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s of Inequality

소득불평등 개념과 실태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compare the awareness of inequality concept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the survey, (2) to identify whether several inequality measures, which have diverse concepts, are different in empirical aspect, and (3)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income distribution policy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has shown a surprising fact in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o not agree with the basic assumptions outlined by Gini coefficient, which is the relative inequality measures that had been generally accepted in the past. These result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other countries. However, the major difference with other countries is that the Koreans feel that absolute income inequality-the income gap between the poor and rich, has increased more than relative income inequality, when all incomes of social members are doubled. From the resul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bi-polarization index is different from Gini coefficient in statistical aspect although it has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should seek to promote "the pro-poor growth" since the change of inequality affect differently on the change of growth and inequality depending on whether the inequality change is relative or absolute.

본고는 (1)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개념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외국의 경우와 비교분석하고 (2) 서로 다른 개념의 소득불평등 지수가 실증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3) 그를 통하여 향후 소득분배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대적 소득불평등도의 기본 가정에 대하여 응답자의 다수가 동의하고 있지 않다는 다소 놀라운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외국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이나, 외국의 경우와 차이점은 한국인은 현 시점에서 상대적 소득불평등도의 증가보다는 절대적 소득불평등도, 즉 절대적 소득격차의 변화에 좀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한편 양극화 지수는 지니계수와 이론적으로는 다른 기반을 가지고 있으나 한국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다른 지수라 보기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소득불평등도의 변화는 그 변화의 양상이 절대적이냐 상대적이냐에 따라 성장과 빈곤의 변화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그동안 학계에 축적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국가발전전략의 설정에 있어 소득분배정책의 방향은 빈곤 감소적 성장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고가 제시하는 시사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