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ualiz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재실자 일상생활 활동 패턴 추출을 위한 행동 컨텍스트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Behavioral Contextualization for Extracting Occupant's ADL Patterns in Smart-home Environment)

  • 이보경;이현수;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31
    • /
    • 2018
  • 고령자 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전 세계적 추세이며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와 같은 노인성 기능 질환의 경우 고령자의 일상생활 활동 (ADL) 패턴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소와 다르거나 비정상적인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치매 조기진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큰 기존의 직접적 센싱 방식과 달리 간접적 센싱 방식 (Non-intrusive approach)을 활용하여 재실자의 최소한의 정보 (Coarse-grained data)만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활동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추출된 활동 및 활동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활동의 맥락적 정보를 시각화하는 방법 또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정보 중 시 공간 데이터 로그만을 활용하여 재실자의 수행 활동을 추출하고 컨텍스트화 된 행동 정보를 공간-활동 지도 (Space-Activity Map)로 시각화한다. 본 연구는 재실자의 일상생활 활동 패턴을 추출하는 데 기반이 되는 연구로서, 향후 고령자를 위한 상시적인 건강 모니터링 기술의 도입에 기여할 수 있다.

'참여와 실천' 차원을 강조한 비형식 초등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formal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Participation and Action')

  • 김형욱;신채연;박지원;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337-352
    • /
    • 2024
  • 본 연구는 참여와 실천의 차원을 위한 창의적 설계 기반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참여와 실천의 지역화와 맥락화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를 선정하였고 연구 개발진의 반복적인 논의와 수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마션, 화성에서 살아남기', '선정릉이 있어 다행이다', '햇빛 레스토랑 설계하기'의 세 가지 프로젝트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2차시로 프로젝트 수행 이외에도 학습을 수행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자료로 정리하고 발표하는 발표회를 포함하여 개인적인 맥락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5~6학년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참여와 실천 차원, 과학긍정경험은 전체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에 사전・사후 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검사 문항 말미에 학생들의 소감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는 자율 서술식 문항을 추가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효과성에 대한 적용 결과, 참여와 실천 차원의 안전 사회 기여에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으며 그 외의 다른 하위 구인도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긍정경험과 관련해서는 과학 관련 자아개념이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고 다른 하위 구인도 참여와 실천 차원과 동일하게 모두 소폭 상승하였다.

Literary Study in Representation of City Images in Contemporary Theater: A Comparative study of Modern American and Modern European Theater

  • Yang, Gi-Chan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227-246
    • /
    • 2005
  • The difference between presentation of cities in the European modern drama and its counterpart the American modern drama denotes and comes from two very different images of cities. While the European modern drama presented cities that were desolate and fantastic to certain measure, the American modern drama presented the images of actual cities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spectators and readers. Although one cannot 'actually' identify any actual representation of cities in both the European and the American dramas, the images of cities can be discerned in the dialogue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s themselves. In this perspective the images of cities that are represented in any work of modern drama are actually represented through metaphors and connotations. The images in this instance rests and can only be identified within the boundaries of psychology. The dialogues are means through which the author communicates with the spectators. Because drama is above all categorized as being a work of text before representation, deciphering drama also falls in to same cadre as any other literary texts. Through the means of 'decontextualisation' the reader/spectator identifies with the associated images that the text proposes.

  • PDF

재생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특성 연구 -독일의 졸페라인 탄광 지구 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me Features Appear in Renewal Space -Focusing on the Renewal Project of the Zollverein Coal Mine Industrial Complex in German-)

  • 이현진;이상준;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0-69
    • /
    • 2014
  • The features of the cultural phenomenon, 'Hybrid Culture,'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Meme,' the cultural gene continuously evolves. The architectural meme also has an effect as the cultural symbol on a space. It can be the solution to the urban problems, lack of contextualization caused by reckless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stainable and effective renewal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Meme. Theoretical analysi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case study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Meme features of the renewal space.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me features appeared in the Zollverein Coal Mine Industrial Complex in Germa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s as written below. First, Meme renewal space is a design that can solve the contextual deficiency of architecture through the cultural renewal. Second, the true renewal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meme space that organically changes as if an organism. Third, it is possible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n the organ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volving phases-Mimesis, Memeplex, and Metameme. Fourth, the true meaning of sustainable renewal space is the Meme space encompasses the scope of urban. Lastly, the Meme space has a circulation system that each evolving phase, and new and old continuously exchange feedbacks.

A Usability Assessment Metric for Ubiquitous Services: Quantification of the Interactivity Attribute in Inter-personal Services

  • Lee, Joo-Hwan;Song, Joo-Bong;Yun, Myung-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6
    • /
    • 2012
  • Objecti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ser-centered assessment metric for ubiquitous services. Background: As the ubiquitous era took off, the interactions between ubiquitous services and users have come to take an important position. It is essential to conceptualize a new assessment model that considers human-system interaction capability with a user-centered design perspective. Method: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interactivity of ubiquitous service was approached from the concept of usability and inter-personality of services. As a validation study, suggested assessment metric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u-Home service. Priority weighting of each assessment metric was derived using the quantification type-I analysis. Results: To evaluate interactivity, this study suggested a quantitative metric for user testing performed after classifying the interactivity characteristics to contextualization; ubiquity; user experience; and service cap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e metric for the ubiquitous service that are experienced in real life,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ubiquitous service interactivity. Application: The suggested evaluation metric can be used to evaluate interactivity level of ubiquitous service and identify the potential problem and usability requirements at the early stage of service development.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irtual Worlds)

  • 류철균;안보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7-186
    • /
    • 2009
  • 가상세계란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2D 혹은 3D로 구현된 가상 환경 속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영속적 공간으로 이 중 15세 이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세계를 어린이용 가상세계라 한다. 가상세계의 교육적 장점으로는 구체적 경험, 현존감, 경험의 공유, 협동 가능성, 유연한 환경을 꼽을 수 있으며 여기에 게임이 가지고 있는 흥미 요소인 명확한 목표, 도전, 협동, 경쟁, 환상을 보탬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가상세계에서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표, 동기, 관계, 도움의 네 영역에 속하는 요소들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어린이용 가상세계인 <노리스쿨>, <미스터 텅두>, <아즈로크>를 분석해 본 결과 명확한 목표 제시, 과제의 맥락화, 적절한 강화 제공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준비성, 사회적 설득, 비계 설정 부분의 보완이 필요했다.

Social Dimensions of Peer Interaction: Primary School Children Working with English Learning Software

  • Park, Heekyong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3호
    • /
    • pp.453-4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aspects of young EFL learners' interaction at the computer. Data were taken from the interactions of three pairs of fourth-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who worked together on English learning software. Their interactions at the computer were videotaped and then all the talk produced by the students and the utterances emitted from the computer were transcribed. As for the analytical tools, the notion of ‘contextualization cues’ (Gumperz, 1982) and the concept of ‘positioning’ (Davies & Harre,1990) were employed.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roles of the students were not tied to a certain position, but rather dynamically changed during the course of interactive work according to the situation at hand. The dynamic changes in their positions were realized through various means; their capability in solving problems, their taking responsibility or assigning it to each other, or cooperation. There were also instances of peer teaching and motivated learning.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autonomy in their learning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students in a dyad had their own place in performing task activities, contributing to solving problems and getting benefits from peer interaction. Furthermore, students' working together on English learning software may provide an environment which can promote cooperative attitude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enhance motivation and autonomy in their learning process.

  • PDF

Distribution of Brand Community in University: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on Higher Education Market-Oriented Strategy

  • Danial, THAIB;Saiful, GHOZI;Hendra, SANJAYA KUSNO;Andriani, KUSUMAWATI;Edy, YULIANTO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5-36
    • /
    • 2023
  • Purpose: Brand communit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omes up as an important topic to be discussed because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can support the institutional brand and ultimately give meaning and vitality to the market-oriented strateg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literature on brand community in higher education have been distributed in research trends, theoretical frameworks, and metho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24 articles were organized from four reputable international databases.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ed by synthesis toward potential directions and suggestions. Results: The researches in this area have increasingly focused on online interacti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relationship theory were the two most prevalent theories used. Since the internet provides any social relationship with a specific relationship to form the brand community, its contextu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resulted in new concept implementation.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within online participati on has impacted the market-oriented strategy of higher education in searching for ways toward a long-term and enduring bond among students, alumni, institutions and brands. As there is a plenteous prospect of data availability combined with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the online participation will pique the interest of scholars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it.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migrant Students)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37-6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 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확률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Using Simulation for a Didactic Transposition of Probability)

  • 신보미;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50
    • /
    • 2008
  • 확률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률 오개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확률 모델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확률 오개념 극복과 확률 모델링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에 시뮬레이션을 도입하고자 할 때, 확률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확률 오개념 극복 교수학적 상황과 확률 모델링 교수학적 상황 구성에 필요한 교수학적 의도와 세부적인 설정 계획을 국소적 수업 이론과 가설 학습 경로의 형태로 구체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