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and wild fish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Genetic Variability Comparison of Wild and Culture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of Korea using Microsatellite Marker

  • Kim, Jung Eun;Hwang, Ju-Ae;Kim, Hyeong Su;Lee, J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4호
    • /
    • pp.317-325
    • /
    • 2020
  •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is an important commercial freshwater fish in Korea. Investig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ured domestic catfish groups is essential for the restora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for increasing local revenue.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genetic diversity studies on wild and cultured catfish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and association of wild and cultured catfish using five microsatellite markers. We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NA) ranged from 9 to 25, wherein the Jeonbuk catfish demonstrated the highest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nd the cultured catfish exhibited the lowest. The 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He) of the wild catfish samples was 0.907, and that of the cultured catfish showed was 0.875. The genetic distances (GD value) among populations of all catfish ranged from 0.138 to 0.242. Jeonnam and Jeonbuk wild catfish were located closest to each other, and the cultured group was separated from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ured catfish was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 the case of the wild group, it is effective in maintaining diversity due to the continuous fry release by the local fish research institute. However, the genetic diversity of cultured catfish declined. Low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slow growth and weakened immunity, and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자연산 및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의 장내세균총 및 장내세균의 약제내성 비교 (Bacterial flora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intestinal bacteria in the wild and cultured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 김석렬;김정호;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7
    • /
    • 2007
  • 볼락은 산업적 잠재가치가 높은 어종으로 각광받으면서 양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왔으나, 장내세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돌산도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볼락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총의 분포와 이들 세균들의 약제 감수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분류의 볼락에서 분리된 균주의 16S rDNA 염기를 바탕으로 장내세균을 동정한 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과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고, 자연산 볼락의 장내에서는 Photobacterium group Acinetobacter group, Bacillus group, Shewanella group, Staphylococcus group 및 marine sediment bacteria group이 우점하고 있었다. 자연산과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의 약제 감수성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9종의 항균제 중 oxytetracycline와 oxolinic acid는 자연산과 양식산이 비슷한 수준의 감수성 나타냈으나, flumequine, erythromycin, norfloxacin, gentamycin, ofloxacin, enrofloxacin 및 ciprofloxacin은 평균 저지대에서 양식산 볼락의 장내세균이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보다 약간 낮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자연산 볼락의 장내세균 또한 감수성 시험 대조균주로 사용한 E. coli ATCC9637 보다 현저하게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는 양식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이 자연 서식 어류생물군의 장내 세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enetic Similarity and Variation in the Cultivated and Wild Carassius carassius Estimated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 Yoon, Jong-Man;Kim, Tae-Sun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1년도 후기 제12차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5
    • /
    • 2001
  • RAPD analysis based on numerous marker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patterns of genetic differentiation ann and within two cultured and wild populations represented by the species crucian carp(Carassius carassius). From RAPD analysis using five primers, a total of 442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in two populations and 273 were found to be specific to a wild population. According to RAPD-based estimates, average number of polymorphic bands in wild population was approximately 1.5 times as diverse as that in cultured. The average level of bandsharing values was $0.40 \pm 0.05$ in wild population, but was $0.69 \pm 0.08$ in cultured population, With reference to bandsharing values and banding patterns, wild population was considerably more diverse than cultured population. Knowledge of the genetic diversity of crucian carp should help in formulating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this aquacultural fish species.

  • PDF

Anaesthetic Tolerance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s schlegeli, Produced for Wild Stock Enhancement

  • Son, Maeng-Hyun;Park, Min-Woo;Myeong, Jeong-In;Kim, Dae-Jung;Kim, Byoung-Hak;Jo, Q-Tae;Jeon, Im-G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85-290
    • /
    • 2001
  • The strength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aised in different hatcheries for wild stock enhancement was evaluated in terms of resistance to an anesthetizing agent, tricaine methane-sulfonate (MS-222), and exposure to drying. The working dosage of MS-222 varied significantly with fish size and hatchery population. Smaller fish were less resistant to the chemical than larger ones. MS-222 effects also differed with fish growth history. The fish cultured in embanked populations showed stronger resistance, earlier recovery, and lower mortality,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land-based tanks or collected from wild stocks. Similar results were seen in juveniles challenged to dry expos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mbanked population of black rockfish is more resistant to anesthetic stress, expressed as anesthesia recovery and mortality, and that this population is healthier than others.

  • PDF

Genetic Similarity and Variation in the Cultured and Wild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Estimated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Yoon, Jong-Man;Park, Hong-Y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470-476
    • /
    • 2002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based on numerous polymorphic band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genetic similarity and diversity among and within two cultured and wild populations represented by the species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From RAPD analysis using five primers, a total of 442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in the two populations and 273 were found to be specific to a wild population. 169 polymorphic bands were also produced in wild and cultured population. According to RAPD-based estimates, the average number of polymorphic bands in the wild population was approximately 1.5 times as diverse as that in cultured. The average number of polymorphic bands in each popul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nd was higher in the wild than in the cultured population. Comparison of banding patterns in the cultured and wild populations revealed substantial differences supporting a previous assessment that the populations may have been subjected to a long period of geographical isolation from each other. The values in wild population altered from 0.21 to 0.51 as calculated by bandsharing analysis. Also, the average level of bandsharing values was $0.40{\pm}0.05 $ in the wild population, compared to $0.69{\pm}0.08$ in the cultured. With reference to bandsharing values and banding patterns, the wild population was considerably more diverse than the cultured. Knowledge of the genetic diversity of crucian carp could help in formulating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this aquacultural fish species and also in evaluating the potential genetic effects induced by hatchery operations.

천연 및 인공 넙치종묘의 성장 단계에 따른 지질조성 및 비타민 E 함량 비교 (Comparison of Lipids and Vitamin E Content with Growth Stages Between Cultured and Wild Olive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 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9-122
    • /
    • 1994
  • 천연 및 인공 넙치 종묘의 성장 단계에 따른 체지질 조성 변화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체의 지질 및 비타민 E 함량은 천연 종묘 보다 인공 종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2) 어체 성장에 따른 지질, 지방산(18: 2n-6, 22: 6n-3) 및 비타민 E 함량 변화는 부화 후 전장 5-10mm 전후의 배합 사료 공급기에서 급격한 증감 현상을 보였다. 3) 어체 지질, 지방산 조성 및 비타민 E 함량은 먹이 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4) 천연 종묘는 인공 종묘에 비해 자연 상태에서 지질 함량이 낮고 고농도의 DHA를 함유하고 있는 천연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국내 시중 유통 자연산 및 양식산 활어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Wild and Cultured Fishes from the Korean Coasts)

  • 목종수;심길보;이태식;송기철;이가정;김성길;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1-568
    • /
    • 2009
  • We determine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muscle of wild and cultured fishes, collected from fish markets located in the eastern (Pohang), western (Gunsan), and southern (Tongyeong) coasts of Korea, from 2004 to 2005. As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heavy metal contents in spring season, the wild fishes contained the range of Cd (0.01-0.08 mg/kg), Cr (ND-0.28 mg/kg), Cu (0.06-1.53 mg/kg), Hg (0.02-0.16 mg/kg), Mn (0.04-1.15 mg/kg), Ni (ND-0.09 mg/kg), Pb (0.03-0.41 mg/kg), and Zn (1.84-6.61 mg/kg). While for the cultured fishes, Cd (0.01-0.05 mg/kg), Cr (ND-0.17 mg/kg), Cu (0.05-0.61 mg/kg), Hg (0.02-0.13 mg/kg), Mn (0.03-0.17 mg/kg), Ni (ND-0.08 mg/kg), Pb (0.03-0.33 mg/kg), and Zn (2.06-6.20 mg/kg) were contained. In summer seas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 in the muscle of the wild fishes were as follows: Cd (ND-0.11 mg/kg), Cr (0.01-0.37 mg/kg), Cu (0.21-1.31 mg/kg), Hg (0.01-0.11 mg/kg), Mn (ND-1.47 mg/kg), Ni (ND-0.26 mg/kg), Pb (0.06-0.48 mg/kg), and Zn (2.94-14.38 mg/kg). In comparis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 in the muscle of cultured fishes were Cd (ND-0.05 mg/kg), Cr (0.13-0.33 mg/kg), Cu (0.19-0.56 mg/kg), Hg (0.05-0.26 mg/kg), Mn (ND-0.14 mg/kg), Ni (ND-0.58 mg/kg), Pb (0.07-0.45 mg/kg), and Zn (2.43-7.53 mg/kg). Also the fall and the winter seas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the fishes showed almost similar with other season, however, Pb was lower and Zn was higher than both spring and summer season. The wild fishes contained the heavy metals a little more than the cultured fishes. We could not observe clear seasonal variation i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ishes. The levels of Hg and Pb in all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s in the fishes set by the Korean Food & Drug Agency for safe human consumption.

천연 및 양식산 담수어의 식품성분 (Food Components of Wild and Cultured Fresh Water Fishes)

  • 김경삼;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11
    • /
    • 1986
  • 한국산 양식어의 식품성분을 개선하기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 가물치, 잉어를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고, 식품성분에 관하여 분석비교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담수어의 일반 성분중 공통적 특징은 천연산은 조단백질 함량이 많고 양식산은 조지질 함량이 많았다. 2. 천연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육 중의 무기질중 나트륨, 칼리움, 칼슘, 마그네슘 등은 분석한 9종의 무기질 총량의 $99.75{\sim}99.90%$를 차지하였으며, 양식산에서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52{\sim}99.92%$의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68{\sim}99.92%$로 많았다. 3. 지질획분은 중성지질이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55.7{\sim}95.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가물치는 인지질이 $24.5{\sim}41.5%$로서 뱀장어, 잉어에 비하여 많았다. 4. 천연산 및 양식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85.0{\sim}95.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 free sterol 및 sterol ester, hydrocarbo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5. 뱀장어와 잉어의 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71.3{\sim}83.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of $12.1{\sim}23.5%$, phosphatidyl serine이 $2.1{\sim}9.8%$로 소량 확인되었다. 또한 가물치의 인지질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50.7{\sim}64.5%$로서 그 함량이 뱀장어와 잉어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phosphatidyl choline은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그 함량이 많았으며 phosphatidyl ethanolamine 및 phosphatidyl serine은 양식산이 많았다. 6.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천연산은 $C_{16:0},\;C_{20:5}$가 많았고, 양식산에는 $C_{18:1},\;C_{18:2}\;,C_{22:6}$이 많았다.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과 유사하였으며, 인지질은 양식산이 $C_{18:1}$$C_{18:2}$가 많았고, 또한 당지질은 천연산이 $C_{20:5}$$C_{22:6}$이, 양식산은 $C_{18:2}$가 많았다. 7. 양식어와 이들 사료중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mono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의 함량이 높았고, 포화산과 poly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이 낮은 경향이었다. 8.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6.65\%$$15.99\%$로서 양자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leucine, aspartic acid, lysine 순이었다. 가물치는 천연산이 $18.06\%$이며, 양식산은 $18.52\%$이며 천연산은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및 leucine은 많았으며 양식산은 aspartic acid 및 proline이 많았다. 또한 잉어는 천연산이 $16.94\%$, 양식산은 $20.95\%$로서 양식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proline 및 alamine이 천연산에 비해 그 함량이 다소 많았으나 이외의 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9. 양식산 뱀장어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가 총 유리아미노산의 약 $1.0\%$였으나 천연산은 $2.9\%$를 차지하였다. 반면 histidine, arginine 및 tyrosine등은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약 2배 가량 많았다. 그러나 양식산지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물치의 경우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methionine, phenylalanine 함량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그 함량이 많았으나 lysine, histidine, glycine 및 alanine은 그 반대였다. 천연산 잉어의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ne, glycine 및 lysine 함량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6.9\%$를 차지하였다. lysine, histidine, aspartic acid, alanine, valine 및 leucine은 양식산에 비해 천연산의 함량이 많았으나 glycine과 tyrosine은 그 반대였다. 10. 양식 뱀장어 육중의 유리아미노산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 사료중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다.

  • PDF

산지 및 성장조건별 참돔, 조피볼락, 넙치의 정미성분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Taste Compounds of Red Sea Bream, Rockfish and Flounders Differing in the Localities and Growing Conditions)

  • 김희연;신재욱;박희옥;최성희;장영미;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63
    • /
    • 2000
  • 본 조사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주요 해산어로서 뿐만 아니라 식품원으로서, 또한 고급 경제 어종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참돔, 조피볼락 및 넙치 등을 대상으로 동원한 지역에서 어적되는 친연산과 양식산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정미성분에서 구명하고자 충무와 완도 2개 지역의 시료어를 채취하여 일반성분, 핵산관련물질 함량, 구성아미노산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지별로는 어느 시료에서도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성장보건별로 보아 전체적으로 양식산 어류가 천연산어류에 비하여 조지방 함량은 높았고 수분 함량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핵산관련 물질 함량 중 ADP, AMP, IMP 및 inosine 등이 검출되고 ATP 및 hypoxanthi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산지별, 성장조전별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분석된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구성아미노산은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분석된 시료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proline, leucine 등의 함량이 많았으며 cysteine,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적었다. 그 외의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참돔과 조피볼락은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넙치는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 시료에서 taurine이 $39%{\sim}6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hydroxyproline, lysine, alanine, glycine둥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천연산에 비하여 양식산에 유기산 함량이 많았다.

  • PDF

양식산 황복에서 tetrodotoxin 유사 독소의 미량 존재 가능성 제시 (Possible existence of tetrodotoxin-like toxins in cultured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 김도영;김주완;박기석;강희웅;전중균;정준기;최상훈;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09
  • 양식산 복어에서는 tetrodotoxin(TTX)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양식산 황복(Takifugu obscurus)에는 TTX가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쥐를 이용한 bioassay로 여러 장기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자연산에서는 동물이 치사하는 수준의 독력을 함유한 시료가 있었으며 정소>간장>장>근육>피부의 순으로 독력이 확인되었다.양식산 시료에서는 TTX의 미량존재로 추정되는 졸림, 행동둔화, 후지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났지만 치사동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양식 산 황복에서 TTX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할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기기분석법을 이용한 정확한 정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