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curriculum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6초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은경;이영선;감경원;차지혜;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3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 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 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 '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 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새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구설비 기준 탐색 (Inquiry into Standard Plan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 권치순;박병태;유주선;김맹희;이상희;조한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8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standard of the present teaching tools & facilities in 16 cities and provinces. On the basis of this data, we suggested the standard of teaching tools & facilities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In the analysis of the present teaching tools & facilities, we divided the scope of facilities into 'the common one' and 'lab & practical room[common].'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a facility by deleting a prep room from the names of facilities. Also, we prepared the standard plan for teaching tools by putting its focus on how to desirably manage the curriculum while giving the independence of a school to the maximum because of all sorts & great numbers of teaching tools.

  • PDF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43-1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부터 적용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지난 3년간의 현장적용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두 과목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통합과학의 경우 현장적용 3년차를 맞이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6~8단위로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당 통합과학 담당 교사는 3개년도 평균 2~3명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학기당 1단위씩 총2개 학기로 편성·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시수를 채우기 위해 여러 명의 과학교사가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에서 과학교사들은 향후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한 규모로 통합과학을 축소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공통과목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을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하도록 통합과학을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 선택과목 수강을 안내할 수 있는 기본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과 공통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공통과목을 통한 선택과목 안내 및 진로지도의 필요성, 과학영역간 간학문적, 다학문적 통합·융합 과목을 지도를 위한 교사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교사들에 의한 공통과학 교과서 평가와 수업내용 현황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 and Classes by the Point of Science Teacher's View)

  • 김성원;진유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413
    • /
    • 1997
  • High school common science is introduced by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t consists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like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In this paper, textbooks are analyzed by the science teachers and the status of the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reported.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1. Almost high school teachers choose textbook that included little the STS material. More than two teachers are teaching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and when they are chosen, they are independent with their major. 2.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y evaluated the textbooks as it is below the middle level. This evaluations are not dependent on teachers' comparement and textbook's class except the several matters based on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3. The teacher teaching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hought that teaching the textbook in school is worse than analysizing it. they must have emphasised on learning of inquire method than system of knowledge, introduction to material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STS in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 PDF

국제 공통의 초등 수학 내용 요소 추출 (Global Common Knowledge and Skill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지선;상경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119-134
    • /
    • 2015
  • 국제사회는 세계 모든 아동이 달성해야 할 학습성과를 설정하고 이를 측정하려는 일련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교육단계에서 세계 모든 아동이 달성해야 할 수학 학습성과란 무엇인가를 구체화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범세계적으로 초등교육 단계에서 아동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수학 내용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적,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세계 12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교육의 범위를 초등학교 6학년까지라고 가정할 수 있었고, 공통 내용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특히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 요소들은 범세계적으로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기하, 측정, 대수 영역에서도 유사한 수준으로 내용 요소들이 나타났다. 반면, 비례와 대수는 초등 교육 마지막 단계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공통 내용 영역 혹은 내용 요소로 보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범세계적으로 초등 교육을 논의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 Yoo, Taemyung;Lee, Soo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23-37
    • /
    • 2014
  •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Present Curriculum of Lib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Junior College)

  • 소시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1-196
    • /
    • 2001
  • 본 연구는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여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업무도 변하고 그와 관련된 문헌정보와 교과과정도 변하는 모습을 보도록 하여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 과정이 이론보다 실무연습에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조사와 국내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교과목을 도출하며 새로운 모형교과과정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 PDF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생명영역 물질대사에 관련한 학습개념 분석 (Analysis of Learning Concepts Related to Metabolism Presented in the Life Filed of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심규철;이부연;김현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7-633
    • /
    • 2003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생물영역 물질대사와 관련한 개념의 수준과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초등학교는 1종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였으나,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 출판사에서 개발한 3종의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물질대사와 관련한 개념은 초등학교에서는 42개, 중학교에서는 3개 출판사 평균 92개, 고등학교에서는 평균 59개가 제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판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구체적 개념에 대한 형식적 개녕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개념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시 학습단원에 따른 학습개념의 제시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 및 제시되는 개념의 수를 적정화해야 하며, 단원과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을 고려한 구성이 필요하다.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about the Core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 김선희;박경미;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1호
    • /
    • pp.65-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how the core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um of the 9 countries including the U.S., Canada(Ontario), England, Australia, Poland, Singapore, China, Taiwan, and Hong Kong were thoroughly reviewed. It was found that a variety of core competencies were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a in the 9 countries such as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mathematical knowledge and skills, selection and use of tools, critical thinking, connection, modelling, application of strategies, mathematical thinking, representation, creativity,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reflection etc. Especially the four most common core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were further analyzed to identify their sub components. Consequently, it was recommended that new mathematics curriculum should consider reflecting various core competencies beyond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these core competencies are supposed to combine with mathematics contents to increase their feasibility. Fi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software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attention in the new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computational thinking into mathematics curriculum.

교육과정을 고려한 초등학교 조경계획을 위한 조경 수종과 식재빈도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species of plants and its frequency for the Landscaping in Elementary School in relation to the school curriculum)

  • 박상선;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2호
    • /
    • pp.71-82
    • /
    • 2013
  • Schoo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recently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s a whole outside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e eco-friendly, but not has not been linked with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inked to the curriculum that can be used actively in learning activities is to landscape the school. Considering curriculum for elementary landscape plan provides directio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in Chapter 3, the type and number of species of plants and animals that appear in the textbook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at appears to know what plants and animals were the most common. Second, seven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n Chapter 4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landscape.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school curriculum, whether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indicate that much of a difference could be seen. Therefore, future elementary landscape plan in accordance with the finality of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veloped to 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