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extracts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7초

열처리 방법에 따른 마늘의 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ivum L.))

  • 김용두;서재신;김경제;김기만;허창기;조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1-1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마늘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열처리해 새로운 형태의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마늘의 일반성분의 분석결과 수분, 조회분, 조섬유 및 조지방 함량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열처리 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생마늘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6091.88\;mg\%$였고 생마늘에서 arginine이 $998.88\;mg\%$로 가장 높았고 열처리함에 있어서는 총 구성아미노산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생마늘이 $3122.76\;mg\%$였으며 열처리한 마늘의 총 유리 아미노산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에 함유된 무기성분 함량 분석 결과는 6가지 무기성분 중 K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열처리 함에 있어 마늘의 향기성분 전체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삶은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diallyl disulfide은 $18.29\%$, diallyl sulfide은 $0.65\%$, allyl methyl sulfide $0.54\%$, methyl allyl ether $4.85\%$, trisulfide methyl 2-propenyl $1.2\%$ 및 2-vinyl-1,3-dithiane $1.72\%$ 정도의 함량을 나타났으며, 구운마늘은 각각 $26.22\%,\;0.50\%,\;0.87\%,\;2.89\%,\;1.52\%$$1.97\%$의 함량을 나타냈고, 전자레인지로 가열한 마늘은 각각 $25.03\%,\;1.32\%,\;0.73\%,\;3.26\%,\;2.55\%$$2.38\%$정도의 함량을 보여 생마늘과 비교 하였을때 열처리한 마늘의 모든 향기성분 함량이 줄어들었고 열처리한 마늘의 주 향기성분은 diallyl disulfide 로 나타났다.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의 α-amylase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s of Sargassum thunbergii Ethanol Extract against α-amylase)

  • 이소정;송유진;김꽃봉우리;이청조;정지연;곽지희;최문경;김민지;김태완;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48-653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ST) against ${\alpha}$-amylase and elucidate the availability of ST extract as a functional food agent. To test the inhibitory activity of ST against ${\alpha}$-amylase, porcine pancreatic ${\alpha}$-amylase and potato starch were used as substrates. It was revealed that ST crude ethanol extracts have high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Subsequently, ST crude ethanol extract was separated into five partition layers by solvent extraction: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Chloroform and n-hexane fractions showed higher inhibitory activities than did acarbose (positive control). To confirm the changes in enzyme inhibitory activity by physical treatments, ST crude ethanol extract was subjected to heat, pH, and ${\gamma}$-irradiation treatments. In all heat treatments with the exception of one ($121^{\circ}C$, 15 min), th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ntreated group. With regard to pH stability, ST extrac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t pH 4.6, but somewhat decreased inhibitory activity was revealed at pH 2, 8, and 10. On the other hand, ST ethanol extract was stable under ${\gamma}$-irradiation under all conditions (3.20 kGy). In summary, ST ethanol extract can be used in the food industry as a natural ${\alpha}$-amylase inhibitor.

난황으로 부터 항충치 항체의 분리 및 그 특성 (Properties of Anti-S. mutans IgY Separated from Egg Yolk)

  • 손동화;노정해;김영붕;한찬규;성기승;이남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29-1034
    • /
    • 1998
  • 충치유발균인 Streptococcus mutans (혈청형 C)를 면역한 산란계의 난황에서 항체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난황으로 부터 항체의 추출효율을 검토하였을 때, ${\lambda}-carrageenan$, $gammaYolk^{TM}$, $EGGstract^{TM}$의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 중 항체의 순도는 전기영동에서 각각 20, 46, 48%로 나타났으며, 난황 1 g에서 얻은 항체의 수율은 각각 11.3, 1.7, 1.8 mg이었다. 정량면역침강반응의 결과, ${\lambda}-carrageenan$방법으로 얻은 조난황 항체 중 특이항체의 비율은 12.2%이었다. 이로부터 계란 하나분인 15 g의 난황에서 얻은0.85 g의 조난황 항체에는 특이항체가 100 mg가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종류 충치유발균주(혈청형 b, c, f)에 대한 특이항체의 반응성을 조사하였을 때, 설탕 첨가배지에서 배양한 균주는 C(+), f(+), b(+)의 순으로 48%이상의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었으나 무설탕 배지에서 배양한 균주의 반응성은 각각 이보다 낮게 나타났다. 조난황 항체의 열 및 pH안정성은 양호하여, $70^{\circ}C$까지 50%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pH\;4{\sim}8$에서 대체로 안정하였다.

  • PDF

산야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Wild Grass Extracts)

  • 이영준;윤보라;김단비;김명동;이대원;김재근;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07-4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야초 발효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산야초 발효액의 수분함량은 $49.6{\pm}0.06%$이었으며, 조회분 $0.65{\pm}0.01%$, 조지방 $3.3{\pm}0.59%$, 조단백질 $0.65{\pm}0.04%$이었다. 그리고 산야초 발효액의 총 페놀함량 분석 결과, $1,185{\pm}159{\mu}g$ GAE/g으로 나타났다. 색도 분석에서 L값은 80.36으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11.47 및 44.53으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산야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야초 발효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야초 발효액은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억제 효능은 미비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야초의 발효액을 제조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발효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노루궁뎅이 버섯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Hericium erinace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미애;박난영;우승미;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77-782
    • /
    • 2003
  • 노루궁뎅이 버섯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과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의 최적화 및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에탄올 농도$(X_1)$, 시료의 용매비$(X_2)$를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가용성 고형분$(Y_1)$, 총페놀 함량$(Y_2)$, 조단백$(Y_3)$, 전자공여능$(Y_4)$, 갈색도$(Y_5)$를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 농도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용매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시료의 용매비가 높을수록 페놀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반응표면을 나타내었으며, 조단백 함량의 경우 에탄올 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가 일정시점 이후로 약간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용매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을 제외하고는 에탄올 농도보다는 시료의 용매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에탄올 농도 $36{\sim}52%$. 시료의 용매비 $3.9{\sim}5.0\;g/100\;mL$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의 임의의 점에서 실험한 결과, 각 반응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였다.

제조방법을 달리한 차의 주요성분과 생리활성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 조광호;배유림;양은정;박은지;마승진;박용서;정동옥;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96-602
    • /
    • 2006
  • 본 연구는 한지역에서 생산된 동종의 차 엽을 같은 시기에 채취하여 불발효차와 반발효차로 발효정도가 다르게 제다하여 주요 성분과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불발효차인 녹차는 일반 가공 방식대로 만든 녹차, 채엽하여 실내 위조의 과정을 거쳐서 만든 위조 녹차로 만들었고, 반발효차인 황차는 햇볕에서 제다한 중(中)발효차인 일쇄차와 강하게 발효를 한 황차를 시료로 하였다. 주요 성분은 일반성분 및 폴리페놀과 카페인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차의 수색,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의 일반성분은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 기능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3.59%{\sim}3.87%$의 범위로 나타나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affeine 함량은 녹차가 5.81%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5.75%, 일쇄차가 3.46%, 황차가 2.66% 순으로 발효정도에 따라 caffein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수색은 발효정도가 강할수록 명도(L)는 감소하였고, 녹색도(-a)가 낮아지면서 적색(a)에 가까워졌으며, 황색도(b)는 발효정도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녹차가 85.6%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81.24%, 일쇄차가 72.84%, 황차가 28.85% 의 순으로 불발효차 일수록 항산화활성이 뛰어났으며 ACE 효소 활성 역시 불발효차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비하였다.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8-412
    • /
    • 2008
  • 본 연구는 기능성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구아바 잎의 총페놀화합물의 함량, 항산화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1. 구이바잎 추출물의 총페놀화합물은 19.0(g/100g, D.W.)의 함량으로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radical 소거활성의 IC50는 $102.5{\mu}g/ml$, SOD 유사활성의 IC50는 $49.4{\mu}g/ml).$) 2. 용매분획물의 radical 소거활상을 측정한 결과, $100{\mu}g/ml$의 농도에선도 ethylacetate(G-E), butanol(G-B), 물분획(G-W)은 5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은 G-B>G-E>G-W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hexane분획(G-H)의 소거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3. 용매분획별 SOD 유사활성에 대한 결과, $100{\mu}g/ml$의 농도에서 G-E, G-B, G-W는 각각 81.8, 84.7, 65.3%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D 유사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G-H의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4. 구아바잎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tyrosinase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 1mg/ml의 농도에서 60.8%의 저해효과을 보였으며, 용매분획은 G-E(65.2%), G-B(62.8%), G-W(51.6%), G-H(28.9%)의 순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보였다.

인간 섬유육종세포에서 비쑥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Artemisia scoparia Halophyt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in Human Fibrosarcoma Cells)

  • 김준세;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00-1109
    • /
    • 2021
  • 염생식물인 비쑥은 식용이 가능한 약용식물로서 살충, 항염, 항콜레스테롤, 해열, 항균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자극된 인간 섬유육종 HT-1080 세포에서 5가지 활성검색방법 즉 : gelatin zymography, MMPs ELISA, wound healing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비쑥의 조추출물과 그 용매 분획물의 MMP-2와 MMP-9 효소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쑥 시료들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와 메탄올(MeOH)로 각각 2번 추출하여 합한 것을 조추출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은 MMP-2와 MMP-9 효소활성에 대해 유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추출물은 용매극성에 따라 다시 n-hexane, 85% aq.MeOH, n-butanol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4개의 용매 분획물들중에 n-hexane과 85% aq.MeOH 분획이 gelatin zymography와 MMP ELISA assay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wound healing assay, RT-PCR 및 Western blot assay에서 H2O 분획을 제외한 모든 용매 분획물들이 세포 이동,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UDCA를 함유한 생약추출물혼합제제의 항염효과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and mixture of natural extracts combined with ursodeoxycholic acid)

  • 류인철;김상년;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1013-1021
    • /
    • 1996
  • There are many important factors in periodontal inflammation. $IL-1{\beta}$, $PGE_2$ and collagenase are predorminantly key factors. These inflammatory mediators induce gingival tissue and alveolar bone destruc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it is necessary to inhibit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Ursodeoxycholic acid(UDCA) has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nd there is evidence that some natural extracts show antiinflammatory activity to some de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hibitory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on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Accordingly we assessed the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combined with some natural extracts on inhibition of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For the $IL-l{\beta}$ inhibition study, cultured cells were exposed to $25{\mu}g/ml$ LPS. $IL-1{\beta}$ activity was measured by $IL-1{\beta}$ enzyme immunoassay system.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prepared and cells (l05/well) were seeded into culture plates. $rhIL-1{\beta}$ was added to induce $PGE_2$. The amount of $PGE_2$ in sample media was measured using enzyme immunoassay system. Crude collagenase was prepared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collagenolytic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a Collageno kit CLN-100. The test inhibitor was added to the assay mixture consisting of 0.1ml of 50mM Tris buffer(pH 7.5) and 0.2ml of substrate solution. UDCA and UDCA combined with natural extracts generally inhibited $IL-1{\beta}$ production. groups above 0.01% UDCA strongly inhibited $IL-l{\beta}$ synthesis. Both groups inhibited $IL-1{\beta}-induced$ synthesis of $PGE_2$. In low concentration,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as same as prednisolone. In high concentration, each group was superior to prednisolone. UDCA group and UDCA mixture group exerted a moderate inhibition of collagenolytic enzym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could be further investigated as antiinflammatory drug for periodontal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