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space searching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Text Extraction in HIS Color Space by Weighting Scheme

  • Le, Thi Khue Van;Lee, Gueesang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2권1호
    • /
    • pp.31-36
    • /
    • 2013
  • A robust and efficient text extraction is very important for an accuracy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systems. Natural scene images with degradations such as uneven illumination, perspective distortion, complex background and multi color text give many challenges to computer vision task, especially in text ext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xtraction of the text in signboard images based on a combination of mean shift algorithm and weighting scheme of hue and saturation in HSI color space for clustering algorithm. The number of clusters is determined automatically by mean shift-based density estimation, in which local clusters are estimated by repeatedly searching for higher density points in feature vector space. Weighting scheme of hue and saturation is used for formulation a new distance measure in cylindrical coordinate for text extraction. The obtaine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various natural scene imag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 PDF

IPTV에서 컷 검색을 위한 색 분포정보를 이용한 FE-CBIRS (FE-CBIRS Using Color Distribution for Cut Retrieval in IPTV)

  • 구건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1-97
    • /
    • 2009
  • 본 논문은 IPTV에서 방영되는 디지털 콘텐츠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컷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때 색 분포에 관한 특징 정보를 이용한 FE-CBIRS을 제안한다. 기존 CBIRS에서는 색상과 모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를 구분하는 특징정보로써 활용하며, 이미지를 세그멘테이션 처리하여 얻은 부분영역 특징정보를 전체 이미지의 특징정보와 함께 사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적용되는 색상 특징 정보의 경우 색상, 채도, 명도의 각각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왜도를 사용하며 부분영역을 특징정보로 적용하는 경우 대표색상만을 사용한다. 아울러 모양특징정보의 경우 추출된 부분영역들에 대한 불변 모멘트가 주요하게 사용된다. 이로 인한 처리시간의 문제, 정확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에서는 추출된 색상 특징정보들을 클래스별로 구분하여 인덱싱 하고 검색 시 비교대상 이미지를 해당 컷에 한정하여 적용하므로서 검색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지각된 정보구조의 효과적 형성을 위한 색공간 네비게이션 시스템 연구 -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위계적 정보구조를 중심으로 - (A Color Navigation System for Effective Perceived Structure: Focused on Hierarchical Menu Structure in Small Display)

  • 경소영;박경욱;박준아;김진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67-180
    • /
    • 2002
  • 작은 화면에서 방대한 규모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정보구조가 잘 조직화되어야 하고, 항해 보조장치가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계적인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지닌 정보공간을 작은 디스플레이 공간(small screen)에서 제시할 때 사용자가 실제 공간 구조차 유사하게 내적 모형(internal model)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어떻게 항해 단서(navigation cue)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색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색공간 개념이 위계구조의 정보공간과 잘 맵핑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정보공간을 위한 색공간은 색상과 톤 개념을 기반으로 정의되었다. 1차 사전 설문조사가 진행되었고, 2차 본 실험을 통해서 색 단서(color cue) 제공이 사용자의 공간구조 이해 및 항해 성과(navigation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첫째, 카테고리 구분을 위해 사용된 색상은 정보공간의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항해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톤으로 제공된 정보 깊이에 대한 단서는 정보공간의 개념 이해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항해 성과에도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기술로 마무리하였다.

  • PDF

체험전시공간 시지각적요소의 체류지원성향상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y affordance for Visual Perception factors in Experience Exhibition Space - With Focus on Gyeonggi Children Museum -)

  • 송정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5-204
    • /
    • 2013
  • Today, the children's museum evolved from place of exhibition for seeing and feeling, to that of exhibition for searching and touching, or so-called the hands-on exhibition. This will allow for grabbing the interest from childre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ing by an actual experience at this intellectual and benign environment. But in this modern society that constantly undergoes evolution even as we speak,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ng our children to museums, because they are vastly exposed to various media. Moreover, if the children who visited museums carelessly bypass the specific areas intended for exhibi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nhanced learning effect with hands-on experience" is easily underachieved. According to children's visual stimuli, their behavioral charactoristics are appeared to freewill curiosity but they show shorter elapsed time(impermanence), intensity(stubbornness), frequent occurrence(frequentness) and changeable (translatability). So, We need Improvement of visual image affordance through the measurement of stay time. Firstly, five factors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on twenty questions based on visual image factors; Color accessability and Satistaction(factor1), brightness and color harmony(factor2), feeling on harmonization of color and stay time(factor3), simplex & complex of space(factor4), feeling on scale(factor5) Secondly, the following result are derived through a distribution chart on an exhibition room of K-museum. As shown above, this study based on various analyzed aspects proposes the directions of a color image plan to improve stay time in exhibition space of children museums with a hope to support educational goals of experience education-focused children museums.

특징, 색상 및 텍스처 정보의 가공을 이용한 Bag of Visual Words 이미지 자동 분류 (Improved Bag of Visual Words Image Classification Using the Process of Feature,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 박찬혁;권혁신;강석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82
    • /
    • 2015
  • 이미지를 분류하고 검색하는 기술(Image retrieval)중 하나인 Bag of visual words(BoVW)는 특징점(feature point)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이미지 특징벡터들의 분포를 통해 쿼리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검색해주는 시스템이다. Words를 구성하는데 특징벡터만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이미지를 검색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징벡터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색상정보나 반복되는 패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텍스처 정보를 Words를 구성하는데 포함시킴으로서 다양한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 부분에서는 특징정보만을 가진 words를 이용해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와 색상정보와 텍스처 정보가 추가된 words를 가지고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를 비교하였고 새로운 방법은 80~90%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

Searching for Dwarf Galaxies in Deep Images of NGC 1291 obtained with KMTNet

  • Byun, Woowon;Kim, Minjin;Sheen, Yun-Kyeong;Park, Hong Soo;Ho, Luis C.;Lee, Joon Hyeop;Jeong, Hyunjin;Kim, Sang Chul;Park, Byeong-Gon;Seon, Kwang-Il;Ko, Jongwa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38.3-38.3
    • /
    • 2019
  • We present newly discovered dwarf galaxy candidates in deep wide-field images of NGC 1291 obtained with KMTNet. We identify 15 dwarf galaxy candidates by visual inspection within the virial radius of NGC 1291. Using imaging simulations, we demonstrate that our imaging data is complete up to 26 mag arcsec-2 or -10 abs.mag with > 70% of the completeness rate. We also apply automated detection method to find the dwarfs. However, the completeness and the reliability a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visual inspection. We find that structural and photometric properties of dwarf candidates such as effective radius, central surface brightness, Sérsic index, and absolute magnitude appear to be consistent with those of known dwarf galaxies in nearby groups and clusters, except for color. NGC 1291, residing in a relatively isolated environment, tends to accompany bluer dwarf galaxies (≃0.58) than those in denser environment. It shows that the quenching of dwarfs is susceptible to the environment.

  • PDF

컬러공간 특성을 이용한 유해 동영상 식별방법에 관한 연구 (An Identification Method of Detrimental Video Images Using Color Space Features)

  • 김성균;김창근;정대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807-2814
    • /
    • 2011
  • 본 논문은 컬러공간 특성을 이용하여 유해동영상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하여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유해동영상 식별 알고리즘은 2차원 투영맵에 기초하고 있다. 비디오 이미지의 컬러특성을 추출하는데 있어 2차원 투영맵은 후보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데 적용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유사도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프레임과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먼저 계산하고, 유사도 평가를 통하여 유해동영상 후보프레임을 식별해 내고 임계치를 적용하여 최종 판단을 내린다. 제시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결과, 유해동영상을 찾는데 있어 컬러히스토그램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2차원 투영맵을 이용한 기법이 계산속도와 식별능력 면에서 더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KMTNet Supernova Program : Year One Progress Report

  • KIM, Sang Chul;Moon, Dae-Sik;Lee, Jae-Joon;Pak, Mina;Park, Hong Soo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53.1-53.1
    • /
    • 2016
  • With the official start of the operations of the three 1.6 m KMTNet telescope systems from 2015 October, we have initiated a program named KMTNet Supernova Program (KSP) from 2015 to 2019 aiming at searching for supernovae (SNe), other optical transients and related sources. Taking advantage of the 24-hour coverage, high cadence and multi-color monitoring observations, this is optimal for discovering early SNe and peculiar ones. From the start of the previous test observing runs of ~half a year, we have performed observations on several nearby galaxy groups and nearby galaxies with short separations on the sky. We have developed data reduction/variable object search pipelines, meanwhile we have discovered some interesting transient objects. We also stacked all the images for given fields, searched for new objects/galaxies, and discovered several new dwarf galaxies, e.g., in the NGC 2784 galaxy group field (H. S. Park et al.'s talk). We will report the current project status and the results obtained.

  • PDF

아파트단지 옥외휴게공간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Residents'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Outdoor Rest Space in Apartment Complex)

  • 홍형순;이은엽;오희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7
    • /
    • 200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the satisfaction index, and the satisfaction factor of the residents in the apartment adopting thematic outdoor rest space design.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basic data for the standard of resident-centered rest space design, not designer-centered or fashion-followed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most residents use near by rest space, and more use occur during the evenings; 17 hr. ∼ 21 hr. Most of residents use the rest space with their children, partner, or family. Residents usually take walks and take a rests in the rest space. Most residents use the rest space quietly. Of the rest facilities in the outdoor rest space, benches are most used, walks and pergolas are more frequently used. But waterscape facilities are not particularly used. The satisfaction index of the outdoor rest space is generally low. However, the satisfaction index of the rest space and facilities type shows that the evaluation of rest facilities(e.g. benches) is high. The satisfaction index of the decoration shows that the evaluation for the color and design of facilities is high. In the satisfaction index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item about the size of rest space is highly appreciated. In the mental satisfaction index of the rest space, the item about whole atmosphere is highly appreciated.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general satisfaction index with outdoor rest space, the factor of physical environment is the most important independent-variable. Physic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re more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than the atmosphere of outdoor rest space. In the future, the practical study searching for the preferences of the residents and the activation of use should be preceded.

실시간 비디오 포토 모자이크를 위한 이미지 집합 최적화 (Image Set Optimization for Real-Time Video Photomosaics)

  • 최윤석;구본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502-50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포토 모자이크 생성을 위한 이미지 집합 최적화 기법을 소개한다. 포토 모자이크 기법은 작은 포토 이미지를 사용하여 한 장의 큰 사진을 완성하는 기법으로 이미지를 일정한 영역의 셀로 분할한 후 각 셀 영역을 색상, 모양, 무늬 등에서 적합한 이미지로 대체한다. 큰 사진을 구성하는 이미지에 필요한 다양한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포토 타일 이미지가 필요하게 된다. 많은 양의 포토 이미지는 이미지 패턴 검색 시간을 오래 걸리게 하고, 이미지 저장을 위해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제약은 실시간 처리나 리소스의 제한이 있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포토 모자이크의 적용을 힘들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검색 시간 향상과 메모리 요구 최소화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 활용하여 전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특징이 있는 이미지를 선별하여 작은 이미지 집합을 구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