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ing drip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Headspace 법을 이용한 생굴 및 굴 자숙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휘발성 냄새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aw Oyster and Oyster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Using Headspace Method)

  • 최종일;김현주;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77-18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change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raw oyster and its cooking drips using headspace methods.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raw oyster were identified as methylthiomethane and 1,5-hexadiene. When the raw oyster was irradiated at the dose of 5 kGy, 1-pentane was newly detected. On the other hand, 9 compounds including N-methoxyformaldehyd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cooking drips from oyster. Among them, N-methoxyformaldehyde contents in cooking drip was decreased by the gamma irradiation. By the gamma irradiation above 30 kGy, new heterocyclic compounds was found in oyster cooking drips. Therefore, the amount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 raw oyster and cooking drips were changed by gamma irradiation, and these results could be potentially used in the seasoning industry.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mma-irradiated Seafood Cooking Drips)

  • 조으리;김연주;최종일;성낙윤;정필문;김재훈;송범석;윤요한;이주연;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2010
  • Cooking drips which were obtained as by-product after seafood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ies, still contain lots of proteins, carbohydrates, and other functional materi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seafood cooking drips. When the cooking drips of Hizikia fusiformis, Enteroctopus dofleini and Thunnus thynnus were irradi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hitening effect,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eafood cooking drips were all increased by gamma irradiation. This was because of the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of available compounds by irradi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afood cooking drips, wasted as by-products, can be used as functional compounds with gamma irradiation treatment.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eafood Cooking Drips Using Various Detection Methods)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69-1574
    • /
    • 2011
  • 수산 자숙액의 조사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물리적(PSL, TL) 및 화학적(hydrocarbon 분석) 검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1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를 적용한 자숙액을 PSL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모든 자숙액에서 260~510의 photon counts를 나타내어 자숙액의 방사선조사 여부의 확인 방법으로서 PSL은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사료되었다. 수산 자숙액에 TL법을 적용한 결과 톳 및 문어 자숙액의 경우 방사선 조사한 자숙액에서 150~250$^{\circ}C$ 범위에서 특정한 glow curve가 나타났으므로 방사선조사 여부를 확인하는데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참치 자숙액의 경우 감마선조사에 의해 유래되는 hydrocarbon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참치 가공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자숙액의 낮은 지방산 함량과 자숙 공정에 따른 상이한 지방산 조성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산 자숙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이화학적 물성 변화 평가 (Study on the Changes in Phyicochemical Properties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Ray Irradiation)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윤요한;송범석;전병수;안동현;이주연;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7
    • /
    • 2010
  • Cooking drips which were obtained as by-product after seafood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ies, still contain lots of proteins, carbohydrates, and other functional materials. But, the seafood cooking drips are easily contaminated because of its rich nutrients, and their color are very d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seafood cooking drips including Hizikia fusiformis, Enteroctopus dofleini, and Thunnus thynnus. The Hunter's color values (L, Brightness) of H. fusiformis, and T. thynnu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showing becoming bright. The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lipid content were increased by gamma irradi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amma irradiation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of available compounds in cooking drips.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 김현주;최종일;이희섭;김재훈;변명우;전병수;안동현;육홍선;김기혁;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6
    • /
    • 2008
  • 수산가공 폐자원인 수산 자숙액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방안의 연구 일환으로 톳, 문어 및 참지 자숙액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마선 조사를 하여 이에 대한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감마선 조사한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S.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복귀돌연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시험적용농도인 $1,250{\sim}5,000{\mu}g\;plate^{-1}$의 범위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E. coli PQ37에 대한 돌연변이원성을 알아본 결과 $1,250{\sim}5,000mg\;assay^{-1}$의 범위 안에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원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한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은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식품 및 공중보건산업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의 오염 미생물군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Contaminating Seafood Cooking Drips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전병수;안동현;권중호;황영정;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6-291
    • /
    • 2009
  • 수산 가공 부산물인 자숙액을 식품 및 공중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자숙액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톳, 참치 및 굴 자숙액을 시료로 하여 1-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미생물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생존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굴 자숙액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톳 및 참치 자숙액에서는 약 6.4 및 3.1 log CFU/g의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미생물 수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의 감소와 자숙액에 오염된 미생물의 살균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자숙액 종류별로 미생물의 감마선 저항성이 상이하였다. 수산 자숙액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톳 자숙액의 경우 10 kGy, 참치자숙액의 경우 20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자숙액에 오염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L. plantarum, L. pentosus, Paenibacillus sp., B. subtilis, B. gelatini 등을 포함하여 총 20종의 오염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톳 자숙액에서는 주로 Lactobacillus 속 들이 주로 검출되었고, 참치 자숙액에서는 Bacillus 속이 주로 검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함량 변화 (Changes of the Protein Contents 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현주;성낙윤;변의백;김재훈;전병수;안동현;조국연;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89-493
    • /
    • 2008
  • 수산가공 폐자원인 수산 자숙액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방안의 연구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가 수산 자숙액 내 단백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을 감마선 조사하여 단백질 정량 및 SDS-PAGE를 진행하였다. Lowry, BCA 및 Kjeldahl 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실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0 kGy이상에서는 선량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졌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자숙액을 SDS-PAGE를 이용한 전기영동적 분리정도를 확인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단백질의 응집과 저분자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추출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의 동정 및 구조변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수산 자숙액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afood Cooking Drips)

  • 오현석;강경태;김혜숙;이재형;지성준;하진환;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95-602
    • /
    • 2007
  • 참치, 굴 및 문어 가공 중 액상 부산물로 발생하는 자숙액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건강 기능성 조미소재로서 자숙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5배 농축한 자숙액은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참치 자숙액이 18.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문어 자숙액 7.4%및 굴 자숙액 6.8%의 순이었으며, 조회분 함량의 경우 굴 자숙액이 10.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참치 자숙액 8.7% 및 문어 자숙액 4.9%의 순이었다. 중금속 함량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3종의 자숙액 모두가 식품가공 소재로 이용하여도 안전하리라 판단되었다. 유리아미노산과 taste value로 미루어 보아 맛의 강도는 참치 자숙액이 가장 강하리라 판단되었고, 다음으로 문어 자숙액 및 굴 자숙액의 순이었으며, 이들의 맛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에 의하여 좌우되리라 판단되었다. 자숙액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참치 자숙액이 16.2 g/100 m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어 자숙액 6.3 g/100 mL 및 굴 자숙액 5.9 g/100 mL의 순이었으며, 참치 자숙액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총 아미노산의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1.9%), proline(9.2%), glycine(9.1%) 및 histidine(11.5%) 등이었다. 무기질은 참치 자숙액 및 문어 자숙액의 경우 철의 보급원으로 기대되었다. ACE 저해능은 수산 자숙액 중 참치 자숙액이 14.1 mg/mL로 가장 효과가 기대되었으나 일반 수산물 가수분해물에 비하여는 아주 미약하였고, 항산화능의 경우 다소 기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3종의 자숙액 중 단백질 및 맛의 강도 등으로 미루어 보아 참치 자숙액의 경우 조미소재로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고, ACE 저해능과 같은 건강 기능성의 기대를 위해서는 효소처리 등과 같은 후처리 공정 등이 진행되어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문어 자숙액의 항산화 활성 증가 원인 규명 (Investigation on the Increase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ng Drip from Enteroctopus dofleini by Irradiation)

  • 최종일;김연주;성낙윤;김재훈;안동현;전병수;조국연;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1-124
    • /
    • 2009
  • 문어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한 항산화능의 증가 원인을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문어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에 polyclar$^{TM}$를 처리하여 폴리페놀을 흡착시켜 제거한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한 결과, 폴리페놀이 제거되지 않은 자숙액에서와 같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항산화능 증가가 확인되어졌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자숙액의 항산화능의 증가는 폴리페놀에 의한 원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숙액에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단백질에 대한 방사선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NH_4){_2}SO_4$ 를 이용한 침전법으로 분리하여 얻어진 문어 자숙액 단백질 수용액에 방사선 조사한 결과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하여 50% 이상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어 자숙액에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를 적용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폴리페놀의 함량의 증가에 의한 것보다는 조사에 의해 단백질 구조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레토르트 열처리 조건에 따른 굴자숙수 농축물의 식품성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of Oyster Drip Concentrates Steamed under Different Retort Pressures)

  • 윤민석;김형준;박권현;허민수;염동민;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od components of cooking drips from shell oysters steamed under various retort pressures. Among the drips from shell oyster steamed under different retort pressures (1.0, 2.0, 2.5, 3.0, 3.5, 4.0 and 4.5 kg/$cm^2$) the oyster drip obtained at the 4.5 kg/$cm^2$ of retort pressure had the highest degree of brix, yield, crude protein, glycogen and trichloroacetic acid soluble-N contents, while its salinity was the lowest. In the results of food safety test, the presence of E. coli (18 MPN/100 g>) and viable cell (30 CFU/g>) in the oyster drip was in acceptable level as a food-stuff. However, the sensory evaluation such as color, flavor and taste, total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cooking drip from shell oyster steamed at 4.5 kg/$cm^2$ were inferior to those of oyster wash water. Differences in the major amino acids of total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between oyster cooking drip and oyster wash water were also fou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use methods of oyster cooking drip should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