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significance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1초

영아기 어머니역할 교육 프로그램이 모아상호작용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21-34
    • /
    • 2001
  • The impact of childhood experience has lifelong significance on subsequent health and development.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infant is mostly affected by the quality of parental care and rearing environment. But the new mothers usually do not know what to do because of the lack of experience in these days. Therefore, an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maternal role would be necessa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infant interaction,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infant developmen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ime-series design was used, and Barnard's mother-infant interaction model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the healthy infants weighing over 2,500gm at birth, whose gestational age was more than 37 weeks, and their mother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9 mother-infant dyads for intervention group and 18 dyads for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September 3rd in 1999. For the intervention group, programmed education which focused on mother-infant interaction, breast feeding, and infant care was provided before discharge. Telephone counselling was provided within one week after discharge. Home visiting for maternal role education was provided twice, one month and three months postpartum. For the control group, home visiting was also conducted but only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to test the equivalence of two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 was determined with repeated measure ANCOVA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ot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two groups(p=.000). It indicates that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 infant interaction. In subscale analysis, four out of six subsc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ensitivity to cues (p=.000), social-emotional growth fostering (p=.000), cognitive growth fostering(p=.000) in mothers, and responsiveness to caregiver (p=.019) in infants. 2. The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childrearing environment (HOM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p=.003). When each subscale of HOME was examined individually,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diversity of stimulation(p=.000), and mother's involvement(p=.001). 3. Three-month-Infants of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GQ in the Griffiths mental development scale(p=.026). In subscal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ersonal-social(p=.005), and the hearing and speech(p=.003). In conclusion, the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organizing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fostering the infant development. These results are very meaningful that we found maternal role education necessary for normal infants' mothers, and that nurses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in promoting health of infants and mothers.

  • PDF

LT 협동학습 기반의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App Inventor Programming of LT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Children's Motivation)

  • 전성균;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
    • /
    • 2015
  •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문법을 익히는데 유발되는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줄여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블록 기반으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앱 인벤터가 소개되었다. 학생들이 실생활에 쉽게 활용 가능한 앱을 설계 제작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도구로 프로그래밍을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초등학생은 발달단계상 구체적 조작 활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를 기반으로 실세계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제시할 수 있는 앱 인벤터는 초등학생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였다.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프로그래밍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협력하는 LT 협동학습과 스마트폰의 여러 가지 센서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주제 그리고 앱 인벤터의 활용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지속시켰다고 판단된다.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 조은별;이선영;신종호;홍윤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온라인 정보탐색의 효과변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y Online Search Effect)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361-39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the online searcher's search experience and their search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28 online searchers working at the chosen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subject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of cognitive style by Group Embedded Figure Test. As the result of the GEFT, two groups have been identified: the 15 Field Independance ( FI ) searchers and the 13 Field Dependance ( FD ) searchers. The subject's search experience consists of the 3 elements: disciplinary, training, and working experience. In order to get the data of these empirical elements, a questionnaire have been sent to the 28 subjects. An online searching request form prepared by a practical user was sent to all subjects, who conducted searches of the oversea databases through Dialog to retrieve what was requested. The resultant outcomes were collected and sent back to the user to evaluate relevance and pertinence of the search effect by the individual. In this study, the search effect has been divide into relevance and pertinence. The relevance has been then subdivided into the 3 elements : the number of the relevant documents, recall ratio, and the cost per a relevant document. The relevance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3 elements: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utility ratio, and the cost per a pertinent docu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3 elements of the subject's experience and the 6 elements of the search effect has been analysed in the FI and in the FD searchers separately. At the standard of the 0.01 significance level, findings and conclusions made in the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 1.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training and the recall ratio,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and the utility ratio on the part of FI searchers. 2.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the relevant documents, the recall ratio on the part of FD searchers. Howeve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co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and the search cost per a pertinent document on the part of FD searchers. 3.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has stronger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and the utility ratio on the part of FD searchers than the amount of training. 4.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ining and the pertinence on both part of FI and FD searchers.

  • PDF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언어기능검사 시 image를 이용한 자극방법의 타당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new stimulation method in fMRI language examinations using custom designed images)

  • 최관우;손순룡;정미애;민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05-5011
    • /
    • 2011
  •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 언어 인지기능의 영상화에 있어서 기존의 text를 이용한 자극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절이나 단어에 부합하는 image를 자체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 영상화 구현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3월부터 동년 5월까지 언어기능검사가 필요한 성인 5명을 대상으로 text를 이용한 자극방법과 text를 대체한 image를 이용한 자극방법으로 나누어 각각 3회 시행하였다. 실험 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와 Invivo사의 Eloquene를 이용하였고, EPI-BOLD 기법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의 후처리는 SPM 99를 이용하여 각 자극별로 95%의 신뢰수준에서 활성화 신호를 결정하였고, 관심영역인 Broca's area의 활성화 cluster 수와 활성화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5명 모두 관심 영역인 Broca's area에서 활성화를 보였으며, 활성화 cluster 수와 활성화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image를 이용한 자극방법은 언어장벽이 있더라도 image 자체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공통된 인식표기 수단이고 단어나 음절보다 시각적 효과가 크므로 인지기능이 저하된 외국인이나 문맹자나 영유아, 장애자, 노약자 등의 검사시 text를 이용한 자극방법의 대체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보드 게임을 활용한 반 구조화된 DIRFloortime®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언어 이해 및 정보처리 지표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mi-structured DIRFloortime® Therapy Using Board Games on Verbal Comprehension and Processing Speed Index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 정희승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5-4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반 구조화된 $DIRFloortime^{(R)}$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이해 지표 및 정보처리 지표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자폐정도, 전체지능, 언어이해지표 와 정보처리 지표를 측정하였다. 중재 방법으로 사용한 것은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후, 수정 보완하여 보드게임을 활용한 반 구조화된 $DIRFloortime^{(R)}$ 치료 중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유사 실험 설계로 한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실험 설계를 하였으며 유의수준 .05에서 t 검증을 통해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언어이해 지표는 사후검사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1) 유의미한 차이가 잇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처리 지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보드게임을 활용한 반 구조화된 $DIRFloortime^{(R)}$ 치료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언어이해 및 정보처리 지표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소리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일과성 청력 역치 상승과 회복의 차이 (Differences in Temporary Threshold Shift and Recovery Patterns Depending on Sound Type and Pressure)

  • 이채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7-39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emporary threshold shift (TTS) and recovery pattern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ound and volume. Methods: TTS and recovery patterns were assessed for eight students after 30-minute exposure to both 70.0 dB and 90.0 dB of factory noise (noise) as well as music. TTS was measured before exposure and two minutes post exposure, and recovery patterns were evaluated every 10 minutes for one hour. The subjects performed activities of daily life and sleeping times as usual but taking drugs or drinking alcohol were prohibite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with an interval of at least 16 hours. ANOVA and T-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9.0 for Windows. Results: The hearing threshold of all subjects before exposure was less than 30 dB at all frequencies. Mean TTSs of 70 dB noise and 90 dB noise exposure were 0.14 and 4.48 dB (p<0.001). Meanwhile, the difference in music was insignificant (-0.63 dB and 0.55 dB, p=0.063). A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was also found between the mean TTS of music and noise exposure, more obviously at 90.0 dB (p<0.001) than at 70 dB (p=0.232). The TTS differences were found frequency-wise in terms of sound type. Mean TTS by frequency was higher at 4,000 and 6,000 Hz than at other frequencies, and higher in noise than music at the same sound pressure. The TTS difference in each frequency between both sound types was significant at 90 dB (p<0.001). Subjects mostly recovered from TTS in one hour after exposure, but not with 90 dB-noise exposure. Conclusion: TTS and recovery patter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und type. When exposed to factory noise, TTS was greater and recovery time was longer compared to music at the same sound pressu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cognitive processes and psych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causes a change in TTS and recovery.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46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 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

인테리어 테라피에서 에코 테라피의 접목가능성 고찰 : 통합적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Connective Possibility of Eco Therapy in Interior Therapy : focusing on integrative psychotherapy)

  • 장미정;이진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3-24
    • /
    • 2019
  • 본 연구는 통합적 심리치료를 위한 인테리어 테라피에서 에코 테라피의 접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문헌연구로 한다. 연구과정은 통합적 심리치료에 대해 고찰과 인테리어 테라피에서 에코 테라피의 접목가능요소를 파악하고, 통합적 심리치료를 위한 인테리어 테라피와 에코 테라피의 접목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범위는 첫째, 통합적 심리치료에 대한 문헌고찰, 둘째, 인테리어에서 테라피와 에코에 대한 논의, 셋째, 통합심리치료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과 내담자의 심리변화에 따른 체계와의 관련성을 통해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적 측면은 공간의 설치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을 활용한다. 둘째, 인지적 측면은 공간의 에너지적 측면과 설치적 측면을 활용한다. 셋째, 행동적 측면은 공간의 구조적 측면, 설치적 측면, 감성적 측면, 용도적 측면을 활용한다. 시사점은 '식물'을 장식소품의 협의적 개념에서 인간-환경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심리치료 요소로 활용될 수 있는 에코테라피로 확장하여, 향후 디자인 테라피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있다.

제조업 사운드 디자인을 위한 청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 설계: 기능 선호도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uditory User Interface Guideline Development for Industrial Sound Design: focused on Function Preference and Sexual Difference)

  • 유훈식;주다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93-202
    • /
    • 2017
  • 중국 제조업의 성장과 선진국들의 제조업 정책 강화로 인해 국내 제조업이 경쟁력 약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성장을 위한 동력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는 시기이다. 이 연구는 제조업의 사운드 디자인을 지원하기위한 인지 및 감성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연구로 AUI(Auditory User Interface)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제조업 종사자 대상의 인터뷰를 수행하여 AUI 설계와 관련된 맥락과 관련된 주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업 AUI 설계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사운드 요소를 제품의 대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총 26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소리에 가장 적합한 멜로디 방식과 이에 대한 남성과 여성 사용자의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Beep음을 기반으로 음의 개수, 멜로디 유형, 코드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품의 주 사용자 대상을 남성과 여성을 나눌 때 활용 가능한 AUI 가이드라인 결과를 함께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제조업 AUI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본 가이드 데이터를 구축한 것에 가장 큰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