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posal of capstone design model for government, academic, and civil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child rights -

관·학·민 협력 융복합 교육 캡스톤디자인 모델 제시 - 아동권리증진을 위한 패션제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차유미 (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
  • 김인경 (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9.01.14
  • Accepted : 2019.02.1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a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operational model that can promote community relations by spreading excellent practices through governmental, academic, and civil cooper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lans among cooperative groups for successful promotion, and the production high effects in the fashion sector. The case study presented a new model that combines convergence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the "Fashion Capstone Design" textboo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suggested three types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government, academia and private cooperation, and the convergence of academic and civil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ir role.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has the advantage of complementing and dealing with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community linkages with colleg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colleges and community links can be optimized. Through the example of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being used as a references for a variety of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projects.

Keywords

References

  1. 김승권, 신희선, 강성곤, 오혜인. (2014). 민관협력의 모형개발과 매뉴얼: 우수사례분석을 기초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자료집.
  2. 김승현. (2014). 확산형.분석형 사고기법이 융합된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신우. (2018).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안제. (1996). 지방자치와 지역개발. 입법조사연구. 통권 제237호.
  5. 김유경. (2015). 액션러닝 기반 패션문화콘텐츠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모형연구: 문화콘텐츠 및 전통 문화 콘텐츠 문헌연구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2, 57-66.
  6. 김인경, 차유미. (2016).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 165-180.
  7. 박영석, 신혜원. (2016). 패스트 패션 융복합 프로그램의 경제교육 연계성 분석. 한국경제교육학회, 23(1), 1-22.
  8.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014).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9. 심미자. (2015). 팀 기반 학습(TBL) 수업전략. 한국간호교육학회 학술대회, 19-35.
  10. 여현정. (2017). 창의.융합 능력 향상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오수진. (2015). 융합형 패션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윤명한. (2014). 지역연계 관학협력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3), 253-261.
  13. 은광하, 이완복, 경병표, 유석호, 이동열. (2012). 창의력 기반 게임을 위한 디자인 접근 교육 사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7), 229-235.
  14.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장병철. (2009). 공학대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12(2), 36-50.
  15. 임동진. (2006). 외국 대학의 캡스톤 디자인 (Capstone design) 교육. 대한전기학회, 55(9), 58-61.
  16. 임수정. (2017). 융복합교육을 활용한 고려가요 교육지도 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영하. (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5(1), 191-226.
  18. 지은구, 조성숙. (2010).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학지사.
  19.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 (2013). 융복합 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1), 107-136.
  20. Etzkowitz, H., & Zhou, C. (2007). Regional Innovation Initiator: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 Various Triple Helix Models. Singapore Triple Helix VI Conference.
  21. Ingram, J. B. (1975). 배진수, 이영만 공역. (1995).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창지사.
  22. Michaelsen, L. K., Knight, A. B., & Fink, L. D. (2002). 이영민, 전도근, 공역. (2009). 팀 기반 학습.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