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efficient inequality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1초

Factors Impacting on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GMM Model Estimation

  • NGUYEN, Hiep Qu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635-641
    • /
    • 2021
  • This article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with data from 63 provinces and cities collected from the Vietnam Household Living Standards Survey of th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from 2010 to 2018. The article will firstly build a research model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come inequality. Then, it uses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f factors on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The empirical estimate result shows that, in the period from 2010 to 2018, the factors such as the proportion of the working employees, income per capita, and infl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Gini coefficient. That is, when these factors increase, there will be negative effects on improving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Conversely, when the factors such as the proportion of the literate adults, the proportion of the urban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crease the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during this period. The estimated coefficients satisfied the sign expectation except the proportion of the literate adults. It means that, in Vietnam, the increase and more equilibrium in educational attainment balance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bring an improvement in income inequality.

어촌계의 소득 격차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ome Inequality among the Fishing Communities in Korea)

  • 옥영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39권3호
    • /
    • pp.25-47
    • /
    • 2008
  • The Fishing Communities (so-called Uchongae) in Korea was legally established in 1962. It has been gradually expanded by quantity, and we have total 1,969 communities in 2006. The major establishment purpose of Uchongae was put 2 functions. The first function is to make up the double industry structure in coastal region, and second function is to make economical condition for Uchongae. Nevertheless the Fishing Communities System in Korea was not successfully developed after first beginning. The Income gap have become heavily between fishing area and non - fishing area, including agricultural area. The income gap has been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Korea. And the income gap even have become heavily among Uchongaes. In this paper, It have been researched the degree of Income inequality among Uchongaes in Korea during 1986-2006. The income inequality degree was analyzed by Gini coefficient and Mean Log Deviation (MLD) using Lorenz Curv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the Gini coefficient of Uchongaes in Korea has been about 2-times high from 0.0847 to 0.1770 during 20 years. And the MLD has been 5.4 times from 0.0125 to 0.0679 during same periods. This means to more wide the general Income Inequality among the Uchongaes in Korea. Especially, It means to more wide the gap of high ranking Uchongaes and low ranking Uchongaes that MLD index multiplier has been more high.

  • PDF

GIE를 이용한 소득원천 별 불평등 효과 분석 (Analysis of Inequality Effects by Income Sources Using the Gini Income Elasticity)

  • 서봉균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65-84
    • /
    • 2010
  • 불평등 지수의 분해란 사회 전체의 불평등을,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원천들로 분해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개별요인들이 전체 불평등에서 정량적으로 차지하는 절대적 기여도에만 관심을 가져왔다. 그러나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원천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적인 불평등 효과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불평등 지수라 할 수 있는 지니계수를 소득원천별 혹은 사회복지 프로그램별로 분해하고, 각각의 Gini Income Elasticity(GIE)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소득'과 '고용주 및 자영자 소득'의 GIE가 각각 1.205와 1.867로, 이들의 증가는 사회 전체의 불평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소득원천들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GIE를 이용한 분석방법은 소득원천 혹은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의 불평등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유용한 방법의 될 수 있을 것이다.

소득불평등 개념과 실태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s of Inequality)

  • 유경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30권3호
    • /
    • pp.103-138
    • /
    • 2007
  • 본고는 (1)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개념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외국의 경우와 비교분석하고 (2) 서로 다른 개념의 소득불평등 지수가 실증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3) 그를 통하여 향후 소득분배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대적 소득불평등도의 기본 가정에 대하여 응답자의 다수가 동의하고 있지 않다는 다소 놀라운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외국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이나, 외국의 경우와 차이점은 한국인은 현 시점에서 상대적 소득불평등도의 증가보다는 절대적 소득불평등도, 즉 절대적 소득격차의 변화에 좀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한편 양극화 지수는 지니계수와 이론적으로는 다른 기반을 가지고 있으나 한국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다른 지수라 보기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소득불평등도의 변화는 그 변화의 양상이 절대적이냐 상대적이냐에 따라 성장과 빈곤의 변화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그동안 학계에 축적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국가발전전략의 설정에 있어 소득분배정책의 방향은 빈곤 감소적 성장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고가 제시하는 시사점이다.

  • PDF

가계의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지출 불평등 (Inequality of the Household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by Income Classes)

  • 이성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43-15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inequality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using the Family Expenditure Survey of 1990, 1996, 1998, and 2000. The major results are: first, inequality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has been relived between 1990 and 2000; second, despite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right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has been increased in the households hav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gaps in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between income groups a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pending levels of the private education rather than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s of households who spend any in the private education; fourth, in 2000, the gini coefficient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mong households ha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0.4832, and 0.6468 among households hav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fth, 30% of the households hav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show the highest level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ccupy 80% of the total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made by the whole households.

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 분석 (Consumption Inequality of Elderly Households)

  • 이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1호
    • /
    • pp.235-260
    • /
    • 2009
  • 일생동안 누적된 불평등이 극대화되는 것은 노년기이며, 특히 노년기에는 소비위주로 일상생활이 구성되기 때문에 소비의 관점에 입각해 노년기 불평등 구조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노년기 소비불평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가구의 총소비지출 불평등은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 차량유지비 등과 같이 현대소비문화를 반영해주는 비목의 지니계수 감소경향과 더불어, 우리사회가 고령화되어 감에 따라 노인들의 소비문화가 보다 대중성을 띄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 비목들의 총소비지출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료품비와 같은 생활필수적인 비목은 지니계수, 불평등 기여도 등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건의료비의 지니계수는 감소하다가 최근에 접어들며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교육관련 지출의 불평등성이 최근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전반의 교육불평등 심화 경향이 노인가구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1-60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심화와 함께 노인 소득불평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적소득, 시장소득, 가족 소득 등 주요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 간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 0.4809, 공적소득 0.4701, 시장소득 0.6735, 가족소득 0.1855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소득집단에 따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는 시장소득이 가장 크고 전체소득, 공적 소득도 매우 큰 것이다. 둘째, 노인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 가족소득, 시장소득을 각각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4864, 가족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5784, 시장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3609로 나타났다.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약간 증가한 공적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매우 미미한 반면에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매우 커진 가족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 소득 지니계수보다 크게 낮아진 시장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의 큰 원인이었다. 현재의 노인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인의 시장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Some New Hilbert Type Inequalities

  • Salem, Shaban Raslan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6권1호
    • /
    • pp.19-29
    • /
    • 2006
  • In this paper, we obtain some inequalities similar to Hilbert type. Some new inequalities are also given.

  • PDF

동태적 접근을 통한 임가의 소득과 소득불평등 간의 관계 분석 (Using a Dynamic Approac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ousehold Income and Income Inequality)

  • 김의경;김대현;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99-108
    • /
    • 2020
  • 이 연구는 소득과 불평등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임가의 소득과 소득불평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동태적 접근법을 통해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실시한 후 불안정한 시계열 자료를 안정적인 시계열 자료로 변환시킨 후 VAR 모형을 추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응,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가 소득의 영향이 지니계수에 의한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가 소득의 충격이 자체 소득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니계수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니계수의 충격은 임가 소득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소득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임가 소득불평등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소득분배 정책보다는 소득성장 정책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On a Reverse of the Slightly Sharper Hilbert-type Inequality

  • Zhong, Jianhua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9권4호
    • /
    • pp.731-742
    • /
    • 2009
  • In this paper, by introducing parameters ${\lambda}$, ${\alpha}$and two pairs of conjugate exponents (p, q), (r, s) and applying the improved Euler-Maclaurin's summation formula, we establish a reverse of the slightly sharper Hilbert-type inequality. As applications, the strengthened version and the equivalent form ar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