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formal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Participation and Action'

'참여와 실천' 차원을 강조한 비형식 초등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24.03.18
  • Accepted : 2024.04.19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an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reative design for the promotion of participation and action and explore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mini-projects, namely, The Martian: Surviving from the Mars, So Good to Have Seonjeongneung, and Designing a Sunshine Restaurant, with distinct topics focusing on the localization and contextualization of the region in whic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encourage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tion. The researchers selected three topics for each mini-project through discussions and revisions. The program is designed for 42 lessons across the three mini-projects and offers a presentation session in which students present their learnings from the program, constructed to facilitate personal contextualization. Participants included 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rades 5 and 6 who took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re-post surveys comprised two dimensions, 'Participation and Action' and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t the end of the survey, we added a self-descriptive question that allows students to freely write down their feelings and thoughts. We checked the students' though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illustrated by the largest increase in the "safe society" category, whereas there was little increase in other categories under the 'participation and Action' dimension in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Science-related Self-concept' exhibited the largest increase, whereas the other categories displayed little increase from the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dimension category.

본 연구는 참여와 실천의 차원을 위한 창의적 설계 기반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참여와 실천의 지역화와 맥락화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를 선정하였고 연구 개발진의 반복적인 논의와 수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마션, 화성에서 살아남기', '선정릉이 있어 다행이다', '햇빛 레스토랑 설계하기'의 세 가지 프로젝트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2차시로 프로젝트 수행 이외에도 학습을 수행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자료로 정리하고 발표하는 발표회를 포함하여 개인적인 맥락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5~6학년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참여와 실천 차원, 과학긍정경험은 전체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에 사전・사후 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검사 문항 말미에 학생들의 소감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는 자율 서술식 문항을 추가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효과성에 대한 적용 결과, 참여와 실천 차원의 안전 사회 기여에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으며 그 외의 다른 하위 구인도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긍정경험과 관련해서는 과학 관련 자아개념이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고 다른 하위 구인도 참여와 실천 차원과 동일하게 모두 소폭 상승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4단계 두뇌한국 BK21 '인포스피어 과학교육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곽영순, 신영준, 강훈식, 이수영, 이성희(2019).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4), 525-534.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525
  2. 김효준, 송진웅(2019). 미국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과 한국 미래세대과학교육표준(KSES)의 종합적 비교와 TIMSS Science Framework 준거를 통한 수행기대의 물리 내용 요소 분석. 새물리, 69(9), 916-931.
  3. 박종원(2016). 과학적 소양에 대한 세 가지 논의-통합적 이해, 교육과정에의 정착,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13-42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13
  4. 성승민, 여상인(2021). 과학 탐구 키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 학습동기, 과학 관련 자아개념, 진로포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32(3), 99-115.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99
  5. 손오근, 임성민(2016). 안전교육과 과학교육을 통합한 프로그램이 특수교육 대상 중학생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17(1), 143-166.
  6.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7.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8. 심완익, 김효남(2013). 초등학교 과학에서 인지적, 정의적학업성취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1), 43-61. https://doi.org/10.20972/KJEE.24.1.201303.43
  9. 유은주, 소금현(2016).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0(2), 103-115. https://doi.org/10.21796/JSE.2016.40.2.103
  10. 이명제(2009).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초등과학교육, 28(4), 487-494.
  11. 이종혁, 유금복, 이선경(2021).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 SSI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문화와 융합, 43(10), 765-788.
  12. 장진아, 임인숙, 박준형(2021).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5(2), 201-218.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01
  13. 천주영, 이경건, 홍훈기(2021).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483-499.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6.483
  14. Gangnam Future Education Center(GFEX). (2022). 우주선 및 우주기지 체험공간[사진]. 강남미래교육센터, 서울. https://gangnam.future-edu.kr/
  15. Hagop, A. Y. (2018). Scientific literacy for democratic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3), 308-327. https://doi.org/10.1080/09500693.2017.1420266
  16.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9). Scientific literacy for all Koreans: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17. Lacy, S. J., Tobin, R. G., Crissman, S., DeWater, L., Gray, K. E., Haddad, N., Hammerman, J. K. L., & Seeley, L. (2022). Telling the energy story: Design and results of a new curriculum for energy in upper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106(1), 27-56.
  18. Lee, L. S., Lin, K. Y., Guu, Y. H., Chang, L. T., & Lai, C. C. (2013). The effect of hands-on 'energy-saving house' learning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regarding energy saving and carbon-emissions reduc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9(5), 620-638.
  19. Nag Chowdhuri, M., King, H., & Archer, L. (2021). The Primary Science Capital Teaching Approach: Teacher Handbook. London: UCL Institute of Education.
  20. Rickinson, M. (2001). Learners and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3), 207-320. https://doi.org/10.1080/13504620120065230
  21. Roth, W. M., & Barton, A. C. (2004). Rethinking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NY: Routledge.
  22. UNESCO & UNICEF. (2013). Envisioning Education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Executive Summary. Global Thematic Consultation on Education in the Post- 2015 Development Agenda.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23025?posInSet=10&queryId=b70c668f-fd72-48d8-81e2-1f110a011438
  23.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