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for mathematics

검색결과 1,283건 처리시간 0.025초

논리·비판적 사고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obotic programming to promot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임해미;최인선;노선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413-434
    • /
    • 2014
  • Logic lays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is dependent on critical thinking. So it is important that school mathematics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oth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general. MINDSTORMS, a LEGO based programming activity kit,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ool that can be used to enhanc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in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the growth of students' ability to think logically and critically when they used MINDSTORMS activities to learn programming.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e students'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changed from the MINDSTORMS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gramming activities using MINDSTORMS help to enhanc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in students. The students attitude about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became more positive and the activities helped to engage students to think logically and critically. This type of programming activities should be valu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it should be included in a general mathematics curriculum.

우리 나라 수학교육과정 현황 및 TIMSS 연구결과와의 비교분석 (A Curricular Comparison Study with TIMSS)

  • 김민경;노선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37-156
    • /
    • 2001
  • IEA's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from 1994-1995 has placed Korea as one of the top three countries among 45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e 3rd, 4th, 7th, and 8th grade students. While the test scores were excellent, the study also showed that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needed improvements in student attitudes, technology incorporation, and gender difference in achievement. An analysis of the a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program showed that ver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se areas for the past 5 years. Moreover, the progressively declining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for high school students is a problematic phenomena for educators as we believe that mathematics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society. A comparison between the top three TIMSS scoring countries (Korea, Singapore, and Japan) and low scored country (U.S.) was made In this paper. We also compare some of problematic results from TIMSS to those from EERI Curriculum Study implemented in 2000. The study shows that simply using technology and improving student attitudes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improved performance. Most of educators agree that potential for technology is great for both changing the way students learn and improving the attitudes of students. However, improperly implemented technology can hinder rather than help the educational process. Therefore, as we begin to implement and use more and moore technology, it is critical to develop the proper curriculum, training for teachers and research programs to track the progress and to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education for our students. Another TIMSS result shows for all four grade levels(3rd, 4th, 7th, 8th), Korea shows the highest gender difference among all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IMSS data such as this is valuable to benchmark all types of information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what is happening for improvements in math curriculum in Korea. More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to understand bot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ur curriculum so that improvements can be made.

  • PDF

영국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수와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England and Korea, -Focused on the 'Number and Algebra' Domain-)

  • 황혜정;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233-256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England, newly revised in 1998, focused on the 'number and algebra' domain among three major domains of the English curriculum. On the basis of its understanding, this domain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In doing so, this study explored its plans and procedures and established a frame of comparison for the curriculum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is composed of programmes of study and attainment targets. The former sets out what should be taught in mathematics at key stages 1, 2, 3, and 4 and provides the basis for planning schemes of work, and the latter sets out th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that pupils of different abilities and matures are expected to have by the end of each key stage. Attainment targets are composed of eight levels and an additional level of increas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Korea focuses on the formal and systematic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basis of sound understanding of certain mathematical terms or concepts. On the other hand, England tends to deal with numbers more flexibly and naturally through the aquisition of mental methods, calculator use methods, etc, and emphasizes that mathematics be realistic and useful in solving a diverse number of problems confronted in everyday life.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용 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7-527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개발되어 적용이 완성된 시점에서, 그리고 새로이 검정 교과서를 개발하려고 하는 시점에서 현재 실행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바탕을 둔 교과용 도서에 대해 내용적으로 그리고 현장 교사들의 반응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 적용되고 있는 초등 수학과 교과용 도서(수학 교과서, 수학익힘책, 교사용 지도서)에 대하여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고 있는지를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일본 소학교 산수과 신 학습지도 요령 분석

  • 박성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2
    • /
    • 1999
  •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Arithmetic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Japan that will become effective from April 1, 2002. In new curriculum, loaming are highly reduced and mediated. This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the slow and interesting Arithmetic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student-based Arithmetic education, and real life-related Arithmetic education.

  • PDF

한국 아동의 전통놀이에 내재된 수학의 개념 분석 (Analysis of Indwelling Concepts of Mathematics in Korean Childhood Traditional Plays)

  • 계영희;하연희;권미량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3-108
    • /
    • 2018
  • In Nuri curriculum,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presented by 'Our country's plays and arts'. Games in the traditional play culture for children include ones such as tangram, top-spinning game, game of slap-match, sabangchigi. In this paper, we analyse concepts of mathematics in Korean childhood traditional plays. In detail, we show that number concepts, geometric space sense, measure calcul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15 Korean traditional games.

네덜란드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Netherlands - Focused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4호
    • /
    • pp.403-425
    • /
    • 2005
  •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초등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RME에 기초한 초등 수학교육의 실제를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초등 교육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핵심 목표, 네덜란드의 교과서, TAL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시적인 교수 학습 경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E에 기초한 초등 수학교육은 현실 상황의 주제 중심의 통합형 교육과정이며, 자연수와 연산 영역 지도의 특징으로는 수세기, 상황화, 위치화, 구조화, 수준에 기초한 점진적 알고리즘화, 어림의 강조와 계산기의 적절한 사용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해 논의할 문제로 수 개념 지도에서 농도수와 순서수 지도의 균형, 수의 상대적 크기의 지도, 다양한 연산 전략의 지도, 다양한 교수학적 모델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 PDF

교과 융합의 관점에서 분류하기 지도방안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Classification in view of Curriculum Convergence)

  • 김유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193-208
    • /
    • 2018
  • 분류하기는 초등학교 수학, 과학, 국어,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에서 학습해야 할 주요 기능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수학과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고 해석하기 위한 기초 과정으로서 별도의 단원에서 지도되고 있다. 이에 여러 교과에서 분류하기를 지도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수학과의 맥락에서 어떻게 지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관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기준 이외에 상세한 관찰, 조사활동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류 기준을 찾을 필요가 있으며, 분류의 상황 및 목적을 고려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교과 공통의 핵심개념, 탐구기능을 중심으로 한 교과 연계 융합수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 수학 교과서의 순환소수 내용 비교 (Comparison of Recurring Decimal Contents in Korean and Japanese Mathematics Textbooks)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75-39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조화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다룰 때 학습량 적정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에서 차이가 있게 다루는 순환소수를 교육과정의 연계성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수학 내적 연결성의 계통성과 공유성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교육과정의 순환소수를 도입 시기, 내용, 다루는 방법 등을 비교하고, 두 나라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무리수 개념 도입 전인 중학교 2학년에서 순환소수를 정의하고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으로 다루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중학교 3학년에서 무리수를 학습한 후 순환소수의 용어를 간단히 다루고 고등학교 <수학I>에서 순환소수 개념을 다루고 <수학III> 교과목에서 극한 개념을 배울 때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다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학습량 적정화 등을 고려할 때 순환소수를 어떻게 다룰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논의 (A discussion on suitability of register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us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361-378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과정 등재 용어가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등재 용어와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이의 불일치를 찾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등재 용어와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대상으로 수학 용어의 선정과 사용의 적합성에 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어 등재와 관련해서 다음의 다섯 가지 기준을 제안한다. 순수한 일상어는 등재하지 않는다. 순화어는 등재하지 않는다. 초등학교 수학에서만 사용되지만 이미 정착된 용어는 등재한다.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하는 용어는 한 번씩만 등재한다. 정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용어를 지정한다.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도 다음의 세 가지 기준을 제안한다. 교육과정 등재 용어는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하는 동일한 용어는 맥락에 따라 재 정의한다. 공인되지 않은 용어나 꼭 필요하지 않은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