12.9%, 조경시공 11.3%, 기타 유형에 분류되지 않은 과목 10.2%, 조경정보 10.0%, 조경문화 6.6%, 조경관리 3.7%의 비율로 조사되었다. 추후 NCS의 균형적이고 효율적 수정·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수행준거와 교육목표가 서로 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0개(18.9%), 불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5개(28.3%), NCS 단위능력과 불일치하는 교과목은 총 37과목(56.9%)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NCS에서 제시한 각 능력 단위의 준거기준은 기초적인 지식학습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기초이론내용은 하나의 능력단위가 별도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NCS능력 단위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NCS의 기준은 조경설계 분야에 비해 조경시공과 조경관리 분야의 단위능력에 집중하여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편성에 선수과목의 균형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유형분류 과정에서 각 학교별 간섭요인을 배제한 교육과정편람에 우선 기준하여 분류함에 따라 표면적인 용어에 함축된 세부 과정이 분류군에 포함되지 못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평가기준의 재검토와 기준항목간의 적합성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교과서에 표현된 복소수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분석 (Complex number on textbooks and Analysis on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 박선호;표성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1호
    • /
    • pp.1-19
    • /
    • 2012
  • In this study,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andbook' and 16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by making questionnaires to survey the understanding state on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in textbook was not logically organized. In the introduction of imaginary number unit, two kinds of marks were presented without any reason and it has led to two kinds of notation of negative square root. There was no explanation of difference between delimiter symbol and operator symbol at all. The concepts were presented as definition without logical explanations. Second, students who learned with textbook in which problems were pointed out above did not have concept of complex number for granted, and recognized it as expansion of operation of set of real numbers. It meant that they were confused of operation of complex numbers and did not form the image about number system itself of complex number.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we came over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were too abbreviated to have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chapter in order to remove the burden for learning. Therefore,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logical configuration fit to the level for high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ormal operating stage are required for correct configuration of contents of chapter. Second,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chapter to let students think conceptually and logically.

한국과 미국의 스포츠 물리치료 교육 프로그램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Sports Physical Therapy Education Programs of Korea and USA)

  • 권원안;민동기;이재홍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1호
    • /
    • pp.53-59
    • /
    • 2012
  • Purpose : This thesis aims to explore sports physical therapist program of university of education of korea and usa for the whole process of becoming sports physical therapist and provide better education programs for cultivating sports physical therapist in the future. Methods : This thesis education programs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in Korea and 3 universities in east california region were selected with recommendation of a professional on sports physical therapist in US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t school of education was analyzed using internet survey, phone survey, visitor survey and examination of hand book in korea. in usa, homepage, internet survey, e-mail and examination of handbook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econd, In comparison of required subjects and selective subject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 in Korea and USA, Korea presents the least required subjects for major while USA offer more required subjects for majors. Korea puts focus on education practice while USA offers initial field experience and education practice well connected and organized systematically. Third, comparison of system of professional sports physical therapist, Korea did not establish system of a professional sports physical therapist, USA systematically established system of a professional sports physical therapist. Conclusion : On the basis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PNF association has to need to study hardly about special therapist.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A South Korea-Japan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 서현선;전홍주;민선혜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9-17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보육시설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양국의 식생활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식생활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원본과 해설서 및 지침서 그리고 어린이집 평가인증통합지표를, 일본은 2018년 개정된 보육소보육지침해설과 제삼자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의 경우 보육과정과 평가에서의 중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정은 영양 및 식사예절 등 바르게 먹기의 내용 구성 비중이, 평가지표는 청결 및 위생에 대한 내용 구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경우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는 일관적으로 즐겁게 식사하기 관련 내용이 강조되었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접근 방식에 있어 한국은 음식에 관한 지식중심으로, 일본은 일상적 체험을 통해 식생활교육 내용을 접근하였다. 즉, 한국의 교육은 영양과 식사예절 관련 지식을 통해 바르게 먹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일본은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함께 즐기며 식사하기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식사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성과, 즐겁게 먹기 강조를 위한 일관성 있는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NCS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the NCS Vacational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y)

  • 구양미;정미강;정영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43-2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중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대인관계능력 교육과정 및 내용은 표준화를 위해, NCS 개발 및 운영을 주관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NCS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였다. 표준화된 내용을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이러닝 사례 분석, 교수자 및 전문가 대상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의 타당성과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학생, 교수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이 적절하며, 개발한 이러닝 콘텐츠가 NCS 직업기초능력의 대인관계능력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패션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개발 교육사례 분석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in World Fashion Schools)

  • 이민선;이윤정;이예영;문희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748-76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a of well-known fashion sch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Six fashion schools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graduates included in the Designer Handbook published by Fairchild Books. Two Korean professionals from each school were interviewed either by email or in person, resulting in a total of 12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nagement styles as well as the curricula of these schools include features that enhanced student creativity. The schools are located in major fashion cities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that is maintained to provide hands-on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schools have clear and solid educational goals with instructional styles that provide students significant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he instructors work closely with individual students to guide them through their projects and help develop students' unique styles. The schools utilized the instructions and studio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o help students acquir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behavioral patter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ducators who wish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student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