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cumber kimchi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데침과 열수의 침적과 Trehalose 처리가 오이 김치의 저장중 효소 활성의 변화와 관능 검사에 미치는 병용효과 (The Combined Effect of Enzyme Activity and Sensory Test of Blanching and Brining in Hot Solution and Trehalose Treatment on the Cucumber Kimchi for the Storage Period)

  • 이혜정;오봉희;남정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85-390
    • /
    • 2001
  • 1. 비가열 시료인 a와 b가 PE의 활성은 저장 둘째 주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가열 시료인 c 는 저장 넷째 주에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병행 열처리와 trehalose 처리 시료는 저장 끝까지도 증가하였다. 2. PG의 활성은 비가열 시료인 a와 b는 저장 둘째 주부터 감소하다 저장 끝에는 증가하였고, 가열 시료인 c와 d는 저장 기간 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3. POD의 활성은 비가열 시료인 a와 b는 저장 둘째 주에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가열 시료인 c는 둘째 주에 약간씩 감소하였고, 병용 열처리하고 trehalose 처리군은 감소하였다. 4. 관능검사 결과 시료 a. b, d는 아작함과 기호도가 전 저장 기간동안 높았고, 시료 c는 갈색과 신맛의 증가로 기호도가 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2주차에는 아작함과 형태가 좋았으나 4주 6주로 가면서 아작함과 기호도의 값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별 기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항목은 아작함이었고 시료 c는 갈색, 맛, 조직감 등에서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 PDF

카메라폰을 이용한 식이섭취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Using a Cameraphone)

  • 장은재;고신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8-20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using a cameraphone for a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The subjects were 28 female college students. After eating a standard lunch meal which consisted of plain rice,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the quantity of dietary intake, calorie intake & nutrients intake were analyzed by weighed method, diet recor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 with k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ntity of 6 foods intake between weighte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 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 cucumber salad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lorie intake and nutrients intake between the weighted method and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protein, calcium, iron, phosphorous, Vitamin A, Vitamin $B_2$, Vitamin E and cholesterol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fat and Vitamin $B_2$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the camerephone may be a valid and convenient method fur evaluating a dietary intake survey. However, systematic and standard education is necessary about the size and volume of dishes and angle of photo for more accurate results.

서울 및 충청지역의 김치담금 재료비 및 숙성김치의 화학적 성질 조사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 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Kimchis)

  • 강근옥;이성희;차보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87-493
    • /
    • 1995
  • 김치 담금시 재료의 배합비와 숙성시 특성 측정을 위해 서울과 충청도에서 조사된 김장김치의 종류는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백김치 등이었고 이 중 배추김치담금에 사용하는 주, 부재료는 약 20-25종류였으며 젓갈 및 어패류 의 사용이 많았다. 배합비는 배추 71.9%$\pm$7.7, 무채 11%, 파 2.3-2.6%, 마늘 1.3-1.6%, 고추가루 2.7-3.2% 그리고 젓갈 3.9~4.2% 등이었다. 봄김치는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와 열무김치, 오이김치 등을 담았으며 배추김치에 김장김치의 갓 및 굴, 새우 등 어패류 대신에 부추, 생홍고추, 양파 등 신선한 계절야채르르 많이 사용하였다. 양념류는 김장김치에 비해 젓갈은 다소 적고 그 외 사용비는 비슷하였으며 나박김치, 열무김치 등 국물김치에서 건더기와 물의 비는 약 40:48을 이루었다. 또한 배추김치의 최적 숙성은 pH 4.2~4.5, 총산도 0.5~0.8% lactic acid 범위였고 선호하는 염도는 김장김치류 2.3~2.74%, 봄김치류 1.8~2.4% 범위였으며 국물김치는 1.3~1.7%의 낮은 염도를 보였다.

  • PDF

어린이의 김치의식에 관한 실태조사 (I) - 김치 선호도에 관한 조사 - (A Survey on the Children한s Notion in Kimchi(I) - Children한s Preferences for Kimchi -)

  • 송영옥;김은희;김명;문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58-764
    • /
    • 1995
  •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기호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부산시내 공, 사립 국민학교 2, 4, 6학년에 재학중인 1,100명을 대상으로 김치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국민학생의 68%가 김치를 좋아한다고 응답하였으나 국민학생들이 좋아하는 반찬들(계란말이, 단무지, 김구이, 햄.소시지.미니돈까스, 콩나물무침, 호박나물, 장조림 등) 중에서의 김치의 선호도(17.6%)는 햄.소시지.미니돈가스(54.7%)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으나 그 선호 정도는 상당히 낮아 실제적인 선호도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매운맛은 국민학생들이 김치를 가장 싫어하는 이유인 동시에 김치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나타나 김치의 특성을 대표하는 맛으로 생각되었다. 국민학생들이 선호하는 김치의 종류는 배추김치, 깍두기, 물김치, 총각김치, 오이김치 순이었다. 김치 담금 재료 중에서는 배추를 가장 좋아하고 생강, 마늘, 파, 젓갈 등 강한 냄새를 내는 것을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김장김치 담금시 부재료 특성 및 지역별 기호도 조사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 차용준;이영미;정연정;정은정;김소정;박승영;윤성숙;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5-561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646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김장김치 제조시 사용하는 부재료 및 젓갈의 종류, 계절별 가정에서 주로 애용하는 김치류, 일일 김치 소비량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겨울철 김장김치 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김장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깨, 설탕, 풀(죽) 등 7종의 부재료의 사용빈도가 지배적이었으며, 굴, 새우 등의 해산물은 충청북도를 제외 한 모든 지역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다. 젓갈류에서 새우젓이 전국적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고, 멸치젓과 멸치 액젓이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애용되는 김치로는 봄철에는 파김치, 부추김치, 여름에는 열무, 오이소박이, 가을에는 총각김치와 가을배추겉절이, 겨울철에는 동치미가 있었으며, 남부지역은 파, 부추김치 등의 자극성이 강한 김치류가, 중부지역은 자극성이 적고 담백한 나박김치가 선호되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김장김치를 직접 담그고 있었고, 봄에는 파김치와 무말랭이를, 여름에는 오이소박이와 깻잎김치, 가을에는 고구마줄기, 겨울에는 고들빼기와 같이 한번씩 입맛을 돋울 수 있는 김치를 사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6~10포기의 김치를 담는 경우가 33.3~35.8%로 가장 많았고, 40~50대는 16~20포기, 50대 이상에서는 40포기 이상을 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가정에서 1일 김치소비량은 1/8~1/4포기가 가장 많았고(42.7%), 개인당 1일 소비량으로 환산하면 80 g미만이 33.1%로 가장 많았다.

Inhibition of Yeast Film Formation in Fermented Vegetables by Materials Derived from Garlic Using Cucumber Pickle Fermentation as a Model System

  • Le-Dinh, Hung;Kyung, Kyu-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69-473
    • /
    • 2006
  • Film-forming yeasts generate an undesirable yeasty flavor in fermented vegetables such as kimchi in the presence of oxygen. Antimicrobial materials including garlic oil (GO), heated garlic (HG), and allyl alcohol (AA) were investigated for use as alternative natural food preservatives to inhibit the growth of film-forming yeasts in fermented vegetables. Using the fermentation of cucumber pickles as a model system, GO, HG, and AA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film formation at concentrations of 0.006, 3.0, and 0.02%, respectively. The effectiveness of HG in preventing the growth of a film yeast, Hansenula anomala, was not influenced by pH, while that of potassium sorbate, a typical anti-yeast food preservative, was highly dependent on pH. All tested materials were effective when added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due to their negligible inhibitory activity toward lactic acid bacteria.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 성인과 한국 구리지역 성인의 식생활 양식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Patterns of Korean - Chinese and Koreans)

  • 백희영;김정순;문용;정효지;이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1-353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patterns and assimilation of dietary culture of Korean descendants in Yanbian, China compared to Korean. A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one 24-hour recall method from 730 adults over 30 years of age in Yanbian, China and 695 adults over 25 years of age in Kuri, Korea. The average number of food items consumed per day was 14 in Yanbian and 20 in Kuri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ons(p<0.001). The foods consumed most frequently were rice, salt, the M.S.G. in Yanbian and rice, green onion and garlic in Kuri. The foods consumed most by amount were rice, cucumber, Soju in Yanbian and rice, Kimchi and grape in Kuri. The average number of dishes consumed per day was 6.4 in Yanbian, 9.4 in Kuri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ons was significant(p<0.001). Total number of dishes appeared in the survey was 253 in Yanbian and 494 in Kuri. The dishes consumed most frequently were cooked-rice, beverages, Kimchi, stir-fried eggplant in Yanbian and cooked-rice, Kimchi, coffee, soybean paste stew, in Kuri. The dish groups appeared most frequently were rice, stir-fried foods, vegetables and Kimchi in Yanbian and rice, Kimchi, beverages and fruits in Kuri. Male subjects in Yanbian Consumed alcohol frequently while adults in Kuri consumed coffee more frequently than Yanbian. The major meal patterns were rice+side dish, rice+soup, rice+side dish+Kimchi in Yanbian and rice+soup+side dish+Kimchi, rice+side dish+Kimchi, rice+soup+Kimchi in Kuri. Stir-fried foods, which were consumed 46.6% of all the meals, were dominant side dish in Yanbian, but stir-fried food, seasoned vegetables and grilled food appeared aver 10% in Kuri. There results show that variety of diet of Korean-Chinese in Yanbian was lower than Kuri. Korean-Chinese tend to keep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s of consuming rice as staple but were adapted to Chinese dietary patterns of consuming stir-fried side dishes.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preserv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of dietary culture among Korean-Chinese population.

  • PDF

구 소련거주(독립국가연합) 한인들의 김치 이용의 실태에 관한 조사 1. 김치와 식생활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the Koreans in CIS 1.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 김영희;김영숙;이경임;신애숙;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93-600
    • /
    • 1996
  • 구 소련(독립국가연합) 중 비교적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모스크바, 사할린, 우즈베크스탄, 카자흐스탄 지역의 한인 199명을 대상으로 김치와 식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식사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0.5%가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 볼 때 모스크바가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반면 사할린은 거의 대부분이 한식 형태였다. 또한 고연령으로 갈수록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연령이 낮거나 이주 후 세대를 거칠수록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김치에 대한 기호도는, 응답자의 85.9%가 김치를 좋아 하였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이라는 자부심과 김치가 맛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치 섭취횟수는 응답자의 95%가 하루 한끼 이상은 김치를 섭취 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할린은 매끼 마다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다(88%). 또 연령과 이주세대에 따른 섭취 횟수의 차이는 나이가 어리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김치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과거와 현재의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41.7%가 과거 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21.6%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사할린은 섭취량이 많아진 경우가 많았고 모스크바는 섭취량이 적어진 경우가 더 많아 두 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나이가 적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과거 보다 섭취량이 줄어들어 나이가 적을수록 현지의 음식에 적응하여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어보거나 본 적이 있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9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오이김치(91.5%), 양배추김치(띨.4%), 물김치(82.4%), 가자미식해 (75.4%)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용하는 깍두기, 총각김치 , 부추김치 등의 비율이 낮고 양배추김치, 가자미식해 등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사할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김치 경험이 다양한 결과를 보여 한국에서의 김치 문화가 많이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김치를 이용해 많이 해먹는 음식으로는 주로 김치찌개와 김치볶음 등이었으나 이것도 50%대에 머물고 있어 김치로 다른 음식까지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양적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김치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반응은, '김치를 잘 먹었다'는 응답이 99.5%이고 '전혀 못먹었다'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는데 이로써 양식 위주의 서양인에게도 김치가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김치 이용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대학생의 음식 기호 조사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 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1호
    • /
    • pp.10-19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november, 1981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1184 male and 1241 female students of 9 universit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Preferences of staple foods : Cooked rice was preferred most by the subjects. Male liked rice more than female, whereas female liked bread and noodle more than male. Among the different kinds of rice, bread, and noodles, the following food items were favored by the subjects. (plain rice, red bean rice and soybean rice ; salad bread and vegetable bread ; Nangmyun and Bibim Kooksu). The foods not preferred were barley rice, instant noodle and soybean milk noodle. 2) Preference of side - dishes : Among the kinds of side - dishes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stews were the most favored and the next favored were soups by the subiecls whereas female showed lower preference of soups than male subjects Most disliked kinds of side-dishes were changachi and moochim. For example, side-dishes which showed higher preference in each preparation method were stew (Kimchi stew and Soybean paste stew), soup (Beef soup and Seaweed soup), kimchi (Korean cabbage Kimchi), Bockeum (Sauted beef and Sauted Kimchil, cheon(Beef Cheon, fish Cheon), Kui(broiled saury and broiled yellow tail runner), Chorim(braised cuttle fish and braised fish cake), Namul(sliced radish, cucumber, and spinachi), and Changachi (dried radish). The side-dishes which showed lower preference were Alaskan pollack soup, soybean curd residue stew, cabbage Kimchi, liver Cheon, sauted liver, hairtail Chorim, radish rootNamul, and dried radish root Changachi. 3) Preferences of snacks. Fruits apple, peach, pear) were the most preferred snacks by the subjects. Male preferred ginsang tea whereas famale preferred coffee. Both bate and female subjects showed higher preference of milk and lower preference of sweets. 4) Preference of one-dish meals : No one dish meal were disliked by the subjects. Male liked Bockeum-Bab more than female, and female liked Mandukuk more than male subjects.

  • PDF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 장문정;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5-223
    • /
    • 2000
  •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foreign visitors to Korean traditional foods, 206 visitors(male 142, female 61)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ranslating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ubjects had various nationality such as China(77.4%), America(20.9%), Japan(16.0%), Canada(6.5%), Southeast Asia(2.5%) and Europe(2.5%). The 70.2% of the respondents had been tried Korean dishes before visiting Korea on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or acquaintances(59.9%) or by the advertisement, articles, and travel agency. Bulgogi and Kimchi were the most popular menu that they had been tried in their country and Bibimbop, Kalbi, Korean dumpling, Samgaetang and Chapchae were following. 29.8% of the respondents had never tried Korean dishes because of they didn't have a chance to try(43.1%) or there were no Korean restaurant near their place(25.5%) or they had no interest in Korean dishes(23.5%). As expected, Kimchi and Bulgogi were well known food, showing rank of highest recognition. Chun and Dduck were the dishes that they had heard or saw but not eaten and Goojeolpan and Shinsunro were the dishes that they had not heard or saw. Preference to Korean dishes shows the same tendency as perception, Bulgogi, Bibimbop, Kalbi and Kimchi were the highly preferred group and Samgaetang, Bindaedduck, Chapchae, Dumpling and Raengmyon were mildly preferred one and Cucumber Kimchi, Kalbitang, Chun, Namul, Dduck were lower group of preference and Shinsunro and Goojeolpan were rarely preferred. These result shows that it is needed to advertise Korean dishes and to make event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