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revitalizatio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4초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 - 지역화폐 도입을 중심으로- (A LETS (Local Exchange and Trading System) Policy Proposal for Revitalizing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amily-Cooperative Activities (Pumasi) Project)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3호
    • /
    • pp.67-82
    • /
    • 2012
  • The first local exchange trading system(LETS), established in Comox Valley in Canada, aimed at facilitating the regional economy. However, in Korea, LETS was adopted to encourage mutual aid and promote community spirit among resi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easibility of LETS as a revitalization initiative for Pumasi and suggests a number of polic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proj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TS credit system was found to complement social capital initiatives among Pumasi participan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umasi project. Second, combining LETS and Pumasi initiatives was found to consolidate community spirit and encourage a cooperative way of life among participants due to the fact that LETS enlarges the scop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iversifies the services being exchanged. A number of policy suggestions are made for combining LETS with Pumasi. First, the project must define a vision of its long-term purpose and outcomes. Second, local residents should be employed as assistants to facilitate the project. Third, Pumasi participants should ensure that childcare exchange services are of the highest quality by providing an educational program on parenting. Fourth, the project manager's employment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s must be guaranteed.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중요도와 성과도 (Importance and Performances of Visiting Nurse Services Provided unde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 변도화;현혜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2-34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quality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visiting nurse servic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persons being provided with the servi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350 people being provided with visiting nurse services from a long term home care institution in the kangwon Province during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between Aug. 16 and Sep. 15, 2011.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test, ANOVA, and IPA by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visiting nurse services, it turned out that the strength on reliability, assurance, and empathy should be maintained with good work and the aspects of responsiveness appear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and the tangibility proved to be subject to improvement. Conclusion: For the activation of visiting nurse services,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in the intensive care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ment which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strength maintenance area are needed.

어촌계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A Research on Categorizing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

  • 안병철;이재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52권1호
    • /
    • pp.83-99
    • /
    • 2021
  • Fisheries policies are diversifying, including welfare programs for fishermen, revitalization of earfish and villages, and support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In response to these policy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which is a local community, a fishery production organization, and a basic unit of a fishing village,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 number of indicators were selected by collecting data on the Categorization and evaluation of fishing villages fraternity and th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 number of indicators were extracted as representative factor variables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n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categorize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is study was the first to attemp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vitalize the fishing village economy by using not onl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dustr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but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ishing village fraternity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policy decis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of the fishing community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fishing village fraternity development indicators and follow-up studies on fishing village regeneration strategies will be needed.

농촌주민의 역량이 농촌개발의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Impact Analysis of Rural Residents' competence in Expansion of Participation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 고진영;김지용;양민호;김명일;김기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1호
    • /
    • pp.37-45
    • /
    • 2018
  • This study is aims to voluntary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voluntary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individual competence factors, how the what and how much influence affect the continued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as a concept of strengthening community capacity the plan for it to present. The results of survey,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xtracting the components of individual competence areas and life satisfaction, self acting capacity, was extracted with recognized competence, was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ongoing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Personal competence w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articipation of three ele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dependent variables to evaluate the impact of continuing involvement, and the resulting Regional and life satisfaction (${\beta}=0.301$) have the greatest impact It showed. In addition, regional analysis and life satisfaction (${\beta}=0.247$) on the impact of enlargement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The elements of local life satisfaction and personal competencies exert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ntinued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in the study was obtained. It based on the results in rural development fo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a plan to enhance the regional and life satisfaction, "the software business, which is carried out in rural areas developed for them by local residents the measur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will be provided.

함평나비축제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 제4회 축제를 사례로 (Tourist Behaviour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 Case of the Butterfly Festival 2002)

  • 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39-353
    • /
    • 2003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개최를 통해 지역의 이미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전남의 함평나비축제를 사례로 축제에 참가한 관광객의 관광행태를 고찰하였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전국의 대부분 시$.$군에서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역축제의 이벤트화가 추진되었다. 전국의 지자체에서 개최되는 축제중에서 전국적인 경쟁력을 가진 생태관광축제로 등장하고 있는 축제가 1999년부터 함평군에서 개최되고 있는 나비축제이다. 나비축제가 전국적인 주목을 받으면서 함평군은 낙후된 농촌지역에서 친환경적인 생태농업지역으로 지역의 이미지가 바뀌고 있다. 1999년 제1회 이후, 축제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4회에 참가한 외래 방문객은 약 87%로 조사되었다. 제4회 나비축제에 관광객들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고, 경쟁력있는 생태관광축제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나비축제가 전국적으로 우수한 관광문화축제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관광편의시설 확충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적 검토가 요구된다.

  • PDF

국제안전도시 구축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Revitalization Measures of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Based on Samcheok in Gangwondo-)

  • 조한숙;신호준;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39-3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WHO 국제안전도시 개요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안전도시 공인인증을 준비하고 있는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안전도 향상을 위한 국제안전도시 구축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도시 구축을 위해 지역 내의 취약계층과 사고유형에 대한 대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둘째, 지역자치단체와 지역 내 속해 있는 유관기관 및 주민조직과의 통합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역안전도 향상을 위한 시 도 조례를 제정하는 등 공공정책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적인 네트워크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교육 및 홍보활동과 다양한 정보를 습득해야 한다.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의 세대별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Athleisure Brand Communities by Generation)

  • 나혜숙;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97-402
    • /
    • 2021
  •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 사용자 경험 만족도를 세대별로 측정하고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 요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랜드 커뮤니티 측정 도구는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감성 인터페이스 모형을 중심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했고, 주요 수요층인 10대-40대의 여성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세대별 소비성향에 따라 커뮤니티 참여율과 만족도 요인이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태스크 중심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경험 위주의 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결과가 도출 되었는데 이는 향후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경험 위주의 만족도 향상의 제고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도 요인이 향후 세분된 수요자 중심의 브랜드 커뮤니티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Public Libraries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신동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3-423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 공동체 이미지와 연계된 녹색 관광 개발 가능성 연구 : 대전지역 사례 (Possibility to Develop the Green Tourism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of the Local Community: the case of Daejeon)

  • 이일열;박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06-51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이미지를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여가 관광적인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여 보는데 있다. 지역 이미지화 연구를 종합적인 지역 연계성과 관련 지어 추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 근교 정뱅이 마을 사례를 문헌연구와 현지 조사법을 병행하여 분석해 보았고, 외국의 성공 사례를 도입하여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의 이미지화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의 상품화와 지역상생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둘째로는 녹색 루트를 형성하여 도시인들에게 전원으로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미지화에 성공한 농촌 마을은 농촌 체험과 미술 작품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여 교육적 기회의 장으로 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 근교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의 녹색관광개발과 이미지화 연계 작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실무자들에게 지역 경영 및 관리방향에 대한 실절적인 지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 후카야 시네마(深谷シネマ)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Community Cinema from Japan: Focused on Fukaya Cinema)

  • 박동호
    • 예술경영연구
    • /
    • 제49호
    • /
    • pp.149-176
    • /
    • 2019
  • 멀티플렉스의 보급이 대중들의 영화향유권 확장과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도시 담론적 측면에서 볼 때 신도심을 중심으로 들어선 멀티플렉스는 구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구도심 상권의 침체로 인해 지역민들의 '삶의 기억'이 저장된 상징적인 문화예술 공간인 지역극장마저 사라지고 있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찍이 일본에서는 창조적 도시재생의 주요 수단으로 영화·영상콘텐츠에 주목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커뮤니티 시네마(Community Cinema)'는 지역극장의 부활을 통해 지역사회의 영화상영 환경을 개선하고, 나아가 관련 문화와 산업을 창출하여 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민의 자생적인 NPO(Non-Profit Organization) 단체로 출발하여 지역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와의 협업 속에서 지역의 폐 산업시설을 마을 영화관으로 재활용한 '후카야 시네마(深谷シネマ)'에 주목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형태로 운영되는 후카야 시네마는 지역 커뮤니티의 문화예술 거점시설로서 영화·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준 매우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후카야 시네마의 구체적인 설립과정과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화·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