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low of Generative Change and Ideological Convergence in Chinese Media Policies

중국 미디어 관리의 생성적 변화와 이데올로기적 수렴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0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A flow of generative change has existed in the Chinese media following polit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nges. Since a market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field of drama production, people called 'zhipianren' who act as government agents as well as market administrators have spontaneously emerged. The government, by granting legal qualifications and authority to these 'zhipianren', have institutionalized and absorbed them within the system. Through this process, the 'drama zhipianren system', under the unique environment of a socialist market economy, demonstrates a Chinese administrative model that effectively reveals the changing process from a direct administration by the government to indirect administration and self-censorship. Furthermore,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the internet, various types of media including grassroots media have emerged, and the participa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netizens has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new genre of literature called internet literature. Furthermore, some websites that functioned as platforms for video and grassroots media came to self-produce contents so as to function as media in and of themselves. Originally, the internet was cultivated as a portion of the IT industry, but when it began to function as media, forming a new media landscape, regulations and institutions were gradually established and subsequently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supervision and regulation over all internet media contents. A flow of generative change in the field of media has emerged, and the pattern of generation-convergence repeats itself as the official media policies converge.

중국의 미디어 영역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제도적 변화에 따라 생성적 변화의 흐름이 존재해왔다. 드라마 생산 영역에서 시장체제가 도입된 이후에는 정부 대리인이자 시장 관리의 역할을 하는 '제편인(制片人)'이라는 사람들이 자생적으로 출현하게 되었으며 국가는 곧 이 '제편인'에게 합법적 자격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제도화하여 제도권 내로 흡수시켰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제편인 제도'는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특수한 환경 하에서 정부의 직접관리에서 간접관리, 그리고 자아검열로의 변화 과정을 잘 드러내는 중국식 관리 모델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풀뿌리 미디어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가 출현하였고, 네티즌들의 참여와 생산 활동으로 문학 영역에 인터넷 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출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동영상과 풀뿌리 미디어의 플랫폼으로 역할했던 일부 사이트가 자체적으로 콘텐츠 생산을 하게 되면서 미디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본래 인터넷을 IT 산업의 일부로 양성하였지만 인터넷이 미디어로서 기능하며 새로운 미디어 지형을 형성하게 되자 점차적으로 이에 대한 규제와 제도를 갖추어나가기 시작했으며, 이후 전면적인 인터넷 미디어 콘텐츠 관리 및 규제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미디어 영역에서 생성적 변화의 흐름이 출현하고 이것이 관방의 미디어 정책에 수렴되는 생성-수렴의 양상이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