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s drawing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1초

전공자 대상의 만화교육에 있어서 기호학적 방법론의 역할제안 (A Proposed Role for Semiotics Methodology in Education of Comics Studies Majors)

  • 권경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141-158
    • /
    • 2013
  • 만화는 말과 그림 그리고 칸의 흐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의미를 표출하는 장르이다. 만화를 그린다는 것은 언어와 시각언어의 합성을 통해 그 의미가 수용자 즉, 만화를 읽는 사람에게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의미한다. 즉, 만화를 읽고 만화로 표현하는 행위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기호학을 바탕으로 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습은 만화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석방법 가운데 특히, 기호학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만화교육을 위한 기호학적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연구사례는 크게 1) 형식에 대한 분석사례, 2) 내용에 대한 분석사례, 3) 형식+내용에 대한 분석사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호학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만화분석 사례를 토대로 만화 교육에의 적용방법과 역할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기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분석들은 연구자의 주장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므로, 기호학적 방법론을 응용한 교수학습법 개발과 수업에서의 활용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보다 체계적인 만화교육의 기틀을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에 대한 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Frames of Statistical Graph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탁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57-173
    • /
    • 2020
  • 일상에서는 통계 그래프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지만,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는 교수학적 맥락에 의해 그 틀이 매우 정형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 틀의 교육적인 의의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호주, 그리고 MiC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은 (1) 그래프의 구성 요소에 주목하게 하고, (2) 그래프를 그릴 때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3) 학습 내용을 통계적 문제해결에 적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1)과 (2)에 주목한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MiC 교과서는 (3)에 주목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제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저학년 수준에서는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이용하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축 형태의 그래프 틀로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했던 호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An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ypically-Perceived-Situation(TP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Ideas: The Case of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PSs related to the Action of Force

  • Jung, Yong-Jae;Song, Jin-Woo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85-801
    • /
    • 2004
  • A Typically-Perceived-Situation(TPS) is a situation which might be useful for conceptual learning of science, rising spontaneously in an individual's mind when someone is thinking about, or in relation to, any object such as physical object, concept, situation, etc. But, for a discussion about the TPS' usefulness in depth, we need to analyz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TPS in relation to conceptual learning of science. This study investigated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PSs related to the topic of the action of force, especially (a) 'the situation where force is being acted on an object', and (b) 'the situation where force is not being acted on an object', with an interview as well as with a drawing-and-explanation type questionnaire. Their TPSs were then compared with their concepts, checked by a misconception questionnaire of choice-and-explanation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TPSs illustrated not only their conceptions about the action of force, but also gave more fruitful details of their ideas, including (a) clues of their conceptions, (b) concrete situations, and (c) their past experiences with emotional components. On the whole, the TPS's appeared to be rather stable, affected by their past experiences, and needed to be analyzed into their sub-units for more subtle details. Finally, some practical ways of how to apply the ideas of the TPS to the conceptual learning of science are suggested.

초등학교에서 로봇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with Robot in Elementary School)

  • 박정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29
    • /
    • 2012
  • 최근 PISA와 TIMSS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에 대한 높은 성취 결과에 비해 교과의 흥미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로봇 활용 STEAM 교육이 수학 학습태도 및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과학, 수학, 미술교과를 '에너지'라는 주제로 로봇활용 융합적인 STEAM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세 교과를 분과적인 방식으로 수업하였다. 로봇활용 STEAM교육 수업을 위해 4학년 2학기 수학, 과학, 미술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선택된 '에너지' 주제를 중심으로 STEAM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과학수업은 로봇을 활용하여 열전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실험결과는 수학수업의 꺾은선그래프 단원에 연계하였다. 미술수업에서는 열에너지의 느낌을 형과 색으로 표현해보고 상상 표현을 위해 로봇부품을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 로봇활용 STEAM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전통적 교과수업보다 수학 학습태도 및 과학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STEAM 수업이 수학 및 과학의 흥미 신장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고체 추진기관 구조체의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Design Program for Solid Rocket Motors Structure)

  • 김원훈;구송회;문순일;황기영;이강수;석정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25
    • /
    • 2006
  • 체계 요구조건에 빠르고 정확한 자료제공을 위해 고체추진기관 구조체에 대한 설계자동화 프로그램인 'ProDes'를 개발하고 검증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주어진 체계설계 요구도 및 구속조건으로부터 총 개발기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며, 또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 및 도면화 등 일련의 업무를 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모듈화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계산은 설계 변수별 적용연구가 수행되어 최종 설계 목표치에 도달되도록 구성 되어있다. 다양한 종류의 마스터 모델로 된 구성품과 체결형태는 구축된 라이브러리 DB 모듈로부터 얻어진다. 개발 프로그램을 이용한 추진기관 구조체 설계와 기존 상세된 설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1960~70년대 서울시 국민학교 건축 표준설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Drawings of Seoul Elementary School Architecture in 1960~70s)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18-1725
    • /
    • 2008
  • 본 연구는 해방이후 1980년대까지 국내 초등교육시설의 건축적 특성을 규정했던 표준설계도들 중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1964년과 1975년 서울시 교육위원회의 국민학교 건축 표준설계도를 대상으로 각 표준도의 구성, 평면 및 입면, 부대시설 계획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 표준도가 가지는 특성을 고찰하였다. 두 표준도 모두 장방형 교실과 편복도형 블록플랜, 일체의 의장이 배제된 철저히 기능적인 외관 등 1980년대까지의 전형적인 국내 학교건축의 특성들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중복도형 블록플랜 그리고 지하교실, 교사동내에 계획된 적층형의 재래식 화장실 등 그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계획특성들과 개구부 및 외벽구성 방식 등 세부적인 부분들에서의 변화도 두 표준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MR영상의 3차원 가시화 및 분석을 위한 뇌영역의 자동 분할 (Automatic Brain Segmentation for 3D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MR Image Sets)

  • 김태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42-55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R 영상의 3차원 가시화 및 분석을 위한 단일 채널 MR 영상의 자동 뇌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4단계의 2차원 및 3차원 처리에 의하여 뇌윤곽을 찾아낸다. 1,2단계에서는 곡선 적합을 이용한 자동 문턱치화에 의하여 머리마스크와 초기 뇌마스크를 생성한다. 3단계에서 입방보간으로 초기 뇌마스크의 3차원 볼륨을 생성하여 형태학적 연산, 연결부위 레이블링에 의하여 중기 뇌마스크를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곡선 적합에 의한 자동 문턱치화를 이용하여 뇌마스크를 정련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영상의 슬라이스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영상이 뇌 전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며, T1, T2, PD, SPGR등 다양한 종류의 MR 영상의 자동적인 뇌영역의 분할에 유용하다. 실험에서 20세트 MR 영상에 대하여 수동분할을 기준으로 0.97 이상의 유지도를 보였다.

  • PDF

계절별 기후요건과 유황을 고려한 주지하수감수곡선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Master Recession Curve (MRC) Considering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

  • 양동석;이서로;금동혁;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7-317
    • /
    • 2018
  • Baseflow which is one of the unmeasurable components of streamflow and slowly flows through underground is important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Despite various separation methods from researches preceded, it is difficult to find a significant separation method for baseflow separation. This study applied the MRC method and developed the improved approach to separate baseflow from total streamflow hydrograph. Previous researchers utilized the whole streamflow data of study period at once to derive synthetic MRCs causing unreliable results.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with total nine areas with gauging stations. Each three areas are selected from 3 domestic major watersheds. Tool for drawing MRC had been used to draw MRCs of each area. First, synthetic MRC for whole period and two other MRCs were drawn following two different criteria. Two criteria were set by different conditions, one is flow condition and the other is seasonality. The whole streamflow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s, and MRCs had been drawn with a specialized program. The MRCs for flow conditions had low R2 and similar trend to recession segments. On the other hand, the seasonal MRCs were eligible for the baseflow separation that properly reflects the seasonal variability of baseflow. Comparing two methods of assuming MRC for baseflow separation, seasonal MRC was more effective for relieving overestimating tendency of synthetic MRC. Flow condition MRCs had large distribution of the flow and this means accurate MRC could not be found. Baseflow separation using seasonal MRC is showing more reliability than the other one however, if certain technique added up to the flow condition MRC method to stabilize distribution of the streamflow, the flow conditions method could secure reliability as much as seasonal MRC method.

  • PDF

웹툰플랫폼 성공요인에서 도출한 플랫폼 정부 활성화 방안 (Government as a Platform Revitalization Strategy Derived from Webtoon Platform Success Factors)

  • 서형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는 플랫폼 정부를 차세대 정부 모델로 상정하고, 국내의 대표적인 플랫폼 비즈니스 성공 모델인 웹툰플랫폼의 성공요인으로부터 플랫폼 정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네이버웹툰의 사례를 중심으로 플랫폼 전략의 핵심요소에 따라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첫째, 플랫폼 인프라 측면에서 기존의 강력한 포털사이트의 플랫폼 기반에 구축되어 이용자를 모으기 용이하고, 로그인 없이 웹툰을 이용하는 등 플랫폼의 접근성을 제고 하였다. 둘째, 이해관계자 참여 측면에서 웹툰 무료제공으로 이용자를 모았고, PPS라는 수익모델을 통해 웹툰 창작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다른 이해관계자와 연결시키는 등 매개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산출물 생산 측면에서 웹툰 하단에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웹툰제작에 영향을 끼칠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통해 이용자도 언제든 직접 웹툰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PPS를 통해 2차 산출물 생산을 지원하여, 웹툰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콘텐츠 생산을 가능케 하였다. 네이버웹툰 사례를 통해 도출된 성공요인에 라 국내 플랫폼 정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Sentinel-1 SAR 영상과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고해상도 해상풍 산출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ea Wind in Coastal Areas Using Sentinel-1 SAR Imag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 조성억;안지혜;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1187-1198
    • /
    • 2021
  • 해상풍 데이터는 최근 들어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일환으로 해상 풍력발전 단지가 각광받으면서 더욱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2020년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 연안해역을 촬영한 Sentinel-1 영상 368장과 저해상도 수치모델의 UV 컴포넌트를 이용한 DNN (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개발하여 해상풍 데이터를 공간해상도 10 m 수준으로 정밀하게 생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CMOD (C-band Model) 함수에 비해 40% 정도 오차가 감소하였으며, U 컴포넌트와 V 컴포넌트는 각각 상관계수 0.901, 0.826의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부울경 해역(해안선으로부터 3 km 버퍼 영역)에 대해 산출한 10 m 해상도의 바람장 지도를 작성해 보면, 내륙에서 외해로 갈수록 풍속이 강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면서도 공간적으로 상세화된 바람 패턴을 잘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고해상도 해상풍 지도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상세조사뿐 아니라, SAR를 활용한 전천후 연안 방재 및 연안레저 정보 제공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