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talk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PoC Box 단말의 RTSP 운용을 위한 사용자 요구 중심의 효율적인 다중 수신 버퍼링 기법 및 패킷화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erformance Analysis on Effective Multiple Buffering and Packetizing Method of Multimedia Data for User-Demand Oriented RTSP Based Transmissions Between the PoC Box and a Terminal)

  • 방지웅;김대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4-75
    • /
    • 2011
  • PoC(Push-to-talk Over Cellular)는 그룹 음성 및 영상 통화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한 단말 기술이다. PoC는 부재, 긴급 상황, 배터리 방전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PoC 세션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용자에게 종래 MMS 서비스에서의 MM Box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 PoC Box를 사용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PoC 표준안에서는 PoC Box에서 PoC 단말로 미디어 전송 시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기존의 RTSP를 적용한 VOD 서비스의 경우는 빠른 유선 네트워크 망을 고려하여 패킷의 크기를 크게 구현하는 반면 PoC 서비스는 무선 통신 환경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RTSP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패킷의 손실률이 비교적 유선 통신 환경에서보다 다소 높기 때문에 PoC 단말 측에서 미디어 재생 시 화면 끊김 현상, 영상과 음성의 비동기화 발생, 버퍼링 대기 시간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PoC 단말 측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있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RTSP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검색 시 단시간 내에 전송되는 미디어에서 효과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재생 지연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교차 이중 수신 버퍼링 기법", "사전 분할 다중 수신 버퍼링 기법", "On-Demand 다중 수신 버퍼링 기법"과 전송 시 미디어 데이터의 패킷화 방법인 "동일 순위 패킷화 전송 방식", "우선 순위 패킷화 전송 방식"을 제안하였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의 적정성 및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실시된 시뮬레이션 성능 평가에서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성향에 따라 제안된 다중 수신 버퍼링 및 패킷화 방식이 기존 단일 수신 버퍼링 방식과 비교하여 효율성 및 우수성 평가에서 6-9점 이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 중 On-Demand 다중 수신 버퍼링 기법은 동일순위 패킷화 방법과 사용될 때 타 기법과 비교하여 3-24점 사이의 우수성을 보임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미디어 검색 성향에 대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 또한 단시간 내에 사용자가 집중적으로 미디어 검색이 이루어지는 재생 시간대에 대해 많은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받기 때문에 단말 사용자에게 빠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3DTV 엑티브 셔터 안경을 위한 저전력 이산-사건 SoC (Low-Power Discrete-Event SoC for 3DTV Active Shutter Glasses)

  • 박대진;곽승호;김창민;김탁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6호
    • /
    • pp.18-26
    • /
    • 2011
  • 엑티브 셔터 안경 기반 3DTV와 페시브 편광 필터 안경 방식 3DTV의 화질 비교는 최근에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엑티브 셔터 안경 방식 기술이 Full-HD 3D영상 구현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스테레오 영상에 대한 동기 신호의 전송, 수신, 및 재구성 과정 중에 내부/외부 잡음 환경에 영향을 받아 3D안경에 탑재된 동기화 프로세서 칩의 오동작으로 영상 플리커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동기 신호에 실리는 잡음의 제거 및 오차 보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추가로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TV 엑티브 셔터 안경을 위한 동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구현하는 저 전력 이산 사건 (Discrete-Event) 기반 SoC (DE-SoC)칩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벤트 적재기와 소수점 타이머 하드웨어를 구현한다. 제안한 기법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동기 수신 회로 구동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전력을 소모하는 하드웨어를 부분을 최소화 하며 소수점 타이머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 수신 부를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동기를 유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무선 동기 수신부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외부 잡음의 영향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을 위해 약 15,000개의 로직 게이트와 1Kbytes SRAM 버퍼를 추가로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 소모는 기존대비 약 20%이하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TV로부터 오는 동기 신호 없이도 2시간동안 1%정도의 동기 오차를 보여준다.

배양중인 흰쥐 뇌하수체 전엽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의 영향 (Effect of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Cells Derived from Rat Anterior Pituitary Gland)

  • 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37-242
    • /
    • 2000
  • 흰쥐 시상하부에서 합성ㆍ분비되어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growth hormone (GH) 분비를 촉진하는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이 시상하부 이외 조직들 (extrahypothalamic tissues)인 태반, 생식소, 그리고 뇌하수체 전엽에서도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발현되는 GHRH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i)세포 배양을 시행하면서 GHRH의 세포내 함량, 분비 그리고 세포분획법 (cell-fractionation)을 사용하여 분리한 뇌하수체 세포 유형별로 GHRH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조사하였고, ii)체외배양 중인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HRH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3$H] thymidine incorporation assay를, 그리고 iii) GHRH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와 세포내 c-fos 유전자 발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GHRH 방사면역측정법을 시행한 결과 상당량의 GHRH-like 분자들이 흰쥐 뇌하수체 전엽내에 존재하고, 체외 세포배양시 분비됨을 관찰하였다. 세포분획을 사용한 실험에서 GHRH 함량은 gonadotrope, somatotrope, lactotrope 그리고 thyrotrope 순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성된 GHRH가 국부적인 조절인자, 특히 상이한 유형의 세포들 간의 상호조절 (cross-talk)을 통해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세포분열과 분화, 그리고 기능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GHRH는 체외 배양중인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3$H] thymidine incorporation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GHRH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는 예상대로 세포내 oncogene 활성 의 증가를 통해 일어나는 것임을 c-fos north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합성되는 GHRH가 paracrine 또는 autocrine 기작으로 GH의 분비 촉진 이외에도 세포분열의 조절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Overview of new developments in satellite geophysics in 'Earth system' research

  • Moon Wooil M.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대한지구물리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7
    • /
    • 2004
  • Space-borne Earth observation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cost effective and rapidly advancing Earth science research tools today and the potential field and micro-wave radar applications have been leading the discipline. The traditional optical imaging systems including the well known Landsat, NOAA - AVHRR, SPOT, and IKONOS have steadily improved spatial imaging resolution but increasing cloud covers have the major deterrent. The new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ENVISAT (launched on March 1 2002, specifically for Earth environment observation), ALOS (planned for launching in 2004 - 2005 period and ALOS stands for Advanced Land Observation Satellite), and RADARSAT-II (planned for launching in 2005) all hav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onboard, which all have partial or fully polarimetric imaging capabilities. These new types of polarimetric imaging radars with repeat orbit interferometric capabilities are opening up completely new possibilities in Earth system science research, in addition to the radar altimeter and scatterometer. The main advantage of a SAR system is the all weather imaging capability without Sun light and the newly developed interferometric capabilities, utilizing the phase information in SAR data further extends the observation capabilities of directional surface covers and neotectonic surface displacements. In addition, if one can utilize the newly available multiple frequency polarimetric information, the new generation of space-borne SAR systems is the future research tool for Earth observa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monitoring. The potential field strength decreases as a function of the inverse squar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the observation point and geophysicists have traditionally been reluctant to make the potential field observation from any space-borne platforms. However, there have recently been a number of potential field missions such as ASTRID-2, Orsted, CHAMP, GRACE, GOCE. Of course these satellite sensors are most effective for low spatial resolution applications. For similar objects, AMPERE and NPOESS are being planned by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The Earth science disciplines which utilize space-borne platforms most are the astronomy and atmospheric science. However in this talk we will focus our discussion on the solid Earth and physical oceanographic applications. The geodynamic application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from various space-borne platforms geological mapping, earthquake and volcano .elated tectonic deformation, generation of p.ecis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evelopment of multi-temporal differential cross-track SAR interferometry, sea surface wind measurement, tidal flat geomorphology, sea surface wave dynamics, internal waves and high latitude cryogenics including sea ice problems.

  • PDF

Molecular Target Therapy of AKT and NF-kB Signaling Pathways and Multidrug Resistance by Specific Cell Penetrating Inhibitor Peptides in HL-60 Cells

  • Davoudi, Zahra;Akbarzadeh, Abolfazl;Rahmatiyamchi, Mohammad;Movassaghpour, Ali Akbar;Alipour, Mohsen;Nejati-Koshki, Kazem;Sadeghi, Zohre;Dariushnejad, Hassan;Zarghami, Nosrato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353-4358
    • /
    • 2014
  • Background: PI3/AKT and NF-kB signaling pathways are constitutively active in acute myeloid leukemia and cross-talk between the two has been shown in various cancers. However, their role in acute myeloid leukemia has not been completely explored. We therefore used cell penetrating inhibitor peptides to define the contributions of AKT and NF-kB to survival and multi drug resistance (MDR) in HL-60 cells. Materials and Methods: Inhibition of AKT and NF-kB activity by AKT inhibitor peptide and NBD inhibitor peptide, respectively, resulted in decreased expression of mRNA for the MDR1 gene as assessed by real time PCR. In addition, treatment of HL-60 cells with AKT and NBD inhibitor peptides led to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as detected by flow cytometer. Results: Finally, co-treatment of HL-60 cells with sub-optimal doses of AKT and NBD inhibitor peptides led to synergistic apoptotic responses in AML cells. Conclusions: These data support a strong biological link between NF-kB and PI3-kinase/AKT pathways in the modulation of antiapoptotic and multi drug resistant effects in AML cells. Synergistic targeting of these pathways using NF-kB and PI3-kinase/AK inhibitor peptides may have a therapeutic potential for AML and possibly other malignancies with constitutive activation of these pathways.

Melatonin inhibits the Migration of Colon Cancer RKO cells by Down-regulating Myosin Light Chain Kinase Expression through Cross-talk with p38 MAPK

  • Zou, Duo-Bing;Wei, Xiao;Hu, Ruo-Lei;Yang, Xiao-Ping;Zuo, Li;Zhang, Su-Mei;Zhu, Hua-Qing;Zhou, Qing;Gui, Shu-Yu;Wang, Y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835-5842
    • /
    • 2015
  • Background: Melatonin, which is mainly produced by the pineal gland, has a good inhibitory effect on cell growth of multiple cancer types. However,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anti-tumor activity for colon cancer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latonin on migration in human colon cancer RKO cells and the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s. Materials and Methods: The viability of RKO cells was investigated by MTT assay after treatment with melatonin, SB203580 (p38 inhibitor) and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MAPK activator) alone or in combination for 48h. The effects of melatonin, and ML-7, a selective inhibitor of myosin light chain kinase (MLCK), and SB203580, and PMA on the migration of RKO cells were analyzed by in vitro scratch-wound assay. The relative mRNA levels of MLCK was assessed by real-time quantitative RT-PCR. Western blott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MLCK, phosphorylation of myosin light chain (pMLC) and p38 (pp38). Results: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colon cancer RKO cells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with melatonin. The expression levels of MLCK and phosphorylation of MLC of RKO cells were reduced, and real-time quantitative RT-PCR showed that melatoni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MLCK. Furthermore,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p38, which showed the same trend, was also reduced when cells were treated by melatonin. In addition, ML-7 (25umol/l) could down-regulate the phosphorylation of p38. Conclusions: Melatonin could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RKO cells, and further experiments confirmed that p38 MAPK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melatonin-induced migration inhibition through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LCK.

Ebb-and-Flow of Macroautophagy and Chaperone-Mediated Autophagy in Raji Cells Induced by Starvation and Arsenic Trioxide

  • Li, Cai-Li;Wei, Hu-Lai;Chen, Jing;Wang, Bei;Xie, Bei;Fan, Lin-Lan;Li, Lin-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15-5719
    • /
    • 2014
  • Autophagy is crucial in the maintenance of homeostasis and regenerated energy of mammalian cells. Macroautophagy and chaperone-mediated autophagy(CMA) are the two best-identified pathways.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in normal cells, decline of macroautophagy is appropriately parallel with activation of CMA. However, whether it is also true in cancer cells has been poorly studied. Here we focused on cross-talk and conversion between macroautophagy and CMA in cultured Burkitt lymphoma Raji cells when facing serum deprivation and exposure to a toxic compound, arsenic trioxide.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acroautophagy and CMA were activated sequentially instead of simultaneously in starvation-induced Raji cells, and macroautophagy was quickly activated and peaked during the first hours of nutrition deprivation,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near baseline. With nutrient deprivation persisted, CMA progressively increased along with the decline of macroautophagy. On the other hand, in arsenic trioxide-treated Raji cells, macroautophagy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ut CMA activity was not rapidly enhanced until macroautophagy was inhibited by 3-methyladenine, an inhibitor. Together, we conclude that cancer cells exhibit differential responses to diverse stressor-induced damage by autophagy. The sequential switch of the first-aider macroautophagy to the homeostasis-stabilizer CMA, whether active or passive, might be conducive to the adaption of cancer cells to miscellaneous intracellular or extracellular stressors. These findings must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ompensatory mechanisms and answer modes of different autophagic pathways in cancer cells, which might be very important and promising to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targeting interventions for cancer therapies via regulation of autophagic pathway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gonist Attenuates Liver Fibrosis by Several Fibrogenic Pathways in an Animal Model of Cholestatic Fibrosis

  • Alatas, Fatima Safira;Matsuura, Toshiharu;Pudjiadi, Antonius Hocky;Wijaya, Stephanie;Taguchi, Tomoak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4호
    • /
    • pp.346-355
    • /
    • 2020
  • Purpo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has a key role in hepatic fibrogenesis by virtue of its effect on the hepatic stellate cells (HSC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PAR-γ agonists inhibit liver fibrosis, the mechanism remains largely unclear, especially regarding the cross-talk between PPAR-γ and other potent fibrogenic factors. Methods: This experimental study involved 25 male Wistar rats. Twenty rats were subjected to bile duct ligation (BDL) to induce liver fibrosis, further divided into an untreated group (BDL; n=10) and a group treated with the PPAR-γ agonist thiazolidinedione (TZD), at 14 days post-operation (BDL+TZD; n=10). The remaining 5 rats had a sham operation (sham; n=5). The effect of PPAR-γ agonist on liver fibrosis was evaluated by histopathology, protein immunohistochemistry, and mRNA express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Histology and immunostaining showed markedly reduced collagen deposition, bile duct proliferation, and HSCs in the BDL+TZD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BDL group (p<0.001). Similarly, significantly lower mRNA expression of collagen α-1(I), matrix metalloproteinase-2,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 chain, and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were evident in the BDL+TZD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BDL group (p=0.0002, p<0.035, p<0.0001, and p=0.0123 respectively). Moreover, expression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β1) was also downregulated in the BDL+TZD group (p=0.0087). Conclusion: The PPAR-γ agonist inhibits HSC activation in vivo and attenuates liver fibrosis through several fibrogenic pathways. Potent fibrogenic factors such as PDGF, CTGF, and TGF-β1 were downregulated by the PPAR-γ agonist. Targeting PPAR-γ activity may be a potential strategy to control liver fibrosis.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가 있는 광섬유 라인에 라만 OTDR을 이용한 분포 온도 및 변형률 측정 가능성에 대한 연구 (Measurement of Distributed Temperature and Strain Using Raman OTDR with a Fiber Line Includ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s)

  • 권일범;변종현;전민용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43-450
    • /
    • 2016
  • 한 개의 감지 광섬유 라인으로 분포 온도와 몇 개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광섬유 센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포 온도는 감지 광섬유의 라만 안티-스토크스 산란광을 시간영역 반사계(OTDR: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로 측정하고, 변형률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 fiber Bragg gratin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포 온도는 4 km의 단일 모드 광섬유의 감지 광섬유로부터 안티-스토크스 후방 산란광을 양방향에서 취득하고 새로이 고안된 수식으로 온도를 계산하였다. 온도 실험은 감지 광섬유의 중간쯤에서 약 50 m의 광섬유 부분의 온도를 $30^{\circ}C$부터 $7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온도 측정 오차 범위는 $0.50^{\circ}C$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감지 광섬유에 설치된 FBG는 변위 스테이지로 변형시키고 파장 변화를 광학 스펙트럼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각각 0.10 nm, 0.17 nm, 0.29 nm, and 0.00 nm를 얻었다. 이러한 파장 이동은 각각 $85.76{\mu}{\epsilon}$, $145.55{\mu}{\epsilon}$, $247.86{\mu}{\epsilon}$, $0.00{\mu}{\epsilon}$에 해당되었다.

T24 인체방광암 세포에서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Pachymic Acid in T24 Human Bladder Cancer Cells)

  • 정진우;백준영;김광동;최영현;이재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0
    • /
    • 2015
  • Pachymic acid는 복령에서 분리된 lanostane-type인 triterpenoid의 일종이다. 최근 pachymic acid가 항암 및 항염증 효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 등과 같은 약리적인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achymic acid의 항암활성 및 관련 기전 조사의 일환으로 T24 인체 방광암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pachymic acid는 T24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pro-apoptotic 인자들의 발현 증가와 anti-apoptotic 유전자 산물들의 발현 감소가 동반되었으며, MMP의 소실과 tBid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pachymic acid는 extrinsic 및 intrinsic apoptosis 경로의 개시에 관여하는 caspase-8 및 -9의 활성뿐 만 아니라, caspase-3의 활성도 증가시킴으로서 PARP와 같은 기질 단백질의 단편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pachymic acid는 항암활성을 지니는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