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diagnos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진단 및 지원 프로그램 적용: D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iagnosis of General Job Skills for College Students and Application of Supporting Program: based on an Example Analysis of D College)

  • 오만덕;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97-506
    • /
    • 2011
  • 직업소양능력은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산업인력들이 자신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습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비산업인력인 전문대학 학생의 직업소양능력 수준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전문대학을 대표사례로 선정하고 직업소양능력 진단도구인 CCQB(Core Competency Questions using BARS)를 토대로 재학생, 교원, 현장전문가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소양능력 수준에 대해 학생과 교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력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양능력에 대한 산업현장의 높은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노력을 넘어 대학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Meta-synthesis Exploring Barriers to Health Seeking Behaviour among Malaysian Breast Cancer Patients

  • Yu, Foo Qing;Murugiah, Muthu Kumar;Khan, Amer Hayat;Mehmood, Tah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145-152
    • /
    • 2015
  • Barriers to health seeking constitute a challenging issue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The current meta-synthesis aimed to explore common barriers to health seeking among Malaysian breast cancer patients. From the systematic search, nine studies were found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revealed that health behavior towards breast cancer among Malaysia women was influenced by knowledge,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edical system factors. In terms of knowledge, most of the Malaysian patients were observed to have cursory information and the reliance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was limiting. Among psychological factors, stress and sense of denial were some of the common factors leading to delay in treatment seeking. Family member's advice, cultural beliefs towards traditional care were some of the common sociocultural factors hindering immediate access to advanced medical diagnosis and care. Lastly, the delay in referral was one of the most common health system-related problems highlighted in most of the studies. In conclusion, there is an immediate need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alaysian women towards breast cancer. Mass media should liaise with the cancer specialists to disseminate accurate and up-to-date information for the readers and audience, helping in modification of cultural beliefs that hinder timing health seeking. However, such intervention will not improve or rectify the health system related barriers to treatment seeking. Therefore, there is an immediate need for resource adjustment and training programs among health professional to improve thei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to develop an efficient health system.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유형 (Cancer survivor's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and competency type)

  • 김윤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532-546
    • /
    • 2020
  • 본 연구는 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가 완료되어 관리를 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30대 이상 암 생존자 23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행동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관리의 중요성 인식 요인의 평균점수가 3.83/5.0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 요구 (3.79점),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 (역, 3.64점) 순으로 높은 반면, 지식 습득의 어려움 (역, 2.30점) 요인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만성질환 불안 (2.64점), 지식 인식(2.74점), 균형식 (2.93점) 순으로 낮았다. 둘째, 남성, 60대, 경제적 상태와 영양보충제 섭취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평균점수가 낮았고, 50대와 암 진단 3-5년 된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에 관한 강박관념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셋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중 건강관리 및 조리 역량이 높은 집단은 균형식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의 평균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세 역량이 모두 낮은 집단은 이들 요인들이 평균점수가 낮았다. 넷째, 균형식 요인은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리 역량 요인은 만성질환 불안, 식품안전 불안,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암 재활 및 재발방지를 위해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유형과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암을 치료하고, 미래의 재발과 전이, 만성질환을 예방하여 지속가능한 건강관리를 위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대학의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Learning Competency based Personalized Learning in K University)

  • 김미화;윤관식;박지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9-60
    • /
    • 2020
  • 4차 산업혁명이라는 지식기반 시대의 도래로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함께 대학교육 방식의 전면적 개편이 요구되면서 그에 대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맞춤형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가 대두되고 있다.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상태에 대한 맞는 적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특성에 대한 이해 및 대학에서의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 대학이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 대상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K 대학의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역량 및 맞춤형 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K 대학의 재학생 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 표적집단면접법(FGI), 학습스타일 진단, 역량기반 학습성과 분석 및 학습스타일 진단 결과지 제공, 1대1 인터뷰 등을 진행하는 맞춤형 학습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하고, 연구결과를 통해K 대학의 효과적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주요 이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어린이의 평균 구순폐쇄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Lip Closing Force and the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한이;백경희;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3-352
    • /
    • 2019
  • 성장기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구순폐쇄 부전은 구강기능 및 구강 주위 조직의 구조적 발달 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구강안면 근기능 이상으로 발전된다. 이처럼 입술을 다무는 것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행동이므로, 입술을 다무는 힘을 측정하는 것은 구강 감각 및 운동 이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어린이의 연령, 성별에 따른 평균 구순폐쇄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곳의 7 - 12 세 어린이 765명을 대상으로, 교합상태, 구순폐쇄 여부에 대한 임상 검사와 구순폐쇄력 측정을 시행하였다. 구순폐쇄력은 3회 측정하였고, 측정값의 평균을 대상자의 구순폐쇄력으로 활용하였다. Angle 분류법 및 안정시 구순폐쇄 여부는 구순폐쇄력 고저군 분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16, 0.004). 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높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불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낮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Alternatives to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Enhance Future Responsiveness)

  • 신민혜;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47-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에 대비하여 예비 교사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학령기 인구 감소로 인한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적인 변화 대응 및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 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2020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7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시안 및 4차에 걸친 토론회 내용에 근거하여 미래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多) 교과 역량 함양과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원과 예비 교사에 대한 역량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의 도입, 일반교수법, ICT 활용 교수법 등을 통한 교수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예비 교사양성을 위해 학교 현장 중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습생 교사 담임제', 선후배 중심 '전담 멘토-멘티', 대학 교수자 주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수습 교사제' 등의 도입 및 강화이다.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간호과정 적용문제 (The Problems for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in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양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8-71
    • /
    • 1999
  • Nursing process is an essential part for nursing practice. Nursing faculty members must focus on the clinical application for students and try to identify the possible problems that students might face in the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nursing process education in curricula an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students in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process. From 462 students in the 6 associate programs(ADN) and the 6 baccalaureate programs (BSN)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Seven programs (58.3%) opened the nursing process in mainly sophomore (BSN) or freshman(ADN). If not opened, the nursing process was taught at the major subjects(espcially fundamental nursing or adult nursing). 2. All Students responded they we supposed to use nursing process in preparing the case report. The majority(94.6%) used NANDA lists for nursing diagnosis and 55.7% of subjects consulted the Korean terms by KNA when translating. The tutors for nursing process in clinical settings were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e subject (68.6) or clinical instructors (48.1%) , assistants(34%). 3. The problems in clinical application that students experienced consisted of 17 items and the mean was 2.27. The biggest problem was 'the lack of the model for RN of applying the nursing process in clinical settings'(2.97). Next the big problem was 'the lack of the competency for implementing the established nursing plans'(2.69). All it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ADN or BSN). ADN students had more problems in applying the each step of nursing process and BSN students perceived the NANDA as a guidance of nursing diagnosis and the inconsistency of advices from several instructors or practicum to be mere problematic. 4. The mean of merits after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was relatively fair (2.82). The best merit was 'they can identify nursing problems more exactly'(3.07). The second high merit was 'they can study the rational of nursing action' (3.03). BSN than ADN and the subjects of second year than of one year in clinical experience perceived the use of nursing process to be better. Based on this results we need to enforce the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the class. The use of sample cases can be the efficient method. Students can identify the possible health problems for patient from the cases in imaginary world and discuss them each other. Also we can use the discussion session after practice every other day or as needed. All this is on the good interaction between tutor and student. We must consider to have enough time for student to seize the essence of the nursing process.

  • PDF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E.P+ Diagnostic Tool: Assessing Organizational Competence for Self-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 강정원;박소영;이원선;임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26
    • /
    • 2024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assessing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for autonomously managing childcare quality.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s, items were derived and valid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Data from a survey involving 216 directors and 509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o assess reliability and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a 36-item diagnostic tool across four subcategories: shared values (6 items), training abilities (18 items), environmental support (6 items), and organizational promotion (6 items). A diagnostic tool named S.T.E.P+ was developed, named after the first letters of the four subfactors. Skewness and kurtosis were within normality assumptions. Good fit indices (CFI, TLI) and low SRMR and RMSEA values indicated a satisfactory model fit. Cronbach's α values showed high reliability for all factors. The tool enables autonomous diagnosis of childcare qu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tool can effectively autonomously diagnose whether a daycare center is providing quality childcare.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행평가 사례를 통해 탐색한 교사의 수행평가 실천 특성과 PCK 사이의 관련성 (An Exploration of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Features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PCK during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Lessons)

  • 강남화;김민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1-305
    • /
    • 2020
  • 이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 중 실시하는 수행평가의 특성과 교사의 PCK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4명의 통합과학 교사의 수행평가 수업을 관찰하였고, 녹화하였으며, 관찰한 수업에 관해 면담을 하였고, 질문지를 통해 교사의 PCK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교사의 평가의 특징은 수행의 과정 및 결과 평가, 학생의 이해 상태파악, 피드백, 교실내의 상호작용의 정도, 평가기준의 사용을 중심으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학생이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의 지원을 위해 평가가 사용되는 정도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사의 과학교수지향과 PCK 그리고 수행평가의 실천이 일정한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통합과학 교육의 목표가 학문적 목적과 과학소양의 목적을 모두 가지는 경우 PCK가 개념학습과 경험학습을 중심으로 정교하게 드러났으며, 평가의 실천 역시 그와 일관되게 다양하고 복합적이었다. 한편, 소양교육을 강조하는 경우 PCK는 경험 중심 학습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 활동을 강조하였고, 평가의 실천에서는 학습을 위한 수행 활동과 평가활동의 구분이 모호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교과 내 학문적 목표를 강조한 경우는 전통적 수업 전략 및 평가 지식이 드러났고, 평가의 실천에 있어서는 총괄평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근 강조되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신장을 위한 연수의 내용으로 평가에 학생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전략, 수행 과제에 적절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의 사용, 학생이 수행평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질적평가 전략, 직관적 평가의 역량 개발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추가 연구 주제도 제안하였다.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선원직능 변화와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Seafarers Functions and Manpower Training by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 임성주;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80
    • /
    • 2021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이 선박에도 적용됨에 따라 자율운항 선박이 출현하는 해운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한 선원의 직무와 역량 변화를 문헌 연구 및 전문가 대상의 인식도 조사와 AHP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인식도 조사와 AHP 분석결과 도출된 중요 요인들을 종합하면 비상대응, 주의 및 위험항해, 일반항해, 화물취급, 감항성 유지, 비상상황대처, 선박정비·관리 등의 직무는 기존 해기사 교육체계로 교육이 가능하지만, 원격제어, 모니터링 진단, 기기운용능력, 빅데이터 분석 등의 직무는 해기사의 역할보다는 무인화 및 육상 제어를 위한 직무가 강조된 것으로 이를 위한 새로운 해기교육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변화 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해기인력 양성에 대한 관련 선원양성 및 교육기관들의 대응전략과 자원배분의 우선순위 결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기사 직무 요인과 역량 요인에 대한 인식도와 해기사 직무 요인의 중요도를 비교 평가하여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해기사 직무변화 및 해기인력 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해기사 직무 및 역량 요인을 실무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별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대한 전문가 차원의 대응 실상을 진단해 보았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