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conflict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회로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토론과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Conflict Through Discussion and Physical Experience in Learning of Electric Circuit)

  • 서상오;진순희;정성안;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62-87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사전개념 검사 문제를 분석하여 간단한 전기회로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알아보고,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자신의 생각과 불일치한 동료 한명과 자유롭게 토론을 한 후의 인지갈등정도와 토론에서 사용한 같은 인지갈등 검사 문항으로 체험을 한 후의 인지갈등정도를 비교하였다. 대도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6학년 7개 학급 26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간단한 전기회로 개념에 관한 오개념 유형을 조사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전구가 2개의 전기적 단자를 갖고 있음을 모르고 있었으며, 전구의 꼭지를 강조하거나 전지의 +극을 강조하는 경우가 있었고 단일극 모형을 가진 경우도 상당수 나타났다. 전지의 +극에 전구가 옆으로 뉘어져 있고 전선이 꼭지쇠와 전지 -극에 연결된 문항을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미리 구성한 토론 조에게 동료의 생각을 듣고 학습지에 적도록 한 다음에 자유롭게 토론을 하게 하였으며, 토론을 마친 후에 인지갈등검사를 하였다. 토론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몇 쌍은 녹음, 녹화하여 프로토콜을 전시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체험은 토론을 하지 않은 같은 학교 6학년 학생으로 짝과 함께 2인 1조로 직접 실험을 하여 인지갈등 정도를 측정하였다. 토론과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은 인지적 재평가, 불안, 인식, 흥미 순으로 인지갈등이 높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 인지적 재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체험은 인식, 인지적 재평가, 흥미, 불안 순으로 인지갈등이 높게 나타났고 불안의 반응치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인지갈등 요소별 인지갈등 점수를 살펴보면 흥미, 불안, 인지적 재평가에서는 토론이 체험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불안 요소와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는 토론이 체험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까닭은 직접 실험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토론만 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토론집단의 남녀 차이에 따른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분석한 결과 남자는 인지갈등 요소별 점수가 인지적 재평가, 인식, 불안, 흥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인식의 반응치가 높게 나타난 반면에 흥미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여자는 인지적 재평가, 불안, 흥미, 인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재평가의 반응치가 그 중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인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토론으로 인지갈등을 유발했을 때 갈등 요소 중 인지적 재평가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체험집단의 남녀 차이에 따른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분석한 결과 체험으로 인지갈등을 일으켰을 때 인식요소를 제외한 흥미, 불안,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인지갈등 점수가 높게 나왔고, 특히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까닭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직접 실험하고 조작해 보는 경험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모델에 기반한 인지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f Systems Engineering Process Model For the Cognitive Interface Design Process)

  • 차우창;나두완;최용진;이지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9권2호
    • /
    • pp.15-22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process suitable for developing the cognitive interface considering system engineering process (SEP) models. Due to the cognitive workload in an operation of HMS, some cognitive interfaces have been developed. It is somehow difficult to use the developed cognitive interface in real working environment since they often showed a conflict to stereotyped interfac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esign process suitable for the more operator-specific interface. Various SEP models were reviewed for selecting the suitable design process which might resolve the problem from design-specific interface. The suitable process for designing cognitive interface was proposed considering currently usable SEP model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may be helpful for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ing cognitive interface in digitalized environment. The proposed design process would be applied for easily employing the cognitive interface in digitalized working environment such as main control room in nuclear power plant.

인지갈등 수업전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지층에 관한 개념변화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Changes on the Geological Stratum by Cognitive Conflict Strategy)

  • 나진호;정미영;경재복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777-789
    • /
    • 2005
  • 이 연구는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학생들의 지층에 관해 비과학적 개념을 조사한 결과, 지층이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편마암이 지층을 형성하는 암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지층의 습곡은 위에서 누르는 힘 때문에 생긴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의 비과학적 개념이 나타났다.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한 후,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층이 만들어지는 곳, 지층에서 볼 수 있는 암석, 습곡이 생기는 이유에서는 큰 효과가 나타났으나 지층의 알갱이가 다른 이유에는 거의 개념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개념에 따라 인지갈등 전략 수업으로 개념변화가 쉬운 개념이 있는 반면, 어려운 개념도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개념변화를 이루지 못한 학생들에게 비과학적 개념 형성 원인을 알아본 결과,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지구 내부의 열과 압력, 화산 활동 등의 큰 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학생들의 견고한 사전개념과 교사가 수업 시간에 한 현상을 강조하면 다른 영역의 현상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TV 등의 영상 매체의 역할이 견고한 비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수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형성되어 있는 개념을 알아보아 인지갈등을 적용했는데도 개념변화가 어려운 것은 지층에 관한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이 변하기 쉽지 않은 개념임을 말하는 것이다.

A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 Joshi, Gyanendra Prasad;Kim, Sung Won;Kim, Changsu;Nam, Seung Yeob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호
    • /
    • pp.331-343
    • /
    • 2015
  • We propose a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to opportunistically utilize multiple channels. Under the proposed protocol, cognitive radio nodes forecast and rank channel availability observing primary users' activities on the channels for a period of time by time series analyzing using smoothing models for seasonal data by Winters' method. The proposed approach protects primary users, mitigates channel access delay, and increases network performance. We analyze the optimal time to sense channels to avoid conflict with the primary users. We simulate and compare the proposed protocol with the existing protocol.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utilizes channels more efficiently.

교회 갈등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신뢰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hurch Conflict on Church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 정구철;이건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05-313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법으로 기독교 성인 21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회 내 갈등은 대인신뢰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회 내 갈등은 교회헌신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독교인의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인에 대한 인지적 신뢰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기독교인의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사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회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관리하기 위해 목사에 대해서는 정서에 기반한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고, 동료 교인에 대해서는 인지에 기반한 신뢰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교회 조직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였다.

유아의 성별 및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에 따른 주의력의 차이 (The Differences Between Attentional networks according to Sex and Reflection-Impulsivity In The Cognitive Style of Young Children)

  • 김형재;윤정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1-31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attentional networks according to sex and reflection-impulsivity in the cognitive styl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8 5-year-old children from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Busan(with 40 in the reflection group, and 38 in the impulsivity group).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Mating Familiar Test and the Attentional Network Test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has used two independent t-test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attentional networks according to sex, and reflection-impulsivity in the cognitive styles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with reflection cognitive style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girls with the same style(t=2.18, p<.05). Second, young children with reflection cognitive style were significantly faster in the case of alerting effects than those with impulsivity cognitive style(t=-2.53, p<.05). The young children with reflection cognitive style were slower than those with impulsivity cognitive style in the case of orienting effect(t=2.04, p<.05). Children with a combination of both conflict effect and reflection cognitive style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with impulsivity cognitive style(t=-2.89, p<.01).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ttentional networks according to sex and reflection-impulsivity cognitive styles of young children.

간호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on Nursing Students)

  • 곽혜원;김나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0-3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 conflict resolution methods, interpersonal anxiety, salivary cortisol level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8-week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theor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58 third-year nursing students, 2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5, 2014 to August 25, 2014 and analyzed through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tive conflict mitigation and significantly lower post-test scores in active conflict intensif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improved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methods and redu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vered the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aspects of harmony.

갈릴레오의 자유낙하 사고실험에 대한 중학생들의 사고과정 분석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nking Processes in Galileo's Free Fall Thought Experiment)

  • 정수인;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66-57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사고실험을 이용한 개념변화 수업모델에 따라 면담을 통해 학생의 실제 사고과정을 밝힘으로서, 개념변화과정에서의 주요 특징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갈등인식이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아가 갈등을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설명이론의 제시만으로 개념변화가 된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가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단 개념이 변화된 경우에는 비록 이론과 실제 현상과의 불일치를 설명하기 어려워했지만, 간단한 시범과 지도로 쉽게 해결될 수 있었다.

  • PDF

힘과 운동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시범에 대한 학생의 반응 분석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about Demonstrations for Cognitive Conflict on the Force and Motion)

  • 박종원;박문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62
    • /
    • 1997
  • Many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but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is not easy because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can not be observed directly. Therefore, we devloped demonstration using table tennis ball connected with spring in the water, in which a ball always move to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responses on the demonstrations designed to generate cognitive conflict and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To do this, five questions were administrated to identify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force and motion, and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demonstrations, and the process of interview was recorded by video camera. About half of students changed their preconceptions by observing the demonstration. However about thirty percentage of students did not change their preconceptions even though they observed demonstration correctly, among these students, some students simply rejected the observation, doubted the process of demonstrations, or reinterpret the result of observation to preserve their own preconceptions.

  • PDF

과학수업모형의 비교 분석 및 내용과 활동 유형에 따른 적정 과학수업모형의 고안 (The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Science Teaching Model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by Types of Contents and Activities)

  • 정완호;권재술;최병순;정진우;김효남;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relevant situations. Five science teaching models;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generative teaching model,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were identified from the existing models. The teaching models were modified and in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using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eaching science concepts, three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generative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2. For teaching inquiry skill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3. For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s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Each teaching model requires specific learning environment.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select a suitable teaching model carefully after evalu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ar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