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linked polymer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3초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Biomass-based Superabsorbent Terpolymer

  • Kim, Jung Soo;Kim, Dong Hy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5권4호
    • /
    • pp.249-256
    • /
    • 2020
  • Superabsorbent polymers (SAPs) can absorb and retain ten to thousand times their dry mass of water because of their three-dimensional hydrophilic structures. Conventional SAPs are mainly composed of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derived from petrochemicals. The present work is aimed at limiting the use of the petrochemical component by replacing it with a biomass-based material. First, the core-SAP was prepared via the terpolymerization of itaconic acid, vinylsulfonic acid, and cellulose, and the optimum conditions in terms of material input ratio were determined. Following this, the core-SAP was surface-crosslinked by esterification with butane diol to improve its liquid permeability and absorbency under load (AUL). The liquid perme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0.9 wt.% NaCl solution passing between the swollen SAP particles under a given pressure, and the AUL was estimated from the weight of this solution absorbed under 0.3 psi pressure.

PVA/PSSA-MA막을 이용한 수증기 투과 성능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Water Vapor Permeation Using PVA/PSSA-MA Membranes)

  • 임지원;윤태일;서무영;조현일;하성룡;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16권2호
    • /
    • pp.153-158
    • /
    • 2006
  • Poly(vinyl alcohol) (PVA)와 가교제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을 적용하여 제조된 막을 이용하여 수증기 및 공기에 대한 막 투과 실험을 하였다. 또한 PVA/PSSA-MA막에 대한 PSSA-MA의 함량별로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함량이 3 wt%에서 접촉각이 가장 낮았고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촉각은 증가하였다. $35^{\circ}C$에서 PSSA-MA 함량 변화에 따른 수증기 투과도는 7 wt%에서 15300 Barrer (1 Barrer=$10^{-10}cm^3(STP){\cdot}cm/cm^2{\cdot}s{\cdot}cmHg$)로서 최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25^{\circ}C$에서 PVA/PSSA-MA막의 수증기 투과 성능은 $35^{\circ}C$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공기의 투과도는 PSSA-MA의 함량이 7 wt%에서 최대가 되었으며 $35^{\circ}C$C에서 146 Barrer를 나타내었고, $P(H_2O)/P(Air)$$25^{\circ}C$에서 109.2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아크릴/우레아 가교 폴리머의 하이솔리드 도료에의 적용 (Acrylic/Urea Crosslinked Polymers for High-Solid Coatings Applications)

  • 정동진;박형진;김성래;함현식;박홍수;김성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9
    • /
    • 2003
  • Environmental friendly acrylics/urea high-solid paints (BEHCU) were prepared through the curing reaction of acrylics resin(BEHC) containing 70wt% of solids content and butylated urea curing agent. BEHC was synthesized by addition copolymerization of caprolactone acrylate(CLA), 2-hydroxypropyl methacrylate(2-HPMA), ethyl methacrylate, and n-butyl acrylate. The addition polymerization of these monomers, especially including flexible CLA monomer and 2-HPMA monomer with OH funtional group, under appropriate reaction conditions resulted in polymers with controll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and crosslinking density. The molecular weight($M_w$) of these polymers(BEHCs) was 2940${\sim}$3240 and polydispersity ($M_w/M_n$) was in the range of 1.61${\sim}$1.72. The viscosit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se acrylic resins increased with increasing $T_g$. The coated films were prepared using curing reaction between BEHC resin and butylated urea curing agent at 100$^{\circ}C$ for 30 minutes. Our experimental resulted showed that enhancement of the coating properties such as adhesion, flexibility,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could be expected through introducing CLA component in acrylic resin for the high-solid content acrylics/urea coatings.

높은 수소이온전도성을 가진 가교술폰화폴리이미드막 (High Proton Conductivity Crosslinked Sulfonated Polyimide Membranes)

  • Lee, Chang-Hyun;Park, Chi-Hoon;Park, Ho-Bum;Lee, Young-Moo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3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1-63
    • /
    • 2003
  • A major research objective related to proton exchange membrane(PEM) for DMFC is to achieve high proton conductivity over 10$^{-2}$ S/cm, high hydrolytic stability and low methanol permeability with low cost base materials. for the purpose, a lot of thermoplastic polymers such as polysulfones, polyethersulfone, polyetherketones, polyimides, polyoxadiazole, polyphosphazene and polybenzimidazol have been investigated. Amongst those polymers, polyimides have been suggested as a potential PEM due to their excellent thermal, chemical stability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Generally, polyimides are synthesized by polycondensation with numerious diamines and dianhydriedes. In our study, polyimide was prepared using non-sulfonated diamine, sulfonated diamine directly synthesized by fuming sulfuric acid, and naphthalenic dianhydride to improve the hydrolysis stability under acidic condition. Through monomer sulfonation-subsequent polymerization method, the high proton conducting capability and the desired sulfonation level were effectively controlled at the same time. To reduce severe methanol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 the chemical crosslinking among polymer chains was introduced using various crosslinking agents with different chain lengths. The crosslinked sulfonated polyimide membranes showed high proton conductivity up to 8.09$\times$10$^{-2}$ S/cm and from crosslinking effect methanol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s was consider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unmodified membranes. For increase of chain length of crosslinker, methanol permeability was adversely reduced to 10$^{-8}$ $\textrm{cm}^2$/s due to decrease of IEC and increase of crosslinking desity.

  • PDF

모르타르 강도 증진을 위한 고분자 흡수제의 역유화 중합 (Inverse Emulsion Polymerization of Water Absorbent Polymer for Strength Enhancement of Mortars)

  • 황기섭;정명근;장석수;정용욱;이승한;하기룡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434-441
    • /
    • 2010
  • 콘크리트 제조 시 사용되는 잉여수를 흡수하기 위하여 흡수성의 sodium polyacrylate(PAANa)를 역유화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연속상은 paraffin liquid를 사용하였으며 acrylic acid(AA)는 NaOH로 중화시켜 사용하였다. 가교제는 N,N'-methylene bisacrylamide(MBA)를 사용하였고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된 PAANa들의 입자크기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이 탈이온수, 시멘트 포화수용액 및 $Ca(OH)_2$ 수용액에서의 팽윤비를 측정하였다. $Ca^{2+}$ 이온과 PAANa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FTIR spectroscopy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합된 PAANa를 포틀랜드 시멘트에 1 wt% 혼합 후 시멘트 모르타르 공시체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측정한 결과, AA에 대하여 0.15 mol%의 MBA를 첨가하여 중합한 PAANa를 첨가하여 제조한 PAANa-시멘트가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압축강도 약 30% 및 휨강도 약 10%가 각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Revisit of Thermoplastic EPDM/PP Dynamic Vulcanizates

  • Lim, Jaehwa;Park, Jun Il;Park, Joon Chul;Jo, Mi Young;Bae, Jae Yeong;Choi, Seok Jin;Kim, I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1호
    • /
    • pp.35-47
    • /
    • 2017
  •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available literature showed that in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thermoplastic vulcanizates (TPVs). TPVs are the second largest group of soft thermoplastic elastomers (TPEs) after styrene-based block copolymers, and offer a wide range of potential and proven applications, including in mechanical rubber goods, under-the-hood applications in the automotive field, industrial hose applications, electrical applications, consumer goods, and soft touch applications. Over the last two decades, TPVs have shown a strong and steady market growth (~12% per year). Commercialized TPVs are commonly based on blends of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rubber and polypropylene (PP), and to a lesser extent on combinations of butyl or nitrile rubber with PP. EPDM/PP TPVs are characterized by finely dispersed crosslinked EPDM rubber particles (particles size varying between 0.5 and $2.0{\mu}m$) distributed in a continuous thermoplastic PP matrix. If the rubber particles of such a blend are small enough and if they are vulcanized well enough, then the properties of the blend are generally improved. This review article introduces various topics and aspects relevant to EPDM/PP TPVs. The development of TPV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crosslinking systems and co-agents as crosslinking agents for PP/EPDM blends, the morphology and rheology of TPVs, and their typical end-use applications are also reviewed.

수분산 Polyurethane/Poly(3,4-ethylenedioxythiophene) 혼성 필름의 물리화학적 특성 향상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Poly(3,4-ethylenedioxythiophene) Hybrid Thin Films)

  • 고영수;임진형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587-591
    • /
    • 2013
  •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EDOT)은 높은 전기 전도도, 광학적 투과성 및 좋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낮은 물리화학적 물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PEDOT의 내용제성 및 필름경도와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음이온성 수성폴리우레탄(WPU)이 가지는 카르복실기는 아지리딘 존재 하에서 효과적인 가교반응이 일어나 물리화학적 특성이 개선된 WPU/PEDOT 혼성 전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WPU 및 고형분 함량별로 WPU/PEDOT 유기-유기 혼성 박막을 제조하여 전기적/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과율과 표면저항은 감소하였다. WPU/PEDOT 혼성 전도성 박막의 연필경도와 내용제성이 WPU가 가지는 카르복실기의 가교반응에 인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다공성막에 친수성 고분자의 함침을 통한 고내구성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mpregnation to Porous Membranes with PVA/PSSA-MA for Fuel Cell Applications)

  • 이보성;정선경;임지원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296-301
    • /
    • 2011
  • 본 연구는 고내구성을 가진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것으로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하여 poly(vinyl alcohol)을 주사슬부로 하여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를 다공성 polyethylene(PE) 막에 함침시켜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을 함수율, 접촉각, FTIR,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열 중량분석, 탄성계수 등의 측정을 통해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막의 특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접촉각 측정과 FTIR 분석을 통해 PE 막에 함침된 막에서의 친수성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PSSA-MA의 함량이 10 wt% 함침된 막의 경우, 이온교환 용량은 Nafion 115의 0.91보다 향상된 1.2 meq./g dry membrane을 얻었다. 또한 탄성계수의 경우 PE 막에 비하여 3~3.6 배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함수율과 메탄올 투과 실험을 통해 PSSA-MA의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은 치수안정성과 낮은 메탄올 투과결과를 확인하였다.

가교된 PS 코어와 PBA 및 PS 셸로 이루어진 코어-더블셸형 나노입자의 압력가소성 (Baroplastic Properties of Core-double Shell Type Nanoparticles Consisting of Crosslinked PS as a Core and PBA and PS as Shells)

  • 박지영;류상욱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80-84
    • /
    • 2014
  • 가교결합된 코어와 PBA, PS 더블-셸을 갖는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압력가소 특성을 평가하였다. 더블-셸을 합성하기 위해 먼저, 가교된 코어입자를 St, DVB의 에멀션 중합을 통해서 제조하였으며, 이어서 PBA가 내부셸, PS가 외부셸을 형성하도록 3 단계의 연속적인 에멀션 중합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더블-셸 나노입자는 가교된 코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PBA, PS 간 압력상용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5^{\circ}C$에서 반투명한 시편으로 압출성형될 수 있었다. 기계적 물성측정 결과, 성형물의 탄성계수는 더블-셸 나노입자의 크기에 직접적으로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BA가 과량으로 첨가된 시편의 경우, $25^{\circ}C$에서 재가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5회의 연속된 압출성형에도 불구하고 0.55MPa의 탄성계수와 1.81 MPa의 파단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Polyurethane과 polyurethane dimethacrylate를 이용한 내충격성 PMMA수지의 합성과 그 물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Modified PMMA Resin Using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Dimethacrylate)

  • 김동현;김주영;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616-626
    • /
    • 1993
  • 유연성과 강인성이 우수하여 탄성체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폴리우레탄(PU)을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물성향상을 검토하여 보았다. PU와 PMMA블렌드의 분자량과 폴리올의 종류가 블렌드의 물성과 상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분자량 또는 폴리올의 종류가 각기 다른 ether type과 ester type의 PU를 합성하여서, 이를 PMMA와 블렌드 하였다. 블렌드의 인장강도는 Instron을 이용하여서 측정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와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이용하여서 두 고분자의 상용성의 변화에 따른 형태학과 유리전이온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haze meter를 이용하여 투명성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PU와 PMMA 두 고분자의 본질적인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블렌드를 통한 PMMA의 물성 개량은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PU와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양말단에 비닐기가 도입된 형태인 폴리우레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PUD)를 합성하여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하여 가교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 가교 공중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Instron, Izod type(Cantilever Beam)impact tester와 haze meter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PMMA 단독수지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