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media

검색결과 2,075건 처리시간 0.032초

중국 미디어 관리의 생성적 변화와 이데올로기적 수렴 (A Flow of Generative Change and Ideological Convergence in Chinese Media Policies)

  • 고윤실
    • 비교문화연구
    • /
    • 제44권
    • /
    • pp.123-145
    • /
    • 2016
  • 중국의 미디어 영역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제도적 변화에 따라 생성적 변화의 흐름이 존재해왔다. 드라마 생산 영역에서 시장체제가 도입된 이후에는 정부 대리인이자 시장 관리의 역할을 하는 '제편인(制片人)'이라는 사람들이 자생적으로 출현하게 되었으며 국가는 곧 이 '제편인'에게 합법적 자격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제도화하여 제도권 내로 흡수시켰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제편인 제도'는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특수한 환경 하에서 정부의 직접관리에서 간접관리, 그리고 자아검열로의 변화 과정을 잘 드러내는 중국식 관리 모델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풀뿌리 미디어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가 출현하였고, 네티즌들의 참여와 생산 활동으로 문학 영역에 인터넷 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출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동영상과 풀뿌리 미디어의 플랫폼으로 역할했던 일부 사이트가 자체적으로 콘텐츠 생산을 하게 되면서 미디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본래 인터넷을 IT 산업의 일부로 양성하였지만 인터넷이 미디어로서 기능하며 새로운 미디어 지형을 형성하게 되자 점차적으로 이에 대한 규제와 제도를 갖추어나가기 시작했으며, 이후 전면적인 인터넷 미디어 콘텐츠 관리 및 규제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미디어 영역에서 생성적 변화의 흐름이 출현하고 이것이 관방의 미디어 정책에 수렴되는 생성-수렴의 양상이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다.

BcN용 미디어 프로세서형 단말(PMG)의 구현 및 성능시험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Personal Media Gateway for Applications over BcN Networks)

  • 장성환;양수경;차영철;최우석;손석배;김정준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implementation of personal media gateway (PMG) for applications over BcN networks. PMG is a TV based set-top terminal, which enables transmission of Full D1 high quality video and audio at the speed of maximum 2Mbps. It supports SIP protocol and QoS for the BcN networks. The hardware of the PMG consists of host module, audio/video codec processing module, DTMF module, and remote control I/O module. H.263 and MPEG4 software are implemented in DSP as codec for h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streaming, respectively. G.711 and Ogg-Vorbis are implemented as audio codec. We examined the quality of video using the Video Quality Test Equpment, which was developed by KT Convergence Lab.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video quality of MOS 4.1 and audio quality of MOS 4.3. We expect that PMG will be prospective business models, and create new customer value.

  • PDF

Experience Type Applications by the Behavior of Food-Content Creators

  • Yu, Chaelin;Ryu, Gihwan;Moon, Seok-Jae;Yoo, Kyoung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47-253
    • /
    • 2020
  • It has emerged Food-content among various forms of 1-person media through social media. Food-content influencer also market products through 1-person media, generating revenue through increased views and subscribers of 1-person media. It also sells products through sponsorship. In general, there is a profit structure through 1-person media viewing, but research on how restaurant companies generate profits directly through food-content is insufficient. In addition, research on converting subscribers to consumers through food-contents is minim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periential application system based on the behavior of food-content creators. The proposed system collects and categorizes food-content information, and maps between highly related words to organize into keyword categories. The ontology tag-based concept network applied to the proposed system connects representative information by pre-extracting/mapping information related to information requests among a wide range of data. This method maps relevant food-content information to provide the user with data collected/storage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e user uses the application while watching the food eaten by the influencer and creator.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user could be provided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food they want to eat.

자살 보도에 대한 미디어 간 의제 설정 분석: 빅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의제 설정 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s: Network agenda-setting model by using big-data analysis)

  • 김대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1-126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고자 20여년간 미디어에서 자살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네트워크의제설정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자살, 투신, 사망, 시도, 추정, 발견, 남성, 기도, 비관, 여성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상위 10대 핵심어로 나타났고, 이러한 핵심어들은 유사하게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도 비교적 유사한 형태의 보도 경향이 나타나며, 미디어 간 의제 설정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자살문제를 해결을 위한 미디어 보도의 방향성에 대해서 대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nvergence of Life and Technology from the Nurturing Perspective

  • Wierzbicki, Robert J.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3권1호
    • /
    • pp.7-10
    • /
    • 2014
  • Upbringing requires an active intervention in the process of children growing up. Convergence in technology and media makes it possible to augment nurturing by making blended infrastructures with new digital resources available in learning environments at schools. A game-based provision of educationally-valuable content within a collective, virtual environment combined with an analysis of events in the game after it has been played (blended nurture environment) may help to better communicate human values especially where old-fashioned discussion methods fail or do not fulfill the promise of effective, educational institution-based methods of bringing up. This is where life sciences, psychology, media, pedagogy and technology (need to) converge.

Proposed a consulting chatbot service for restaurant start-ups using social media big data

  • Jong-Hyun Park;Yang-Ja Bae;Jun-Ho Park;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3호
    • /
    • pp.1-7
    • /
    • 2023
  • Since the first outbreak of COVID-19 in 2019, it has caused a huge blow to the restaurant industry. However, as social distancing was lifted as of April 2022, the restaurant industry gradually recovered, and as a result, interest in restaurant start-ups increased. Therefore, in this paper,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restaurant start-up" as a key keyword through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using Textom and then conducting word frequency and CONCOR analysis. The collection period of keywords was selected from May 1, 2022 to May 23, 2023, after the lifting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and based on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restaurant start-up consulting chatbot service is proposed.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융합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Management Strategy using Social Media)

  • 이준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247-249
    • /
    • 2012
  • 급변하는 소셜 미디어 활용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혁신과 이를 가능케 하는 요소로서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효과적인 경영을 가능케 하는 요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요소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경영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뿐 스마트미디어 융합시대에 대비한 융합경영을 위한 해답은 미흡한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시대에 기업성과 극대화를 위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융합경영 전략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초음파전파매개물의 융복합 제형 연구 :제조비용, 윤활성에 대하여 (Convergence Formulation studies of Diagnostic Ultrasound Transmission Media:focusing on the manufacturing costs and rheology)

  • 이혜남;박미순;박연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매개물의 1차적인 목적이외에 부가적인 특징을 조합하여 새로운 초음파매개물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임의 제조된 각 제형에 따른 유동학적 특징과 제조비용을 기성품 제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초음파전파매개물은 제형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적 특성을 지니게 되며, 저점도에멀전과 오일젤에서 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제조비용에서는 수화젤 제형이 물성분이 많을수록 제조비용이 가장 낮았으며, 에멀전과 오일젤 제형에서는 오일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제조비용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초음파의 다양한 영역의 전문성을 겸비한 새로운 초음파매개물의 연구에 대한 초석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미디어 융합과 영화 내러티브의 인터랙티비티 (Digital Media Convergence and Interactivity in Film Narrative)

  • 송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4-122
    • /
    • 2015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극장을 중심으로 한 수동적 영화 관람을 벗어나 더 능동적인 참여를 통하여 영화 내러티브에 개입하고자 하는 관객의 욕망이 영화의 내러티브 구축 방식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철학적 배경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빅스크린을 중심으로 한 집단적인 관극 경험이 과거의 영화적 정체성을 규정짓는 것이었다면,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매체 다변화의 시대에 있어서 점점 극장이 갖는 절대적 가치는 해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책이라는 매체에 대해 롤랑 바르트가 예견했던 저자의 죽음에 비교되는 것으로, 이제 이와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영화'들에 대해 논의할 시대이다. 이러한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영화 내러티브의 변모 양상으로, 특히 3막 구조,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 구성 등이 과거의 내러티브를 규정짓는 것이었다면, 이제 미래의 영화 내러티브는 관객의 참여를 통해 내러티브에 적극적으로 인터랙션하는 구조로 바뀌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게임이 아니라 영화만이 줄 수 있는 수동적 경험성이라는 측면의 가치를 중시하면서 가능한 관객 인터랙션 방식을 고민해보고 지금까지의 인터랙티브 시네마의 시도와 향후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riting Using Media on the Promotion of Creative Convergence Capacity)

  • 방설영;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53-36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을 증진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C시 C대학교 대학생 30명을 2020년 3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25.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평균 0.63점 향상(p<.001), 비판적 사고성향은 1.06점 향상(p<.001), 셀프리더십은 0.53점 향상(p<.001), 자기통제력은 평균 0.51점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현 세대의 대학생들에게 창의융합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웹 미디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와 도구로 동시에 활용하여 글쓰기 교육 효과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미디어를 활용한 대학생의 맞춤형 글쓰기 교육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