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abilit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Evaluation of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Overwintering Ability in Glufosinate Ammonium-Resistant GM Rice and Their Hybrids with Non-GM and Weedy Rice

  • Lee, Seung-Yeob;Kim, Min-Soo;Kim, Hyo-Jin;Han, Se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3-5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overwintering ability of rice plant in GM (glufosinate ammonium-resistant lines. Iksan 483 and Milyang 204) and non-GM (their parents) or red rice (Andongaengmi). Seed-setting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M and non-GM rice varieties. Iksan 483 and Milyang 204 showed the similar level of seed germination rate from 30 to 50 days after heading as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After overwintering in paddy field, seed germination rate of GM and non-GM rice varieties ranged from 14.3 % to 57.6 % in dry soil condition, but there was no germination in wet-soil except red rice. The result in wet-soil condition may help to set u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risk of gene flow of transgene via dispersal of seeds of GM plants.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seed overwintering of Iksan 483 and Milyang 204, herbicide resistant GM rice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The results might be helpful to reduce the risk of transgene dispersal from GM crop via seeds and pollens.

Crossability of the Aconitum jaluense Species Complex (Ranunculaceae) in Korea

  • Oh, Sang-Hun;Park, Chong-W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35-438
    • /
    • 1998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xamined the crossability of four species in the A. jaluense complex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ir delimitation and levels of differentiation. Crosses between diploid A. chiisanense and the tetraploid species including A. jaluense s. str., A. triphyllum, and A. pseudoproliferum yielded no fruit- or seed-set, indicating that the former species is reproductively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latter three species.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the tetraploid species, combinations involving A. jaluense s. str. resulted in much reduced fruit- and seed-set, indicating that A. jaluense s. str. is more or less reproductively isolated from the other tetraploid species. However, crossing data revealed the absence of reproductive isolation between A. triphyllum and A. pseudoproliferum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previously suggested for the A. jaluense complex on the basis of morphology, chromosome number, and flavonoid chemistry.

  • PDF

6배체 트리티케일과 밀의 잡종초기세대의 교잡 친화성, 교잡종자의 발엽율 및 화분임성 (Crossability, Germination Rate, and Pollen Fertility of Progeny Drived from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X Triticosecale Wittmack) and Wheat(Triticum aestivum L.))

  • 황종진;이홍석;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6-235
    • /
    • 1991
  •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6배체 보통밀 5개 품종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교잡친화성, 발아율, 및 화분의 활력등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신기호밀(TC)과 밀의 교배에서 교잡율은 조합에 따라 28.8~41.8%로, 평균 34.1%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역교배에서는(밀X신기호밀) 교잡율이 극히 낮았다. F$_1$에 신기호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_1$/P$_1$)했을 때는 평균 3.99%, 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_1$,P$_2$) 했을 때는 평균 21.9%의 교잡율을 보였고, F$_1$을 자식시킨 에서는 평균 3.61%의 임실율을 보였다. 2.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에 양친을 여교접할 때 F$_1$/밀이 /F$_1$보다. 트리리케일/F$_1$이 F$_1$/트리티케일보다 교잡율이 높았다. 3. 모든 단교배 F$_1$ 종자의 발아율은 80% 이상이었으며 트리티케일/밀에서 F$_1$/P$_2$세대는 평균81%, F$_1$/P$_1$은 62%, F$_2$는 66.3%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4. 트리티케일 품종 신기호밀을 화분친으로 사용하여 밀과 교배할 경우 배란형성이 안되었으며, 이때의 배란게놈 조성은 AAABBBDDR 이었다. 5. 트리티케일과 밀을 교잡한 F$_1$의 화분 임성은 평균 30.2%로 나타났다. 6.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의 화분 임성과 교잡율(F$_1$, F$_2$, F$_1$/P$_2$)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6배체 트리트케일$\times$6배체 밀의 잡종 초기세대에 있어서의 교잡능력 및 염색체수의 변이와 작물학적 특성 (Crossability, Variation of Chromosome number and ag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rogeny derived from the crosses between the hexaploid triticale(X Triticosecale wittmack) and hexaploid wheat(Triticum aestivum L.))

  • 황종진;하용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0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34-35
    • /
    • 1990
  • PDF

배주배양 없이 재배메밀(Fagopyrum esculentum)과 자식성 야생메밀(F. homotropicum)의 종간잡종 육성 I. 한국재래종 및 외국품종의 F. homotropicum과의 교잡친화성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Fagopyrum esculentum and F. homotropicum without ovule culture I. Crossability of Korean landraces and foreign varieties with F. homotropicum)

  • 박철호;김연복;최수용;이상용;허권;신영범;정찬선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174-175
    • /
    • 1999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상종 상호간 및 야상 화분을 재배 3품종에 인공교배를 한때의 임성 (Interspecific crossabilities among wild mulberry species and cultivars growing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2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뽕나무 3종 즉 돌뽕나무, 몽고뽕나무, 산통나무를 상호 인공교배 하였을 때, 그리고 한반도의 자생 뽕나무 3종을 화분친으로 하여 재배 3종의 대표적인 3품종에 인공수분 하였을 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몽고뽕나무와는 불가능하였으며,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였고 대륙뽕과는 약간 곤란하였다. 2. 몽고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 돌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대륙뽕과는 불가능하였다. 3. 산뽕나무의 화분은 돌뽕나무, 몽고뽕나무와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검설뽕과는 매우 용이하고 청일뽕과는 보통으로 용이하였으며, 대륙뽕과도 수정이 가능하였다.

  • PDF

6배체 트리티케일 2배체 호밀과의 잡종 초기세대에서 교잡 친화성 및 염색체 변이 (Crossability and Chromosome Variation in the Early Generation of the Crosses between the Hexaploid Triticale and Diploid Rye)

  • 황종진;이홍석;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85-495
    • /
    • 1991
  • 트리티케일 품존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2배체 호밀 2개 품종 등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교잡친화성 및 세포유전학적 양상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기호밀 (TC)과 2배체 호밀의 교잡에서 교잡율은 조합에 따라 39.3~41.6%로, 평균 40.5%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역교배에서는(2배체 호밀$\times$신기호밀) 교잡율이 극히 낮았다. 트리티케일/2배체 호밀의 F$_1$에 호밀을 화분친으로 교잡(F$_1$/P$_2$)했을 때는 평균 5.47%, TC를 화분친으로(F$_1$/P$_1$) 했을때는 평균 2.69%의 교잡율을 보였고, F$_2$는 0.38% 였다. 모든 단교배 F$_1$ 종자의 발아율은 80% 이상이었으며 F$_1$/P$_2$ 세대는 평균 65.9%, F$_1$/P$_1$은 59.5%, F$_2$는 40.8%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트리티케일과 호밀의 F$_1$ 화분 임성은 평균18.7%로 나타났다. 트리티케일과 호밀의 F$_1$에서 1가 염색체 12.6, 2가 염색체 6.94, 3가 염색체 0.53개였다. 트리티케일/호밀(TC/R)에서는 F$_1$의 염색체수는 28개였고 F$_2$는 21~34, F$_1$/P$_1$은 33~38개의 분포를 보였고 F$_1$/P$_2$은 20~21개 염색체를 갖는 개체의 빈도가 높았다.

  • PDF

Pinus thunbergii×P. massoniana F1 교잡종(交雜種) 유묘(幼苗)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P. massoniana F1 Hybrid Seedlings)

  • 박문한;전계상;윤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51-55
    • /
    • 1985
  • Pinus thunbergii를 교배모수(交配母樹)로 하고 대만(台灣)으로부터 도입(導入)된 P. massoniana 화분(花粉)으로 인공교배(人工交配)한 교잡종(交雜種)과 그의 모수(母樹) 풍매차대(風媒次代)들에 대(對)한 충실종자생산(充實種子生産), 생장(生長),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 및 Phenol 물질함량(物質含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과당(毬果當) 충실종자(充實種子) 생산량(生産量)은 교잡종(交雜種)이 평균(平均) 2.3립(粒)으로 풍매(風媒) 26립(粒)에 비(比)하여 저조(低調)하였다. 2) 유묘시(幼苗時) 묘고생장(苗高生長)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風媒次代)에 비(比)해 평균(平均) 151%로 우수(優秀)하였으며 120~208%의 변이(變異)를 나타냈다. 3) 침엽(針葉)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묘(風媒次代苗)에 비(比)하여 침엽(針葉)이 부드럽고, 연(軟)하고, 길며, 연록색(軟綠色)을 나타내고 해부형태(解剖形態)에 있어서는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가 P. thunbergii 풍매차대(風媒次代)는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교잡종(交雜種)들은 중위(中位)와 외위(外位)가 동시(同時)에 나타났다. 4) Phenol 물질분석(物質分析)에 있어서는 교잡종(交雜種)과 P. thunbergii 풍매차대간(風媒次代間)에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Unknown 4와 6의 물질(物質)이 교잡종(交雜種)에만 나타난 사실(事實)은 특이(特異)하나 이것이 화분수(花粉樹)에서 유래(由來)된 것인지의 여부(與否)는 좀 더 구명(究明)되어야 할 과제(課題)이다.

  • PDF

화본과목초의 종.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 교잡* 일령에 따른 Callus형성과 식물체재분화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ization in Herbage Grasses I. Effects of hybrid embryo age on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 박병훈;김명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2-67
    • /
    • 1989
  • A breeding program in progress at Suweon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RDA, involves the hybridization of italian ryegrass (Lm) and several leading forage grasses in an effort to combine the nutritive, productivity and palatability qualities of Lm with the adaptive and cold resistance qual; .les of several leading grasses. In order to study the fate of the hybridization between remotely related species, immatured hybrid embryos were cultured on media. The emasculated plants of Lm were Sikem and Tetrone. Reweille, 2n=14, of perennial ryegrass (Lp.), Forager, 2n=42, of tall fescue(Fa), First, 2n=14,of meadow fescue(Fp), Potomac, 2n=28, of orchardgrass(Dg), and Richmond, 2n=42, of timothy(Ph.p) were used as pollinators. Embryos were isolated on 4, 8, 12, 16, and 20 days after pollination and cultured them on modified Murashige and Skoog media. Calluses and plantlets have been obtained after 8 days old embryos crossing between $Lm{\times}Fa$, after 12 days embryos crossing between $Lm{\times}Lp$, Dg, and Ph.p, and after 16 days embryos crossing between $Lm{\times}Fp$. Both callus and shoot formation occurred on 6 % or less of the plated embryos of $Lm{\times}Fp$, Dg, and Ph.p. Embryoderived callus forming shoots have been obtained from 4 days old embryo crossing between $Lm{\times}Dg$ which has not successfully been done anywhere as far as we know. It means that hybrid plants of species without crossability can be obtained through the use of immatured embryo culture. Some of plated embryos developed directly shoots from embryos and the others shoot-forming callus. Cross between related species showed a high frequency of directly shoot formation from plated embryos and cross between remotely related species a high frequency of callus 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