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us luteum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3초

한우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발정 동기화된 수란우의 황체 등급이 수정란이식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pus Luteum Grade of Estrus Synchronized Recipients on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 최창용;손준규;조상래;강다원;연성흠;최선호;김남태;정연섭;김성재;정진우;복난희;최진석;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3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rpus luteum (CL) grade on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and we found that CL development was linked to pregnancy rate. The in vivo derived blastocyst-stag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5 recipients synchronized in the estrus cycles. Based on size and palpable characteristics, C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ade. The grade three CL is not to be identified by rectal palpation. The pregnancy rate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in CL size of recipients. In grade one, two, and three, the pregnancy rates were 62.5%, 50.0%, and 0%,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might be affected by the CL status of recipients.

흰쥐 난소 및 부신에서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의 발현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 in the Rat Ovary and Adrenal G land)

  • 김명옥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39-43
    • /
    • 1998
  •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시작되고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StAR)은 스테로이드의 합성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의 안으로 신속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난소, 부신, 고환에서 합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의 발현 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소의 경우 StAR mRNa는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황체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엔드로겐을 분비하는 난포막세포에서도 약한 발현을 보였으며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과립막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황체에서도 황체의 발달 저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성장한 황체에서는 강한 발현을 보인 반면, 퇴화하는 황체에서는 약한 발현을 보였다. 부신에서 StAR mRNA는 피질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수질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특히, 피질의 토리층에서보다 다발층과 그물층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서 발현 양상이 달랐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돼지 황체에서 황체용해와 대식세포와의 관계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crophages During Luteolysis in the Pig)

  • 김원식;한승로;손성경;박창식;양윤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91-202
    • /
    • 2006
  • 황체내에서 대식세포는 자신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을 통해 황체형성기에는 황체형성세포들의 증식과 성장에 관여하고 황체용해시기에는 황체세포들의 아포토시스와 그들의 제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돼지에서 최대성숙황체 시기와 황체의 용해에 따른 대식세포의 역할과 작용기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황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에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포식하는 대식세포들이 관찰되지 않았고, 최대 황체시기와 황체용해시기에 대식세포들은 미세구조와 그것들이 위치하는 부위가 각기 다른 2가지 아형들이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 아포토시스 소체들이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에 의하지 않고 자체 혈관을 통해 제거되는 것으로 보이며, 황체에는 각 시기별로 각기 다른 임무를 띤 아형의 대식세포들이 혈류로부터 들어와 시기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Expression of Fas and TNFR1 in the Luteal Cell Types Isolated from the Ovarian Corpus Luteum

  • Kim, Minseong;Lee, Sang-Hee;Lee, Seunghyung;Kim, Gur-Y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7-112
    • /
    • 2019
  • The corpus luteum (CL) is composed to various cells, such as luteal steroidogenic cells (LSCs), luteal thecal steroidogenic cells (LTCs), luteal endothelial cells (LECs), fibroblast, immune cells and blood cells. The life span of CL is controlled by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luteal cell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poptotic factors in luteal cells derived from bovine CL. The CL tissues were collected from bovine ovaries and luteal cells were isolated from middle phase CL. Then, LTCs and LEC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cellular morphology from LSCs. The expression of Bax, Bcl-2, Fas and tumor necrosis factor 1 receptor (TNF1R) mRNA and protein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 Results show that, Bax and TNFR1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late group than early and middle groups, otherwise Bcl-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late group than early group (P<0.05). Fas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iddle group compared to early and late groups (P<0.05). In addition, Bax and Bcl-2 mRNA in LTCs was lower than LSCs, Fas mRNA was higher than LSCs. The Bcl-2 protein expression was lower at LTCs than LSCs, especially Fas protein in LTC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LSCs and LECs (P<0.05). Otherwise, TNFR1 protein of LTCs were similar with LSCs but higher compared with LEC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results may help understanding of apoptosis ability in luteal cells according to cell type during CL regression of estrous cycle.

Patterns of Ovarian Changes Associated with Surge Mode Secretion of Gonadotropin in Dairy Cows with Cyclic Estrous Cycle

  • Kim, Seung-Joo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97-304
    • /
    • 201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laborate characteristics of ovarian changes including follicles and corpus luteum, and hormonal patterns of gonadotropin surge mode secretions during the normal consecutive estrous cycle in three dairy cows. Non-lactating and multiparous Holstein cows (n=3)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cows were as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ovarian changes (follicle, corpus luteum), ovarian steroids (estradiol, progesterone) and gonadotropin (LH, FSH) surge mode secretion during the successive estrous cycles by rectal palpation, ultrasonography and hormonal assay. The mean length of the estrous cycle for the three cows was $23.1{\pm}1.44days$ (${\pm}SEM$), with a range of 20-28 days. In six estrous cycles, the number of two follicular waves, three follicular waves and four follicular waves was 2, 3 and 1, respectively. The sequential ultrasonographic monitoring showed that the corpus luteum with ${\geq}10mm$ in diameter detected from Day 2 (Day 0 is ovulation) in six estrous cycles of all cows. Preovulatory increases in estradiol concentration reached $10.36{\pm}1.10pg/ml$ on the 2 days before ovulation of the last dominant follicle. All cows exhibited a preovulatory rise in estradiol concentration followed by a typical preovulatory LH and FSH surge. The mean interval from the peak of LH/FSH surge to ovulation of the last dominant follicle was $31.3{\pm}1.76h$ (${\pm}SEM$). In these results, each dairy cow showed that ovarian morphological changes and gonadotropin surge mode secretion will be regula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age, breeds, nutrition, breeding conditions, etc.

젖소 동결수정란의 비외과적 이식시 수란우의 혈장 progesterone, estradiol-17β치 및 혈청화학치가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Levels of plasma progesterone, estradiol-17β and several serum chemical components in recipients at the time of nonsurgical transfer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s)

  • 이병천;조충호;황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9-599
    • /
    • 1989
  • A total of 13 synchronized dairy cattle(Holstein) were used to determine pregnancy rates in relation to plasma progesterone, estradiol-$17{\beta}$ levels and serum chemical values on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and day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 transfer. The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with 1.0~4.0ng/ml of progesterone levels at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recipients with below 1.0ng/ml or above 4.0ng/ml of progesterone levels. On the day of transfer, optimal progesterone levels were between 1.0ng/ml and 4.0ng/ml coinciding with a pregnancy rate of 88.9%. Pregnancy rate decreased when progesterone levels were below 1.0ng/ml(33.3%) or above 4.0ng/ml(0%). Corpus luteum grade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and this result revealed that manual palpation of corpus luteum was not valid criterion of corpus luteum function. Progesterone levels as well as pregnancy rat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hether the corpus luteum was on the right($1.62{\pm}1.33ng/ml$; 63.5%) or left ovary($1.99{\pm}0.61ng/ml$; 85.0%). Estradiol-$17{\bet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recipients, but estradiol-$17{\beta}$ levels($82.2{\pm}13.5$ VS. $72.3{\pm}10.1pg/ml$) were higher at below 1.0ng/ml of progesterone, and pregnancy rates(33.3 VS. 80%) tended to be lower than above 1.0ng/ml of progesterone. Total cholesterol levels on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and day of transfer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Calcium and inorganic phoshorus levels belonged to normal range in most of the recipients. These range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In reviewing above results, plasma progesterone levels(1.0~4.0ng/ml) at the time of transfer are diagnostic value for screening recipients prior to transfer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s.

  • PDF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I. PEG 30% FSH 투여가 한우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I. Effects of In Vivo Embryos Production by PEG 30% FSH in Hanwoo)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1-156
    • /
    • 2003
  • 한우의 수정란을 보존하기 위하여 고급육계통과 다유계통의 공란우를 선발하여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 황체수에 대한 채란된 수정란의 수 그리고 채란 수정란수에 대한 이식가능한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유계통의 공란우는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 고급육 계통의 공란우는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의 종빈우를 선발하였다. 과배란처리 방법은 발정후 11일차에 PEG 30% FSH를 견갑부에 피하주사로 1회 투여하고 13일차에 PGF$_2$a 25mg을 투여하였으며 15일차와 16일차에 각각 2회씩 인공수정하였고 23일차에 채란하였다.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은 좌측난소가 47.1% (242/513), 우측난소가 52.8%(271/513)로써 우측의 반응이 좋게 나타났고 황체의 반응과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의 회수율은 79.9%(410/513)로 나타났다. 회수된 수정란 중에서 이식이 가능한 수정란은 86.5%(355/410)이었고 수정란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상실배는 61.6%(219/355), 배반포는 38.3%(136/355)로 나타났으며 두당 이식가능한 생산수는 6.4개였다.

복강경을 이용한 한국흑염소의 성주기 판정 (Laparoscopy Application to Determine Estrous Cycle in Korean Black Goats)

  • 양홍석;장성근;용환율;조종기;신상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74
    • /
    • 2007
  • 본 연구는 복강경을 이용하여 한국흑염소의 난소를 연속적으로 관찰하여 그 형태적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한국흑염소의 성주기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한국흑염소의 수정란 이식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CIDR^(R)$ 제거 2일 후부터 복강경 수술을 통해 난소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난소의 크기와 황체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황체는 그 성숙과 퇴축 과정에 따라 corpus hemorrhagicum(CH), corpus luteum(CL), corpus albicans(CA)로 나누었다. 배란 전일(Day 0)에는 배란 직전의 대형난포(Graafian follicle)가 존재하였고, 배란일(Day 1)에는 배란 직후의 함몰 부위(OD)를, 그리고 배란 2일째(Day 2)에는 초기 출혈체$(CH_1)$가 관찰되었다. 배란 3일 및 4일째에는 배란된 자리로부터 형성된 출혈체가 성숙하여 $CH_2,\;CH_3$로 발육되며 점차 그 크기가 커지고 주위에 잘 발달된 혈관의 분지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란 5일째와 6일째에는 완전히 성숙하여 난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성숙 황체$(CL_3)$를 관찰하였다. 배란 10일째에는 더욱 발달한 성숙 황체와 함께 같은 쪽 또는 반대편 난소에 작은 난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배란 15일째에는 10일째 생성된 난포와는 다른 새로운 난포가 나타나 발육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란 17일과 18일째에는 점차 황체의 크기가 작아져 $CL_2,\;CL_1$의 단계로 퇴행하였고, 배란 20일과 22일째에는 완전히 퇴행된 황체, 즉 백체(CA)의 존재와 함께 같은 쪽 또는 반대편 난소에 발육된 우세난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복강경을 통한 난소의 변화상을 관찰한 결과, 한국흑염 소의 발정주기는 estrus기(성숙 난포기)가 1일(성주기제 0일), metestrus기(배란 및 황체 발육기)는 4일(성주기 제 $1{\sim}4$일), diestrus기(황체기)는 $12{\sim}13$일(성주기 제$5{\sim}16/17$일), proestrus기(황체퇴행 및 난포 형성기)는 5일(성주기 제 $17/18{\sim}21/22$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난소의 육안적 관찰을 위해 사용한 복강경 시술은 개복술에 비래 수술 상처와 감염이 적고 수술 후 회복도 빨랐으며 최소한의 유착과 수술 시간의 단축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한국흑염소의 수정란이식 등에 그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POSSIBLE ROLE OF INTERLEUKIN-l IN BOVINE CORPUS LUTEUM

  • NISHIMURA Ryo;TANIGUCHI Hiroaki;OKUDA Kiyosh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1년도 The Asia-Pacific Conference on Reproductive Bi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 /
    • pp.200-203
    • /
    • 2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