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outh Korea-Japan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 Suh, Hyun S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Jun, Hong Ju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Min, Sun Hy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서현선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전홍주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민선혜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7.29
  • Accepted : 2018.09.06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find directions for dietary educatio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wo countries' dietary education in thei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Methods: To this e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uidebooks fo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Accreditation Index for Child-care Cent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he handbook for the Child-care Guideline and the Third Party Evaluation in the case of Japan.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showed differences in the focus of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The contents about proper eating such as nutrition and table manners comprised a high portion of the curriculums, whereas the contents about cleanness and hygiene accounted for a high portion of the evaluations. In the case of Japan, its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consistently emphasized contents related to enjoying eating oneself, and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this. Second, in terms of the two countries' approaches to dietary education, South Korea focused on food-related knowledge, whereas Japan mainly created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based on daily experi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ly publicized dietary guidance problem and a need for consistent the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and evaluation indicators in South Kore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yful eating.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보육시설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양국의 식생활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식생활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원본과 해설서 및 지침서 그리고 어린이집 평가인증통합지표를, 일본은 2018년 개정된 보육소보육지침해설과 제삼자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의 경우 보육과정과 평가에서의 중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정은 영양 및 식사예절 등 바르게 먹기의 내용 구성 비중이, 평가지표는 청결 및 위생에 대한 내용 구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경우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는 일관적으로 즐겁게 식사하기 관련 내용이 강조되었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접근 방식에 있어 한국은 음식에 관한 지식중심으로, 일본은 일상적 체험을 통해 식생활교육 내용을 접근하였다. 즉, 한국의 교육은 영양과 식사예절 관련 지식을 통해 바르게 먹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일본은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함께 즐기며 식사하기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식사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성과, 즐겁게 먹기 강조를 위한 일관성 있는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전홍주(2012). 어린이집 교사의 식사지도방법과 지도 과정에서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6(1), 275-303.
  2. 강현구, 이순형(2014). 한국과 일본 영유아 보육제도 비교 연구. 아시아리뷰, 4(1), 139-167.
  3. 고미경(2007). 한국과 일본 유치원교사의 유아행동지도 방법과 의미. 일본교육학연구, 12(1), 169-181.
  4.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누리과정 연령별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6. 김은설, 유해미, 최은영, 최효미, 배윤진, 양미선, 김정민(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7. 김태연, 정현심(2015).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관련 연구 동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109-128.
  8. 문정욱, 서영숙(2008). 어린이집 점심시간의 의미와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51-66.
  9. 박향아, 제경숙(2007).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1.
  10. 법제처(n.d.). 식생활교육지원법. http://www.law.go.kr/법령/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 2018년 7월 2일 인출
  11. 법제처(n.d.).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 http://www.law.go.kr/법령/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에서 2018년 7월 2일 인출
  12. 법제처(n.d.). 영유아보육법. http://www.law.go.kr/법령/영유아보육법에서 2018년 7월 2일 인출
  13. 법제처(n.d.). 유아교육법. http://www.law.go.kr/법령/유아교육법에서 2018년 7월 2일 인출
  14.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4). 돌봄시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사례집. 서울: 중앙아동보호 전문 기관.
  1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5). 2014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 년도 결과보고서. https://knhanes.cdc.go.kr에서 2018년 7월 3일 인출
  16.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2018). 2018년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7. 손유진, 전윤숙(2016). 일본의 한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양성체제 분석. 일본근대학연구, 54, 509- 522.
  18. 손행미(2017). 질적내용분석의 이해와 적용. 대한질적연구학회지, 2, 56-63.
  19. 손흥숙(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20. 신동주, 염지숙, 장혜진(2018). 각 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자질 향상 및 전문성 제고 방안. http://www.prism.go.kr/homepage/origin/retrieveOriginDetail.do?research_id=1092000-201800003에서 2018년 7월 25일 인출
  21. 신혜원, 김의향(2015). 2급예비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보육필수영역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22. 양승희, 조현정, 유지연(2014). 영아 식사지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자율장학 인식 변화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4(1), 91-112.
  23. 여윤재, 권수연(2015). 어린이집 급식시간 중 영유아의 식사행동 실태 및 보육교사의 식사지도방법. 식품과 건강, 43(1), 71-80.
  24. 오연주(2007).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 지침에서 건강영역에 비교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479-503.
  25. 유계숙, 양수진, 조선아(2016).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원인 인식 및 대책 요구도. 육아정책연구, 10(1), 241-268.
  26. 유영규(2017. 12. 18). '원생 강제 식사학대' 어린이집원장 모녀경찰입건.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35087&plink=ORI&cooper=NAVER에서 2018년 7월 23일 인출
  27. 유해미, 유희정, 장경희(2011). 일본의 보육정책 동향 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8. 이순자 , 이금란, 김세곤(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시스템 항목에 관한 한일간 비교. 한국일본교육학회, 12(1), 35-55.
  29. 이유미, 김성숙(2014). 한국과 일본 예비교사의 교사 자질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4(6), 129-148.
  30. 이재연, 김성훈(2018. 5. 8). 식습관훈육 강제로 먹이면 무죄 때리면 유죄.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45416&code=11131100&cp=nv에서 2018년 7월 23일 인출
  31. 이하정(2010). 일본 보육기관에서의 식생활 교육.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295-317.
  32. 임연정(2017). 일본 식생활교육정책의 현황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숙현, 김지현(2017).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 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4), 91-119.
  34. 장주연(2011). 식생활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도 및 요구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은미(2006). 일본, 식육기본법 개요. 세계농업, 70, 56-60.
  36. 조미숙, 전홍주(2016). 만 1세 영아반 교사의 정서적 노동에 대한 경험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6(4), 23-50.
  37. 조용환(1990). 외국교과서 한국관련 내용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에 대한 검토. 교육개발, 12(5), 20-35.
  38. 조채영, 김은주, 임재택(2007).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식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25-150.
  39. 탁명구, 이지은(2015). 주요 선진국의 식생활교육 현황과 시사점. 세계농업, 179, 3-33.
  40. 하지영, 김양은(2014). 보육교사의 영양지식, 급식태도와 급식지도 행동과의 관계: 급식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4(4), 71-85.
  41. 한유미, 이영환, 이진숙, 오연주, 권정윤, 안경온, 박은숙(2004). 스웨덴과 한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급식 지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9(6), 706- 715.
  42. 厚生省(2018). 保育所保育指針解說. http://www.soumu.go.jpで 2018年6月10日に印出
  43. 緫務省(2013). 食育基本法. http://www.mhal.go.jpで 2018年 6月10日に印出
  44. 內閣府(2005). 食育基本法. http://www.cao.go.jpで 2018年 6月10日に印出
  45. 島根県(2013). 日本保育所第3者評価內容評価基準. http://www.pref.shimane.lg.jp/medical/fukushi/chiiki/service_hyouka/hyoukakijun.data/naiyouhyouka-hoikusyo.pdf 2018年6月8日に印出
  46. 全國社會福祉協議會(2007). 三者評価共通評価基準ガイドライン. http://www.shakyo-hyouka.net/guideline/bs280301_1all.pdf 2018年6月8日に印出
  47. Ainuki, T., Akamatsu, R., Hayashi, F., & Takemi, Y. (2013). Association of enjoyable childhood mealtimes with adult eating behaviors and subjective diet-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5(3), 274-278. https://doi.org/10.1016/j.jneb.2012.11.001
  48. Berg-Schlosser, D. (2001). Comparative studies: method and design. In N. J. Smelser & P. B. Baltes(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pp. 2427-2433). Amsterdam: Elsevier.
  49. Marty, L., Chambaron, S., Nicklaus, S., & Monnery-Patris, S. (2018). Learned pleasure from eating: An opportunity to promote healthy eating in children. Appetite, 120, 265-274. https://doi.org/10.1016/j.appet.2017.09.006
  50. Melby, M. K., & Takeda, W. (2014). Lifestyle constraints, not inadequate nutrition education, cause gap between breakfast ideals and realities among Japanese in Tokyo. Appetite, 71, 37-49.
  51. Metcalfe, J. J., Fiese, B. H., & The strong kids 1 research team (2018). Family food involvement is related to healthier dietary intake in preschool-aged children. Appetite, 126, 195-200. https://doi.org/10.1016/j.appet.2018.03.021
  52. Mita, S., Gray, S., & Goodell, S. (2015). An explanatory framework of teachers' perceptions of positive mealtime environment in a preschool setting. Appetite, 90, 37-44. https://doi.org/10.1016/j.appet.2015.02.031
  53. Rozin, P., Fischler, C., Imada, S., Sarubin, A., & Wrzesniewski, A. (1999). Attitude to food and the role of food in life in the U. S. A., Japan, Flemish Belgium and France: Possible implication for the diet-health debate. Appetite, 33, 163-180. https://doi.org/10.1006/appe.1999.0244
  54. Tobin, J. J. (2011). Implicit cultural beliefs and practices in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5(1),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