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ant leve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발(毛髮)의 염색처리(染色處理)에 따른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Variations of The Heavy Metal Contents in Human Hairs According to of Hair Coloring Manipulation)

  • 정연;성수광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1호
    • /
    • pp.25-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knowlege and scientific information of the damage according to the heavy metal exposure level of hair coloring manipulations. The study was investigated variations of the heavy metal contents(Pb, Zn, Cu, Mn, Fe, Ni) in hairdye and human hairs by 1 and 2 times of hair coloring manipul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heavy metal contents in colorant of hairdye were 0.250ppm(Pb), 33.650ppm(Zn), 0.800ppm(Cu), 0.675ppm(Mn), 31.050ppm(Fe), 1.700ppm(Ni). In oxidant of hairdye, It were 0.225ppm(Pb), 35.450ppm(Zn), 0.575ppm(Cu), 0.075ppm(Mn), 16.600ppm(Fe), 1.500ppm(Ni). 2. Mean heavy metal contents were 2.950ppm(Pb), 29.000ppm(Zn), 9.400ppm(Cu), 1.075ppm(Mn), 40.775ppm(Fe), 1.950ppm(Ni) in virgin hairs, 3.025ppm(Pb), 40.250ppm(Zn), 9.650ppm(Cu), 1.350ppm(Mn), 42.900ppm(Fe), 2.200ppm(Ni) in 1 time of coloring hairs, 3.350ppm(Pb), 51.650ppm(Zn), 10.950ppm(Cu), 1.475ppm(Mn), 44.350ppm(Fe), 2.225ppm(Ni) in 2 times of coloring hairs.

  • PDF

식품 색소 Canthaxanthin의 HPLC 최적 분석법 확인 및 타당성과 측정불확도 평가 (Validation and Uncertainty Evaluation of an Optimized Analytical Method Using HPLC Applied to Canthaxanthin, a Food Colorant)

  • 서희재;김경수;홍미나;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2-35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식용색소로 지정되지 않은 keto-carotenoid계의 canthaxanthin에 대한 최적 분석방법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HPLC-UVD를 이용한 외국의 canthaxanthin 공인분석법을 검토하여 직선성, 분리능, 민감도, 검출한계(LOD), 정랑한계(LOQ)를 도출하고, 각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의 canthaxanthin 분석방법을 확보하였다. 또한 확보된 최적 분석방법에 대한 정밀도, 정확도, 회수율, 실험실 간 교차검증,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여 canthaxanthin 최적 분석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OAC법, 일본 및 영국의 공인분석법을 이용하여 canthaxanthin 표준용액을 5, 10, 20, 50, 100, $300{\mu}g/mL$의 6 point로 희석한 후 얻은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모두 $R^2=0.999$ 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으나 분리능, 민감도, LOD, LOQ는 일본의 공인분석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일본 공인분석법의 LOD와 LOQ는 각각 0.084 mg/kg, 0.254 mg/kg으로 나타났으며, 1보다 낮은 정밀도, 100%에 가까운 정확도, $100{\pm}10%$ 사이의 회수율, 교차검증 시 세 기관의 변동계수가 5이하로 나타나 canthaxanthin 분석을 위해 가장 최적화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하는 중에 나타나는 불확실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anthaxanthin이 함유된 가공식품을 분석하여 측정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39.5{\pm}5.29mg/kg$(95% 신뢰구간, k=2.78)으로 나타났다. 확장불확도는 측정 농도의 13.4%로 나타나 유럽연합의 기준(16% 이하)에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복분자 부산물(박) 색소의 추출조건 모니터링 (Conditions for Pigment Extraction from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Byproducts)

  • 정용진;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0-404
    • /
    • 2009
  • 복분자 부산물(박)을 유용한 천연 색소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분자 부산물(박)의 추출조건에 따른 색소 및 폴리페놀의 추출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용매 조건별 추출한 색소액의 총 흡광도는 80% 에탄올 용매에서 9.51 unit로 높은 편이었고, 폴리페놀은 에탄올 함량이 40%일 때 최고 수율이었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추출액의 총 흡광도는 용매에 citric acid 및 lact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높았고, 폴리페놀의 함량은 ascorbic acid를 첨가한 용매 조건에서 높았다. 추출조건에서 부산물(박)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부산물(박) 단위 중량에 대한 총 흡광도 및 부산물(박) 단위 중량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2차례의 추출과정을 반복하였을 때 색소와 폴리페놀은 $85{\sim}90%$ 이상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 및 편백나무 잎과 꼭두서니 추출물로 염색한 견직물의 표면색 및 기능성 (Surface Color and Functionality of Silk Dyed with Extract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Mixture Extracts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 장현주;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6-492
    • /
    • 2017
  • This study finds surface color and functions of natural dyeing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ves which help cure skin problems such as atopic dermatitis. This study also seeks to find dyeing properties and functions of natural colorants derived from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on silk. Dyeing properties and functions are compared between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The comparison examines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healthy and high functional fabrics and wellness of fashion merchandises. Silk dyeing with Chamaecyparis obtuse leaves yields yellow and double coloring from Chamaecyparis obtusa; however, Rubia tinctorum yields yellow/red on silks.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show a high level on dry cleaning, ultraviolet protection and deodorization. Especially, the dyed silks from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show a 99.7%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B. Silks composite-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and Rubia tinctorum are better known for medicinal herb for dermatitis, and natural colorant, Rubia tinctorum does not improve significantly functions compared with silks dyed with Chamaecyparis obtusa. However, the dyeing properties improve by composite dyeing. This implies that ways to maximize effects of tie-dyeing technique could be developed.

Selective production of red azaphilone pigments in a Monascus purpureus mppDEG deletion mutant

  • Balakrishnan, Bijinu;Lim, Yoon Ji;Hwang, Seok Hyun;Lee, Doh Won;Park, Si-Hyung;Kwon, Hyung-J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49-256
    • /
    • 2017
  • The Monascus azaphilone (MAz) pigment is a well-known food colorant that has yellow, orange and red components. The structures of the yellow and orange MAz differ by two hydride reductions, with yellow MAz being the reduced form. Orange MAz can be non-enzymatically converted to red MAz in the presence of amine derivatives. It was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mppE and mppG ar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yellow and orange MAz, respectively. However, ${\Delta}mppE$ and ${\Delta}mppG$ knockout mutants maintained residual production of yellow and orange MAz,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deleted the region encompassing mppD, mppE and mppG in M. purpureus and compared the phenotype of the resulting mutant (${\Delta}mppDEG$) with that of an mppD knockout mutant (${\Delta}mppD$). It was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Delta}mppD$ strain retained the ability to produce MAz but at approximately 10% of the level observed in the wildtype strain. A chem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Delta}mppDEG$ strain was still capable of producing both yellow and orange MAz, suggesting the presence of minor MAz route(s) not involving mppE or mppG. Unexpectedly, the ${\Delta}mppDEG$ strain was observed to accumulate fast-eluting pigments in a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A LC-MS analysis identified these pigments as ethanolamine derivatives of red MAz, which had been previously identified in an mppE knockout mutant that produces high amounts of orange MAz. Although the underlying mechanism is largely unknown, this study has yielded an M. purpureus strain that selectively accumulates red MAz.

로젤(Hibiscus sabdariffa L.) 꽃받침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ck with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Calyx Powder)

  • 신소연;송가영;오현빈;정기영;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6-2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유의 색과 항산화 활성이 있는 로젤 꽃받침을 활용하고자 로젤 꽃받침 분말을 대조군, 0.5%, 1%, 1.5% 및 2%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여 수분, pH, 색도 및 외관, 조직감, 항산화능 및 소비자 기호도를 분석하였다. 설기떡의 수분 측정 결과 0.5% 시료의 수분함량이 40.60%로 가장 높았으며, 2% 시료의 수분함량은 37.37%로 가장 낮았다. pH는 로젤 꽃받침에 함유된 다량의 유기산의 영향으로 로젤 꽃받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경도와 씹힘성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 시료를 제외한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 시료들의 응집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탄력성의 경우, 시료들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기떡의 수분함량과 pH가 감소하여, 경도와 씹힘성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명도는 로젤 꽃받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적색도와 색차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 시료들의 황색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로젤 꽃받침의 안토시아닌은 설기떡 제조과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고유의 색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로젤 꽃받침 분말은 설기떡 제조 시 천연 착색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로젤 꽃받침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설기떡과 비교하여 로젤 꽃받침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에서 높았다(p<0.05). ABTS $IC_{50}$은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이를 통해 로젤 꽃받침 분말 첨가 시 항산화 활성이 있는 설기떡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로젤 꽃받침을 다른 음식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천연 항산화제로서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 분석 결과, 대조군과 1% 첨가군 두 가지가 종합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항상화능은 로젤 꽃받침 분말함량이 가장 큰 2%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나, 신맛이 강하여 설기떡 제조에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로젤 꽃받침 분말을 1% 첨가하는 것이 설기떡 제조에서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천연 착색제, 천연 항산화제로서 로젤 꽃받침을 식품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8~19세기 대형 불화에 사용된 회청(Smalt) 안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lt Pigments Used in Large Buddhist Painting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윤지현;김소진;김규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120-129
    • /
    • 202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대형 불화 10점에 사용된 회청 안료에 대하여 에너지분산형X-선분광기를 이용하여 화학 조성 분석을 시행하고,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여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화학 조성 분석에 의하면, 10개의 대형 불화의 회청은 모두 주제로 SiO2, 융제로 K2O를 사용한 포타쉬 유리로 판단된다. 착색제로 사용한 코발트 광석과 관련된 성분 외에도 As2O3, BaO, PbO가 높게 검출되는 대형 불화가 확인된다. 회청 입자들은 일정한 형태가 없고, 다양한 색도의 청색을 띤다. 일부 입자에서는 패각상의 깨짐, 구 모양의 기포, 불순물이 관찰된다. 반사전자상을 통해 AD 18세기 초반의 대형 불화에서 나온 회청은 As가 높은 회청만 검출되었으나 AD 18세기 중반 이후의 대형 불화에서 나온 회청에서는 입자마다 다양한 명암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As, Ba, Pb 등이 높은 회청이 검출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조선시대 대형 불화의 회청 유형은 3가지로 구분된다. A형은 As2O3가 높은 유형, B형은 BaO가 높은 유형, C형은 PbO가 높은 유형이다. 회청 안료의 3가지 유형을 대형 불화의 제작 시기별로 살펴보면, A형은 중간에 검출되지 않은 시기도 있지만 1705년부터 1808년까지 사용이 확인되며, B형과 C형은 1750년부터 출현하여 1808년까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D 18세기 초반까지는 한 가지 유형의 회청만 사용되었고, AD 18세기 중반부터는 하나의 대형 불화 안에서도 여러 유형의 회청이 혼합되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당시 대형 불화를 제작할 때 사용한 회청 안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