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operative education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25초

관·학·민 협력 융복합 교육 캡스톤디자인 모델 제시 - 아동권리증진을 위한 패션제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A proposal of capstone design model for government, academic, and civil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child rights -)

  • 차유미;김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48
    • /
    • 2019
  •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a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operational model that can promote community relations by spreading excellent practices through governmental, academic, and civil cooper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lans among cooperative groups for successful promotion, and the production high effects in the fashion sector. The case study presented a new model that combines convergence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the "Fashion Capstone Design" textboo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suggested three types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government, academia and private cooperation, and the convergence of academic and civil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ir role.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has the advantage of complementing and dealing with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community linkages with colleg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colleges and community links can be optimized. Through the example of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being used as a references for a variety of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projects.

유아의 인지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Intellectual Levels)

  • 이정화;최인수;이수련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34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at examining whether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would be differen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To this end, a total of 64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Kyunggi-Do were select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tested on the short form of K-WPPSI and fell into one of two levels (high or low).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irty-five 30~40 minute sessions of cooperative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individual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achieved higher improvements in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than children engaged solely in individual learning. Second, there were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 in terms of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intelligence leve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d a number positive effects upon the level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협동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 Science)

  • 노태희;김창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6-2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협동적인 CAI와 개별적인 CAI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학업 성취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분자 운동 단원에 대해 5차시 동안 협동적 CAI, 개별적 CAI,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학습동기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평균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개념의 파지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개념 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념의 파지 및 학습동기 검사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천문 영역에 대한 STAD 모형의 협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 이용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41-1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orts of cooperative loaming through a 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STAD)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ce ,elated attitudes toward the field of astronom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72 students of the fifth-grade class in a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18 science lessons of the 'Family of the sun' were executed over 6 weeks in the fifth-year students classe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and the contrast group were exposed to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clas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AD cl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greater effect up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toward the field of astronomy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Additionally,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cooperative learning provokes both interest in loaming and in their studies generally and also they expressed a desire to continue with cooperative teaming methods.

  • PDF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A Study of the Conditions of Cooperative Child-care Places i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2호
    • /
    • pp.1-24
    • /
    • 2018
  • Communal places for parents to take child-care are very important in activating cooperative child-care(CCC). Therefor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been operating Cooperative-Childcare-Places(CCPs) since 2016.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CPs and presented the model type to provide data for the activation of CCC. Qualitative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10 staff members. The common task they considered difficult was recruitment,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regular program depending on the competence of the staff in charge. The lack of support systems, such as education and consulting, has made it difficult for the staff to do their work. Additionly, four models of CCPs were found, a resident self-governing type, a workplace type, an institutional type, and a rural complex type. In conclusion, CCP spaces should be planned and facilities created with a focus on the needs of child-care activities. Second, the role of staff in helping to organize the parents' self-governing committee is crucial. Third, it needs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staff members.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the Pre-service Teachers'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8-2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의 학생 4개 심화반 121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으로는 교수력 함양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Maker 수업, 계절별 별자리 지도방법, 손가락 화석만들기, 달의 위상변화, 계절의 변화 원인, 망원경 다루기, 드론교육을 12주간 실험처치 하였다. 그리고 연구집단에 사전-사후검사로 과제 집착력 검사, 창의적 인성 검사를 하였다. Jigsaw 협동학습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제집착력 향상과 창의적 인성 함양이 될 수 있도록 연구절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창의적인 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과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학생 중심의 활동을 강조한 협동학습의 교수 효과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Student-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ourse)

  • 임희준;박수연;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1-208
    • /
    • 1998
  • 일반적으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지만, 과학 실험 수업에서의 학업 성취 및 상위 수준 학생에 대한 효과는 일관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에서 필요한 고급 사고 수준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를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한 협동학습을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률 조사하였다.5학년의 '용해와 용액' 단원 총 16차시에 대하여 전통적 수업과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학업 성취도, 탐구 사고력, 자연 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등을 비교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와 탐구 사고력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수업 처치와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환경에 대환 인식 중 마찰도에 대한 인식은 협동학습 집단이 높았으며, 자연 수업에 대한 태도와 참여도에 대한 인식에는 두 집단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통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Program through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 윤미란;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학습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 유형은 송민정(2004)의 내용을 참고로 하였으며, 협동학습 구조를 수업 시에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서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역협력형 지역개발 모델의 평가방법론 연구 -산학관 협력체계에 관한 의견조사와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n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 of the Government, University and Industry Cooperativ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 백기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38
    • /
    • 1998
  • 1980년대 선진국에서 대두된 내생적 지역재발정책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산학연지역컨소시엄사업, 지역협력연구센타사업 등 주요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사업의 효과여부에 대한 평가방법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대과학기술의 협력연구 필요성과 지역개발의 방향을 접목시켜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의 개념정립을 시도하고, 주요 사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그러한 사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협력연구의 유형, 대학과 기업, 관청사이의 협력연구 현황과 문제점 인식의 차이 등을 도출하여 평가의 일환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협력사업을 주 대상으로 평가체계와 평가요소를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행 주요사업의 평가방법과 의식조사 내역을 바탕으로 평가방법의 향후방향을 고찰하였다.

  • PDF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ing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Abilities for Learning Mathematics)

  • 이중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97-408
    • /
    • 2005
  • This research developed self-directed teaming program for students who learn mathematics to improve their abilities for learning mathematics. A small-group cooperative teaming model was based on the self-directed loaming program which this research developed. The main target of this program was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program was consisted with three developing parts. The part 1 of program developing was consisted with analyzing and reconstructing mathematics curriculum, devising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and structuring teaching and teaming plans. The part 2 included the management of small-group cooperative Loaming and how to use the materials which this research developed. The part 3 provided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ies for loaming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