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Intervention demand of Teachers i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 조사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e system of teaching culinary practice needs drastic modification to catch up with dietary life and education curriculum changes. To reflect such changes, it is necessary to instill a strong will and interest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 teachers. In this sense, this study researched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s, levels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intervention demands, based on the CBAM(Concerns Based Adoption Method) developed by Hord et. al. For the survey, 500 questionnaires sent by mail and 187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s on culinary practice is assessed to be in the lowest level of perceptual stage, which indicates a state of indifference. 2) In terms of the levels of use, routine u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finement use, integrated use, research use, and reinvent use in descending order. Mechanical use posted the lowest level. Even though the stages of concern showed the beginning stage, the Level of use was relatively high. 3) Abou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pproximately 30% of the teachers were not accomodate the culinary practice referred to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4)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demands o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generally wanted more interventions in every component. Among the intervention components, the highest demand was on the support for facility. Demand on the financing is the second highest. Teachers in the level of routine use demanded more information and materials supply and individual encouragement, but teachers in the level of preparation needed study opportunity for training on operation skills more.

본 연구는 Hord 등이 개발한 CBAM(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는 조리실습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5대 도시 중 고둥학교의 가정과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우편 발송하였고, 회수된 193부 중 부실 기재된 6부를 제외한 187부를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 분석, one-way ANOVA,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대체로 무관심 상태인 지각적 단계 즉 변화 초기에 해당하는 낮은 관심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리실습 교육의 실행 수준에 있어 조리실습을 실행하지 않는 수준은 없었고, 일상화의 단계가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초기 단계로 나타났던 관심도와 달리, 실행 수준은 비교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조리실습의 실행 형태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약 30%의 교사가 제7차 교육과정과 전혀 부합되지 않는 실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와 내용 영역은 이상적인 실행 형태의 비율이 높았지만, 교수 학습방법과 교수 학습 자료, 평가 영역에서는 전혀 부합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부합되는 실행 형태가 높았다. 특히, 전혀 부합되지 않는 형태가 가장 높고 완전 부합 형태가 가정 적게 실행되고 있는 교수 학습방법 영역에 있어서 보다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조리실습 교육에서의 지원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많은 지원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적 분위기 조성 중 설비 제공 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재정 확보 및 실습비 지원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