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inary practic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41초

외식프랜차이지의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인식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taurant Franchisees' Understanding of the Fair Trade Practices Law for Franchise Business and the Related Factors)

  • 박재호;천희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9-84
    • /
    • 2008
  • The franchise business in Korea, having a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those of the advanced countries, disclosed many problems between franchisors and franchisees due to a rapid growth in number for the short period of time. Having recognized the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responding to social demands, established "The Fair Trade Practices Law for Franchise Business" to restrict unfair trade practices and to develop a healthier franchise business practic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closely examined how the franchisees'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laws would influence the franchisees' countermoves and satisfaction and the franchisor's reactions from the franchisees' standpoints. In conclusion, the franchisees show higher satisfaction in heteronomous changes achieved by the mutual agreement with the franchisors rather than in autonomous changes achieved by their active pursuits, as seen from the interrelation of the franchisors' reactions and the appropriateness of franchise agreements.

  • PDF

조리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과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Capabilities required for Culinary Arts Curriculum)

  • 김태현;김태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59
    • /
    • 2018
  •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blamed for training skill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field. This study was sought for finding out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hotel entry-level cook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case studies in terms of NCS's basic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required at work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skills and knowledge. Second, among the NCS's bas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information skills, and professional ethics are prioritized competencies for hotel-entry level cooks. Third, in terms of competency factors at work,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adaptability of the field. Fourth, in case of overseas culinary institutes, the core of their culinary education was the system to learn how to operate the site rather than the education about cooking skills or knowledge. Fifth, in holistic approach, the result showed that four elements which are skills, knowledge, field practice, and simulation training are required for Culinary Arts curriculum.

Ident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Food Safety Awareness and Perceived Barriers to Proper Food Handling Practices

  • Cha, Myeong-Hwa;Park, Jyung-Rew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74-8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linary arts and hospitality students' food safety practice behaviors, intentions, attitudes, and barriers to food safety compliance. This descriptive study us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nvenience sample was composed of 26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and hospitality. The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never or rarely use a thermometer to determine if meats have been adequately cooked. Examples of positive food handling behaviors were hand washing, sanit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discarding of food past its expiration date, counter top sanitation, and proper food storage. Students strongly agreed it is their responsibility to practice food safety and to educate their employees about food safety. The primary barrier to proper food safety as ranked by student respondents is the misunderstanding about food labeling. Previous food safety education and internship experience appeared to improve the student respondents' perceived attitudes toward following the principles of food safety practices (p < 0.05), although behaviors and intentions to use the correct food safety practices were not affe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should consider integrating informa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ir courses that would be enhance student understanding about food safety.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evelop food safety education materials and programs for culinary arts and hospitality students.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The Utility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for The Culinary Major College Students)

  • 정현채;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28-139
    • /
    • 2020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연구로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학과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이수가 졸업충족요건 및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수 한 경우 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유형을 도출하고 그 유형들 간의 특성과 함의를 분석함으로서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쟁점들을 탐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인식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은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8) : 목표의식 설정 유형(Sense of Purpose Setting type), 제 2유형(N=8): 상호작용 기술습득 유형(Interaction Skill Acquisition Types), 제3유형(N=6): 전공실무교육 확대 유형(Major Practice Education Enlargement Type), 제4유형(N=6): 현장 적응력 향상 유형(Field Adaptability Improvement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제공하기 위해 정부의 현장실습 제도방안개선, 대학과 산업체 간의 현장실습 규정 체계화, 학과의 신규 산업체 발굴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제과제빵과 계란의 역할

  • 채영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3권
    • /
    • pp.367-383
    • /
    • 1997
  • 1. It is necessary for all cooks to understand the eggs for making the bakery. It will lead for them to make a difficient and reasonable job. 2. To understand the viscosity, Cooks have the view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ld eggs and the fresh eggs. 3. The cooks have the ability to apply the baking temperature by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solidification. 4. The cooks have the basic knowledge to create the whipping items. 5. The cooks have the ability to develop the emulsion items by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emulsification. 6. The cooks have the creativity to put in practice the bakery by reviewing the representative egg item.

  • PDF

식사의 규칙성이 식생활 실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mea1on eating habits)

  • 김이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56
    • /
    • 2001
  • By study on the paterns of intake according to regulation of neal among men and women in seoul, Eating habits′ improvement in quality can be encouraged.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regular meal the group have, the fewer they eat out and less instant food they have. Additionally, they are less likely to have an unbalanced diet, and make "kimchi" in their own way, and keep and follow their own menu. Also, this group leads a rregular life and takes a 3 - minute walk. In nutrition, they have taken lessons about nutrition, and know a need of those lessons. So they practice what they learn better compared other groups.

  • PDF

혜전대학 호텔조리과 학생이 인식하는 서비스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ived service value among the students of Hotel Culinary Department in Hyejeon College)

  • 강경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3-209
    • /
    • 2001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perception of service value is related to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epistemic value, image, emo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and social value.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give less importance to epistemic valu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tudents in the 2nd grade gave less favorable scores to the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epistemic value, imag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than students in the 1st grade. Students in the night class gave less scores to epistem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than students in the day class. It i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the period in school is in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imag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grade. In conclusion college operators should not overemphasize that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occupies the leading position of the culinary academic world in Korea and the firms of food service industry positively evaluate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and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culinary education consistent investment constant changes and of efforts should not be stopped. On one hand the teaching staff of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should reconsider their original role, and need behavior and practice to fill their deficiency with steady efforts in terms of students' perceived service value. In addition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should not be shackled by the past tradition, should not take a pessimistic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should not take an optimistic view of the future, and should always cultivate their ability to provide for the future.

  • PDF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 조사 (A Study on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Intervention demand of Teachers i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 박은숙;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60
    • /
    • 2006
  • 본 연구는 Hord 등이 개발한 CBAM(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는 조리실습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5대 도시 중 고둥학교의 가정과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우편 발송하였고, 회수된 193부 중 부실 기재된 6부를 제외한 187부를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 분석, one-way ANOVA,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대체로 무관심 상태인 지각적 단계 즉 변화 초기에 해당하는 낮은 관심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리실습 교육의 실행 수준에 있어 조리실습을 실행하지 않는 수준은 없었고, 일상화의 단계가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초기 단계로 나타났던 관심도와 달리, 실행 수준은 비교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조리실습의 실행 형태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약 30%의 교사가 제7차 교육과정과 전혀 부합되지 않는 실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와 내용 영역은 이상적인 실행 형태의 비율이 높았지만, 교수 학습방법과 교수 학습 자료, 평가 영역에서는 전혀 부합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부합되는 실행 형태가 높았다. 특히, 전혀 부합되지 않는 형태가 가장 높고 완전 부합 형태가 가정 적게 실행되고 있는 교수 학습방법 영역에 있어서 보다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조리실습 교육에서의 지원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많은 지원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적 분위기 조성 중 설비 제공 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재정 확보 및 실습비 지원으로 나타났다.

  • PDF

조리실무과목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팀기반학습(TBL)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by Culinary Major University Students to Culinary Skills Subjects)

  • 김찬우;정현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27-337
    • /
    • 2020
  • 본 연구는 조리실무과목의 팀기반학습(TBL)을 적용하여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한 연구로서 학습자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Q모집단을 구성, P표본 선정, Q분류, 결과 해석, 결론 및 논의의 순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8) : 협동학습 효과 유형(Cooperative Learning Effect Types), 제 2유형(N=8): 문제해결능력 효과 유형(Problem Solving Ability Effect Types), 제3유형(N=6): 자기주도학습 효과 유형(Self Directed Learning Effect Type), 제 4유형(N=6): 개별실습 선호 유형 (Individual Practice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분석을 토대로 현재 교육환경과 여건에 맞는 실무적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여 추후 사회적응력과 전공실무적능력을 향상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의 유사한 교수법 적용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외식.조리 전공 -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 Majoring in Food Management and Culinary Arts -)

  • 한예정;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6-92
    • /
    • 2013
  • 본 연구는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이 형성하고 있는 주된 가치 지향성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전공만족도가 높으면 진로성숙에 도움을 주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주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사회인식 요인과 교과과정 요인은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아존중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가치관 교육이 필요하며,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에 대한 사회의 올바른 인식과 적극적인 관심, 그리고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흥미와 새로운 경험을 가질 수 있는 이론과 실기가 적절히 배분된 교과내용 및 교과과정 편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