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learning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초

How Does Cognitive Conflict Affect Conceptual Change Process in High School Physics Classrooms?

  • Lee, Gyoung-Ho;Kwon, Jae-Sool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conflict i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Ninety-seve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instruction, we conducted pretests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During instruction, we tested the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Newton's 3rd Law and presented demonstrations. After this, we tested the students' cognitive conflict levels and provided students learning sessions in which we explained the results of the demonstrations. After these learning sessions, we tested the students' state learning motivation and state learning strategy. Posttests and delayed posttest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 shows that cognitive conflict has direct/indirect effects o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However, the effects of cognitive conflict are mediated by other variables in class, such as state learning motivation and state learning strategy.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was an optimal level of cognitive conflict i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We discuss the complex role of cognitive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수리 문제와 개념 문제 사이의 유도 효과 (Inductive Influence of Algorithmic and Conceptual Problems)

  • 노태희;강훈식;전경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20-32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화학 영역에서 수리 문제 해결과 개념 문제 해결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서 사전 화학 성적이 유사한 4학급(N=112)을 선정하여 AC(Algorithmic-Conceptual problem) 집단과 CA(Conceptual-Algorithmic problem) 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AC 집단의 학생들은 수리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을 수행한 후 개념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CA 집단의 학생들은 개념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을 수행한 후 수리 문제를 해결하였다. 연구 결과, 수리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은 관련된 개념 문제의 해결력을 향상시켰으나, 개념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은 관련된 수리 문제의 해결력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에서는 수리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이 관련된 개념 문제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개념 문제 해결에 대한 학습도 관련된 수리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공간능력, 시지각 회상 능력, 학습양식에 따른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Concepts on Motion of Earth and Moon to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Learning Styles)

  • 김봉섭;정진우;양일호;정지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03-11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patial ability, learning styles, visual-perception- recall abiltiy, and the conceptual construction of the earth and moon's motion. Four paper-and-pencil tests were used to measure students' cognitive variables. Spatial ability was measured by Spatial Visualization Test,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was measured by Rey's Figure which also have used to test visual- perception-recall ability of right-temporal lobes, and VVT were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learning styles. further, the test of concept construction was consisted of 15 items about the earth and moon's motion developed by researcher One hundred and twenty-seven 6th-, one hundred and sixteen 7th-, eighty-seven 9th-grade, ninety-thre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age and learning style on conceptual construction. In the analysis of students' performances,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and conceptual achievemen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with grading. In addition, visual learner's conceptual achievem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conceptual test than verbal learner's(p<0.05).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ile hypothesis that learning styles would differently influence to learning atmospheric concepts by students'learning styles. This study also indicated to be considered the students' spatial ability in learning atmospheric concepts.

  • PDF

고등학생의 과학학습관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earning and Knowing of Science)

  • 박현주;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5
    • /
    • 2001
  • 이 연구는 개념생태 구성요소 중 학습자가 지닌 동기 심리적 관점의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즉 학습자가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가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과 분석 의 전과정 동안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면담, 직접 및 간접 관찰, 문서를 통한 자료 수집을 하여 분석한 후, 사례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열정은 과학 학습에 대한 관점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점은 지식의 본성, 학습의 본성, 인식론적 확신 근거를 포함한 과학 및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과학학습관은 학습자들의 자아 효능과 과학학습 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중학생의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ivational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Change)

  • 임성민;김인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5-13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각각 과학 개념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인으로 가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에 대해 기존 연구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각각 조사하고, 조사한 응답 분포를 바탕으로 이 세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한 잠재변수인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 개념 이해의 측정은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동기적 신념과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동기적 신념은 자기 주도 학습능력에만 영향을 미치고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과학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 학습 능력만이 과학 개념 이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동기적 신념은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학습 과정에 관여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서 확인했다는 점과 과학교육 연구 분야에서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써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수학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중학생의 문자와 식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f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ual Structure Using a Learning Platform)

  • 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67-18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whether learning using a math learning platform can be used to expand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nd to consider how to use it. To this end,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d using a math learning platform. Then, the concept map created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cept map created before learning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oncept structu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 map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ncept appeared as the division of the upper concept was subdivided. However, it has also been changed to comprehensively integrate and simplify higher concepts. The term-centered concept structure has changed to content-centered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oncepts. In the concept structure, subordinate concepts linked to one higher concept were expanded and differentiated. Second, changes in the integrated structure did not form a linkage structure. The expansion of the integrated structure of concepts through learning using the learning platform was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designed in the learning platform.

Conceptual and Procedural Learning in Mathematics

  • Isleyen, Tevfik;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91-99
    • /
    • 2003
  • Isik & K$_1$l$_1$c (1998: Mathematics Education and its Appraising in the Prim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found that man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for primary schools who attended at newly established certificate programs made significant misconception on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not graduates of education faculties. The levels of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of students from a secondary school in Erzurum, Turke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reveal how serious misconception the teachers have been made so far. The conceptu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to students, however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knowledg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conceptual knowledge.

  • PDF

A RESEARCH ANALYSIS ON EFFECTIVE LEARNING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JOINT VENTURES

  • L.T. Zhang;W.F. Wong;Charles Y.J. Cheah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50-458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tatistical analysis and its research findings focusing on the learning aspect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JVs).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derived from a sample of 96 field cases based on a proposed conceptual model of effective learning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joint ventures (ICJVs). The paper presents a brief review on the conceptual model with hypotheses and summarized the key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act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testing of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and its associated research hypotheses. Among other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 confirms that ICJVs provides an excellent platform of in-action learning for construction organization and suggests that good outcomes in learning could be reaped by a company who has a clear learning intent from the beginning and subsequently take corresponding learning actions during the full process of the joint venture.

  • PDF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의 설계와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평가 (Design of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 신선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3-14
    • /
    • 2013
  • 공학교육에 적용할 목적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개념 습득을 위한 탐구기반 개념학습 모형을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는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Windows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인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여기에는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수업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 메뉴,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 기능, 정보공유 기능, 수업 및 탐구활동 스케쥴링 기능, 멘토링 기능, 온라인 활동 평가 기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탐구활동 지원도구가 공학교육에서의 탐구기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실험집단에게 탐구활동 지원도구를 오프라인 및 온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메타인지와 효율적인 학습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탐구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개념이해능력에 있어서 탐구기반 개념학습의 수업절차, 탐구활동 지원도구, 교수자의 지원활동이 적용된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