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nsation of injury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145초

국제항공운송 승무원이 항공기내에서 사상(死傷)을 당한 경우 법률관계 - 국내외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 (Legal Issue in Case of Death or Injury of an International Crew While on Board)

  • 김선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68
    • /
    • 2020
  • 여객이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제17조상 사고로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사상을 당하였을 때 항공운송인은 위 협약을 근거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같은 사고로 인하여 사상을 당한 경우 몬트리올협약을 배타적으로 적용받는 여객과는 달리 항공사와 체결한 근로 계약상 준거법인 노동법에 의하여 보상받게 된다. 승무원이 근로제공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은 근로계약을 근거로 한 것이지 항공여객운송계약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사고로 인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승무원이 사상을 당한 경우, 사용자인 항공사에 대하여 근로계약에 기한 채무불이행 책임을 묻는 경우에는 노동법이, 근로자 또는 유족이 사용자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민법이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항공사에 근무하는 중국승무원이 대한민국에서 사고를 당하여 사망한 경우 유족이 중국 항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건에서 불법행위지인 대한민국에서 국제재판관할이 있는지 여부, 이때의 준거법은 법정지법인 대한민국법이 되는지 근로계약의 준거법인 중국법이 적용되는지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지방법원 1995.5.18. 선고 94가단14412판결은 비행근무 중 상해를 입은 승무원이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에 만족하지 않고, 사고에 관하여 책임이 있는 사용자나 제3자를 상대로 불법행위나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근 중 기존의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한 사건에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망인의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하여 망인의 부모가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소송에서 1심(서울행정법원 2017.8.31. 선고 2016구합 81642 판결)에서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었지만, 항소심(서울고등법원 2018.7.19. 선고 2017누74186 판결)에서 패소하여 고인의 질병 및 업무량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항소심의 판결을 비판하였다. 승무원의 근무 형태는 타 직종과는 다르게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다른 근무지로 이동하거나 비행근무 종료 후 모기지 또는 체류지로 돌아오기 위하여 비행임무는 수행하지 않으나 비행근무시간의 50%만 인정받는 형태로 항공기에 탑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여객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는 없지만 비행임무를 하지 않는 승무원이 사고로 사상을 당한 경우 근로계약에 기인한 손해배상 청구를 할 것인지 국제항공운송에서 사고발생시 여객에게 적용되는 몬트리올협약이 배타적으로 적용될 지에 관한 논의와 함께 그와 관련된 판례인 In re Mexico City Aircrash of October 31, 1979, 708 F.2d 400 (9th Cir. 1983), Demanes v. United Airlines, 348 F.Supp. 13 (C.D.Cal. 1972), Sulewski v. Federal Express Corp., 749 F.Supp. 506 (S.D.N.Y. 1990)을 검토해 보고 유럽사법재판소(CJEU)에서 Wucher Helicopter GmbH and Euro-Aviation Versicherungs AG v. Fridolin Santer를 통하여 정의한 '여객'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 보도록 한다.

항공여객의 정신적 손해배상에 관한 최근 동향 - 미국 연방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Recent Trends in Compensation for Mental Anguish of Airline Passengers)

  • 이창재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62
    • /
    • 2020
  • 현재의 항공운송산업은 시장의 양적 성장 측면 뿐 아니라 법제적(法制的)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지난 오랜 세월동안 바르샤바 협약은 국제항공운송에서 발생되는 항공운송인의 민사책임의 통일적 규율에 기여하고 항공운송산업의 발전을 위해 법제적 후견인의 소임을 다하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항공운송산업의 소비자 이익은 다른 산업과 비교할 때 그다지 탄탄한 보호를 받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몬트리올 협약은 항공소비자 이익보호라는 기치를 내걸었고, 전 세계 곳곳에서 여객과 같은 항공소비자 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항공사고에 따른 항공여객의 정신적 손해배상문제도 항공소비자 보호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미국 연방법원은 1990년대 초부터 항공여객의 정신적 손해배상에 관한 인정여부를 다루었던 점을 감안하면, 아직까지 항공사고에 따른 정신적 손해를 그 배상범위에서 제외하고 있는 우리나라 판례도 방향전환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측면에서 항공사고로 여객의 신체손해가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항공사고에 따른 정신적 손해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미연방법원의 최신 판례를 분석해 보는 것은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정신적 손해에 관한 가장 최신 판례라 할 수 있는 지난 2017년 8월 미연방 제6항소법원에서는 다소 이례적인 결론이 도출되었다. Doe v. Etihad Airways사건에서 법원이 신체손해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정신적 손해에 관해서만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종래 절충적 입장을 견지하였던 다수의 연방법원들과 달리 정신적 손해와 신체적 손해 사이의 인과적 연결고리(causal connection)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신적 손해배상이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법원이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된 배경은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겠지만, 과거 바르샤바 협약과 달리 항공운송산업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시대적 명제를 뒤로 하고 몬트리올 협약이 선언한 항공소비자 보호라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산업재해근로자 노동시장이행의 성격과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Transition and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Transition of Injured Workers)

  • 배화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193-2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를 경험한 근로자의 경제활동형태 변동과 그 특성을 기술하고,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과 관련하여 산재보상서비스를 비롯한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재보험패널 1~3차(2013년-2015년)자료를 활용하여, 요양을 종료한 1,668명의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번이라도 원직장 복귀를 경험한 사람은 36.9%, 재취업 경험자는 51.5%, 미취업 경험자는 36.9%였다. 경제활동형태 전이확률은 현재 원직장 복귀자가 다음 기에도 원직장을 유지할 확률은 88.1%, 재취업자의 재취업 유지 확률 88.9%, 미취업자가 다음 기에도 미취업자가 될 확률은 60.0%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활동형태 변화에서 재취업 대비 원직장 복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학력,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전 직장규모, 근무기간, 종사상 지위 중 임시직, 일용직 그리고 직업훈련 총 횟수였다. 재취업 대비 미취업을 선택할 확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연령, 장해등급, 요양기간, 현재 업무수행능력, 산재 전 근로기간, 직업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와 노동시장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 PDF

팥 포장에서 나비목 해충의 발생과 피해 양상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 Pests and Injury Aspects in Adzuki Bean Fields)

  • 정진교;서보윤;조점래;권윤희;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35
    • /
    • 2009
  • 팥포장에서 꽃과 꼬투리, 줄기에 피해를 입히는 나비목 곤충들로 콩명나방(명나방과), 팥나방(잎말이나방과), Ostrinia spp. (명나방과) 3종이 주 해충으로 발견되었는데, 포장 안의 거의 모든 식물체가 세 종 중 적어도 한 종 이상에 의해 가해를 받은 흔적이 있었으며, 꽃과 꼬투리의 $15{\sim}60%$ 정도가 피해를 받았다. 또 개화되지 않은 화서가 생식생장기 동안 계속 출현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미개화 화서의 지속적 출현은 꽃 피해에 의한 보상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관찰기간을 통해 콩명나방 유충의 평균밀도가 가장 높았는데, 시기적으로는 팥 생식생장기 중기까지 콩명나방이 우점하였으나 후기에는 Ostrinia spp.가 우점하였다. 콩명나방 유충은 1령부터 5령까지 모든 영기가 관찰되었고, 팥나방은 3령기 이후의 유충 영기들이 관찰되었다. 두 해충 모두 개화기에는 꽃과 줄기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개화기 이후에는 꼬투리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Ostrinia spp. 유충은 3령기 이후 영기들이 개화기가 지난 다음부터 관찰되었는데 꼬투리와 줄기에서 발견되었다.

고령사회에서 인신사고로 인한 일실수입의 산정과 그 시사점 :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판결을 중심으로 (Estimation of lost Earnings by Personal Injury in Aged Society and Its Implication)

  • 전병주;김건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60-469
    • /
    • 2020
  • 최근 대법원은 인신사고로 사망한 미성년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 있어 그 동안 경험칙의 기초가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하였기 때문에 육체노동자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대한 기존 견해를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그 가동연한을 만 65세로 연장하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번 판결은 지금까지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하면서 육체노동자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관하여 하급심별로 다르게 선고함으로써 발생했던 사회적 혼란을 종식시키고,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새로운 경험칙을 적용하여 가동연한을 상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육체노동자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한 것과 미성년자인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기존 대법원 견해에 따라 도시일용노임 수준을 적용하여 산정한 것은 다소 아쉬움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육체노동자의 경험칙상 가동연한과 관련한 판결의 쟁점을 분석하고 미비점을 보완함으로써 미성년자인 피해자에게 적절한 손해배상을 담보하는 한편 가동연한 상향과 정년연장 문제를 연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사회적 논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원인에 관한 법적 고찰 - 여객 손해배상책임을 중심으로 - (A Legal Study on liability for damages cause of the air carrier : With an emphasis upon liability of passenger)

  • 소재선;이창규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35
    • /
    • 2013
  • 오늘날 항공운송은 국가 간 인적 물적 교류를 위한 최적화된 운송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은 효율적인 항공운송을 이용하기 위해 국제항공협정을 체결하여 항공사 노선확장과 운항횟수의 증가 등을 이룩하였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항공운송 사고의 발생가능성도 높아졌다. 항공운송 사고의 발생 빈도는 타교통수단 사고와 비교하였을 때 높지는 않아도 항공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 항공운송 사고는 국내 운송사고보다 국제 운송사고가 많으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항공운송인과 여객 또는 송하인 등의 법적 책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항공운송 사고의 법적 규율에 대한 선순위 판단은 항공운송계약의 종류의 구분이다. 항공운송계약은 객체에 따라 항공여객운송계약과 항공물건운송계약으로 분별된다. 특히 항공여객운송 사고는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규율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개정 "상법" 항공운송편은 국제항공운송에서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조약들의 내용을 우리 실정에 맞게 반영하여 국제적 기준에 맞으면서 체계상으로도 육상 해상 항공 운송을 포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법"은 운송계약상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문제를 규율하는 몬트리올협약을 주로 반영하면서 동 협약이 가지고 있던 문제로 인하여 국내 상황에 맞게 변형 및 생략을 통해 동 협약의 규정을 수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여객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발생 원인으로서 사고의 개념은 판례의 해석이 반영된 관련 조약과 "상법"에서 어느 정도 명확한 개념 정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상법" 항공운송편의 모법인 몬트리올 협약은 여객의 사망 또는 신체상해의 원인이 된 사고가 '항공기상에서' 또는 '승강을 위한 작업 중' 발생한 경우에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바르샤바 협약부터 이를 개정한 전 협약에 걸쳐 동일하게 규정되었고 '사고'의 개념 및 '승강을 위한 작업 중'의 범위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손해배상의 대상 범주인 여객 손해 중 '신체상해'에 여객이 항공운송 중에 입은 정신적 손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두고 논쟁 중이다. 현행법상 신체적 상해의 경우 특정 상황에서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이 가능하고 항공사고로 인한 발생한 정신적 손해는 중대한 신체적 상해와 같이 피해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할 만큼 심각한 피해이다. 그래서 여객의 정신적 손해는 관련 조약이나 "상법"상 신체적 상해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항공운송인의 합리적인 보호와 남소의 예방 측면에서 명백히 증명될 수 있는 정신적 손해만을 배상하여야 할 것이다. 연착 손해의 배상은 바르샤바 협약, 몬트리올 협약, "상법"은 여객 수하물 및 운송물의 연착으로 인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규정은 있지만 연착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착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연착의 개념에 대한 엄격한 해석은 항공운송인의 안전한 운항을 저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여객 수하물 또는 운송물이 항공운송계약에 명시된 도착 예정인 공항에 합의된 시간 내에 또는 이러한 합의가 없을 경우 당해 상황을 고려해 선의의 운송인에게 요구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시간 내에 도착 또는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한다와 같이 정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공사 약관의 손해는 여객 손해는 대한항공의 국제여객운송약관에 의하면 협약이나 기타 법령에서 정하는 경우 이외에 해당하는 항공운송이나 대한항공이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여객에게 발생한 손해는 대한항공이 원칙적으로 책임을 부담하지 않고 대한 항공의 태만 또는 고의적인 과실에 기인하여 발생하였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동 손해에 여객의 과실이 개재되지 않았다는 점이 판명된 경우에만 책임을 부담한다. 협약 또는 법령에서 정하지 않은 손해의 경우에는 항공사 측의 과실이 증명된 경우에만 책임을 부담한다는 조항인데 대한항공 약관상 '태만' 또는 '고의적인 과실'이라는 용어의 적합성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며 중과실이라고 함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수하물 손해는 대한항공 국제여객운송약관은 여객의 위탁수하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제품 등의 손상 또는 인도의 지연에 대하여 대한항공은 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책임을 부담하지 않지만 미국을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운송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미국을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여객을 다른 나라에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여객을 불합리하게 차별하는 것으로 조약의 내용과 동일하게 물품에 대하여 항공사가 책임을 부담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미 무역구제제도 및 KORUS-FTA 제10장에 대한 평가 및 유의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Valuation for Trade Remedies System and KORUS-FTA Chapter 10 between the KOREA and U.S.)

  • 오현석
    • 무역상무연구
    • /
    • 제41권
    • /
    • pp.237-266
    • /
    • 2009
  • KORUS-FTA are consist of articles 8. In order to the subjects are, application of a safeguard measures, conditions and limitations, provisional measures, compensation, global safeguard actions, definitions,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committee on trade remedies. In especially, regarding application of a safeguard measures under KORUS-FTA, if as a result of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a customs duty under this agreement, an originating good of the other party is being imported into the territory of a party in such increased quantities, in absolute terms or relative to domestic production, and under such conditions that the imports of such originating good from the other party constitute a substantial cause of serious injury, or threat thereof, to a domestic industry producing a like or directly competitive good, the party may: suspend the further reduction of any rate of customs duty on the good provided for under this agreement; increase the rate of customs duty on the good to a level not to exceed the lesser of: the most-favored-nation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at the time the action is taken; and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on the day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this Agreement enters into force; or in the case of a customs duty applied to a good on a seasonal basis, increase the rate of duty to a level that, for each season, does not exceed the lesser of: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for the corresponding season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of application of the safeguard measure; and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for the corresponding season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this agreement enters into force.

  • PDF

메틸수은으로 손상된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n Compensation Effect of Red Ginseng against Methylmercury Injury to Brain and Gill of Fightingfish)

  • 정희원;이춘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1993
  •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메틸수은의 독성적 영향과 이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을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상당히 확장되고 핵질과 세포질이 부분적으로 손실되었으며 ribosome의 수적감소와 mitochondria의 팽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파괴된 핵과 공포화된 mitochondria를 함유한 괴사세포의 출현은 특이한 관찰이었다. 반면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수상돌기와 축색돌기의 확장이 감소되고 ribosome의 수가 증가되었으며 mitochondria의 팽대정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아가미 새판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는 Pillar cell과 arm의 붕괴, 표피세포의 확장 및 기저막의 비후가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관찰되었고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arm의 붕괴정도와 기저막의 비후정도가 감소되어 정상세포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호전되었다.

  • PDF

광주·전남의 구급대 활동분석 및 발전방안

  • 박희진;오용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86
    • /
    • 1997
  •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developmental policies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first aid party in Kwangju and Chonnam regions for two years from Jan. 1, 1991 to the end of December, 1995. First, the residents in Kwangju and Chonnam regions have the sufficient benefits of emergency medical center, but it will be desirable that general hospital should be established and managed in Kohung peninsula which forms the wide island area far away from big cities.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the degree of severe case in the field by rescue members should be strengthened as the means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patient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and the legal method which rescue members can select the medical agency. Third, children less than 10 are most frequent emergent patients and it is due to parent's indifference and children's in sensibility to safety. So the safely education in the course of infant and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method which can keep the self safety through the legal system. Fourth, to increase the rate of emergency measure by rescue members, the reasons of fail of emergency treatment are suggested, the treatment results of each rescue member are analyzed every year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system which can evaluate the personal ability should be introduced. Fifth, the medical accidents occurred in the case of medical act, by rescue members must lake the legal responsibility, but such a problem can he solved with the compensation of insurance system by government. Sixth,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ransfer, traveling service system for the fixed period in beach should be complemented and extended more and service system at ordinary times should be examined at mountains, the area of traffic jams and large special industrial park. Seventh, since service system with one team of two members of 119 rescue party in expressway cannot be mobilized when multiple accidents occur at the same time, it is considered that service system of two teams of four members should be extended. Eighth, first-aid service in expressway is conducted with rescue and emergency treatment by the rescue party at the same time, but the professional rescue lacks and it may result in the injury of patients. Therefore the creation of rescue party in expressway is the urgent problem.

  • PDF

한국 요양보호사 산업재해의 연도별 변화추이 (Trends of Industrial Injuries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 손미아;전거송;배동철;손병창;김태운;윤재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6-172
    • /
    • 2021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industrial injuries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T7866 injuries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industrial injuries approved by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between 2007 and 2016 in Korea. We analyzied the trends of industrial injuries according to work process, occurrence type, and causes. Results: The industrial injuries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increased since 2012. The mostly occurred area for industrial injuries were low back areas, which is related that the most serious industrial injuries occurred when the one long-term healthcare worker lift manually the recipient, from bed(ondo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to a wheelchair, bed to bath bed, and wheelchair to bath chair. In addition to this, lack of workforce, increased work intensity due to overwork contributed the increasing of occupational injur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in causes of industrial injuries were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small private long-term care institutions, The physical load that goes into lifting the recipient directly, work intensity such as excessive workload and increased work speed. We suggest that the social public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voiding ways to lift recipients directly, introducing lifting machines as well as improving working methods, and reducing the workload of caregivers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