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3초

Disruption of Established Bacterial and Fungal Biofilms by a Blend of Enzymes and Botanical Extracts

  • Gitte S. Jensen;Dina Cruickshank;Debby E. Hamilt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715-723
    • /
    • 2023
  • Microbial biofilms are resilient, immune-evasive, often antibiotic-resistant health challenges, and increasingly the target for research into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 nutraceutical enzyme and botanical blend (NEBB) on established biofilm. Five microbial strains with known implications in chronic human illnesses were tested: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simulans (coagulase-negative, penicillin-resistant), Borrelia burgdorferi,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strains were allowed to form biofilm in vitro. Biofilm cultures were treated with NEBB containing enzymes targeted at lipids, proteins, and sugars, also containing the mucolytic compound N-acetyl cysteine, along with antimicrobial extracts from cranberry, berberine, rosemary, and peppermint. The post-treatment biofilm mass was evaluated by crystal-violet staining, and metabolic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MTT assay. Average biofilm mass and metabolic activity for NEBB-treated biofilms were compared to the average of untreated control cultures. Treatment of established biofilm with NEBB resulted in biofilm-disruption, involving significant reductions in biofilm mass and metabolic activity for Candida and both Staphylococcus species. For B. burgdorferi, we observed reduced biofilm mass, but the remaining residual biofilm showed a mild increase in metabolic activity, suggesting a shift from metabolically quiescent, treatment-resistant persister forms of B. burgdorferi to a more active form, potentially more recognizable by the host immune system. For P. aeruginosa, low doses of NEBB significantly reduced biofilm mass and metabolic activity while higher doses of NEBB increased biofilm mass and metabolic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argeted nutraceutical support may help disrupt biofilm communities, offering new facets for integrative combinational treatment strategies.

Bovine mastitis: risk factors, therapeutic strategies, and alternative treatments - A review

  • Cheng, Wei Nee;Han, Su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699-1713
    • /
    • 2020
  • Bovine mastitis, an inflammation of the mammary gland,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dairy cattle causing economic losses due to reduced yield and poor quality of milk. The etiological agents include a variety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nd can be either contagious (e.g.,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agalactiae, Mycoplasma spp.) or environmental (e.g.,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spp.,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uberis). Improving sanitation such as enhanced milking hygiene, implementation of post-milking teat disinfection, maintenance of milking machines are general measures to prevent new cases of mastitis, but treatment of active mastitis infection is dependant mainly on antibiotics. However, the extensive use of antibiotics increased concerns about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and that led the dairy industries to reduce the use of antibiotics. Therefore, alternative therap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vine mastitis, particularly natural products from plants and animals, have been sought.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bovine mastitis in the aspects of risk factors, control and treatments, and emerging therapeutic alternatives in the control of bovine mastitis.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고찰: 15년 간의 단일 기관 연구 (A Fifteen-year Epidemiological Study of Ventriculoperitoneal Shunt 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김연경;신형진;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41-148
    • /
    • 2012
  • 목 적 : 뇌실-복강 단락 수술은 수두증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뇌실-복강 단락에서 단락 감염은 중요한 합병증이며 수술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는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증상, 치료와 예후를 파악하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4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 받은 18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90명(여자 82명, 남자 107명)의 환자에서 327건의 뇌실-복강 단락 수술을 시행하였다. 중위 연령은 2.4세이며(0.02-17.9세) 뇌실-복강 단락 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뇌종양이었다. 수술 1건 당 감염률은 6.7% (22/327건), 환자 1명 당 감염률은 9.5% (18/190명)이며 100건의 수술-년 당 감염은 0.45건 이었다. 가장 흔한 원인 균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7건) 이며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은 1건 이었다. 10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과 beta-lactam antibiotics (cephalosporin or carbapenem)의 복합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7건의 감염에서 vancomycin 단독 정주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26일(7-58일)이었으며 수술적 치료는 18건에서 시행하였다(18/22건, 81.8%). 결 론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15년 동안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을 요약한 연구로 소아 환자에서의 뇌실-복강 단락 감염의 역학적 정보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단락 감염의 발생과 관련한 위험 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개 고등학교 환경에서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의 오염도 조사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MRS) in a High School Environment)

  • 홍승복;백윤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20-426
    • /
    • 2017
  •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i, MRS)는 인체 여러 부위에서 집락화 될 수 있으며 의료기관과 연관된 사람에서 흔히 분리된다. 이 연구는 밀접한 단체생활을 하는 일개 고등학교 한 개 반의 학생들 손과 그들이 사용하는 책상에서 MRS 균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가 28명의 학생의 손 중에서 2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모두 메치실린에 감수성이었다. 응고인자 음성 포도알균(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CoNS)는 26 균주가(26/28, 92.9%) 분리되었으며 이들 균주 중 14 균주는 메치실린 내성균(MRCoNS)이었다. 14 MRCoNS 중 S. warneri가 가장 흔하였으며(8/14, 57%), 이들은 대부분의 $non-{\beta}-lactam$ 항생제에 감수성 이었다. 31개의 책상에서는 S. aureus는 분리되지 않았으나 26 CoNS (26/31, 83.9%)가 분리되었다. 손과 책상에서 분리된 포도알균 이외의 균은 Micrococcus와 Bacillus spp.이었다. 결론적으로 MRSA는 이번 연구에서 분리되지 않았으나 mecA 유전자를 갖고 있는 MRCoNS는 학생들의 손에서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손씻기와 같은 예방 교육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이들 균의 오염 및 보균율 등의 조사와 같은 능동적 감시 등이 이들 균의 감염예방과 전파 차단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tiology of Bacteremia in Children With Hemato-Oncologic Diseases From 2013 to 2023: A Single Center Study

  • Sun Woo Park;Ji Young Park;Hyoung Soo Choi;Hyunju L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46-54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 혈액종양 환자들에게 발생한 균혈증 발생 숫자를 확인하고, 원인균 발생 빈도 및 분포와 이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면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에 필요한 치료 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기저혈액종양질환이 있으면서 혈류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10년의 연구 기간동안 총 74명의 환자에게서 98례의 혈류감염이 확인되었고, 이 중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7.1% (n=56), 38.8% (n=38), 4.1% (n=4)이었다. 가장 흔한 그람 양성균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21, 21.4%) 와 Staphylococcus aureus (n=14, 14.3%) 였고, 가장 흔한 그람 음성균은 Klebsiella species (n=16, 16.3%) 와 Escherichia coli (n=10, 10.2%) 였다. 전체 사망한 환자들 중 균혈증 발생으로부터 30일 이내로 사망한 사례는 총 6건 (6.1%) 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혈액종양질환을 진단받은 소아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균혈증의 원인균 분포 및 각 원인균의 항생제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은 현재 사용하는 경험적 항생제 가이드라인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소아 혈액종양질환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균혈증에서 사용해야 할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는 각 기관별로 조사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핏불테리어 견에서 발생한 브로디씨 농양 (Brodie's Abscess in a Pit Bull Terrier Dog)

  • 최호정;이영원;왕지환;연성찬;이효종;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85
    • /
    • 2010
  • 3년령의 핏불테리어 견이 3주간의 좌측후지 파행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일반방사선검사상에서 경계명확한 골용해소견과 경계부위의 경화소견이 좌측 근위경골골간단의 내측면에서 관찰되었다. 수술적 소파술이 실시되었으며, Staphylococcus spp.가 수술중에 채취한 샘플의 배양결과 확인되었다. 이상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브로디씨 농양으로 진단하였다.

광주지역 동물병원에서 분리한 의원성 병원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osocomial Pathogens Isolated from Veterinary Hospitals in Gwangju)

  • 강미영;최재원;박서정;고홍범;이봉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55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of animal hospital floor, beauty table, computer keyboard, exam table, operation table and forcep handle by isolations of aerobic bacteria in small animal hospitals in Gwangju. The total number of aerobic bacteria was 52 isolates and Staphylococcus spp. (38 isolates) were the predominant isolates (69.71 %) of them. The prevalent contaminated areas were floor (17 isolates), beauty table (13 isolates) and computer keyboard (9 isolates). The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mecA) gene, determined by PCR, showed that 3 of the 17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CNS) isolates possessed the mecA gene. For evaluating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s of the isolates, disk diffusion method was used. The majority of isolates showed high susceptibility to amoxicillin (92.1 %), ceftiofur (84.2%) and polymixin B (73.7%). Also they showed the high resistant to ampicilline (66.7%), penicillin (65%) and kanamycin (56.5%). These results suggest extensive contamination of aerobic bacteria in animal hospital environment.

중심정맥 도관 관련 감염의 역학 고찰 (Epidemiology of central venous 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 김정현;은호선;최경민;김동수;용동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57-161
    • /
    • 2006
  • 목 적 : 15세 이하 소아의 중심정맥 도관 관련 감염의 임상적 검토를 통해 원인균을 밝히고 삽입위치, 유치기간, 기저 질환 등에 따른 감염 발생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연세의료원에 입원하여 중심정맥 도관을 삽입술을 시행 받은 15세 이하 11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139례의 배양검사가 시행되었으며, 45례(34.2%)에서 중심정맥 도관 감염이 발생했고(Table 1), 53가지 균주가 동정되었다. 발생 균주는 그람 양성인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18례(33.9%)로 가장 많았고 Enterococcus faecium 5례(9.3%), Staphylococcus aureus 4례(7.5%), Enterococcus faecalis 2례(3.8%) 순으로 발생했고, 그람 음성은 Acinetobacter anitratus 3례(5.7%), Pseudomonas aeruginosa 3례(5.7%), Klebsiella pneumonia 2례(3.8%) 순이었으며, 이외 Yeast 4례(7.5%), Candida albicans 3례(5.7%), Acinetobacter species, ${\alpha}$-streptococcus, Candida species, Citrobacter freundii, Diphtheroid 각 1례(1.9%)의 빈도를 보였다. 삽입 부위는 우측 대퇴 정맥이 72례로 가장 많았고, 우측 경정맥 21례, 좌측 대퇴 정맥 20례였다. 중심정맥 도관 삽입 유치기간은 평균 $14.17{\pm}12.00$일이었으며,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군은 $13.19{\pm}9.10$일, 감염이 발생한 군은 $15.98{\pm}15.98$일로 두 그룹 사이에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0.06). 중심정맥 도관 삽입 환자 중 9명이 사망하였는데 4명에서 중심정맥 도관 감염이 있었으나, 중심정맥 도관 감염과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P>0.05). 결 론 : 중심정맥 도관 관련 감염에서 삽입위치, 유치기간에 따른 감염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흔하게 분리된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는 피부 상재균으로 임상적인 의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중심정맥 도관 관련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적절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2)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in General Restaurants 2nd)

  • 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3-27
    • /
    • 2022
  •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표시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와 세균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5 종류의 일회용 물티슈는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가 표기되어 있지 않았다. 제조연월일과 유통기한은 12 종류의 물티슈만 표시 되어있었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9종류의 물티슈에서 세균 집락이 배양되었으며, 23종류(71.9%)의 물티슈에서는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세균을 동정한 결과 그람양성알균은 Staphylococcus haemolyticus 4균주, Staphylococcus hominis 1균주, Staphylococcus warneri 3균주, 그람음성막대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1균주로 동정되었다. 동정된 그람양성알균 8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한 결과 oxacillin, vancomycin 감수성으로 MRCNS(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동정된 그람음성막대균 1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 결과는 imipenem, meropenem에 모두 감수성으로 다약제내성균은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생용품으로 지정된 일회용 물티슈 개별 포장지 겉면에 반드시 제조년월일과 유통기한을 표기하고, 보관기준을 준수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티슈를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촬영 테이블과 IP Cassette의 세균 오염도 측정 및 소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ion Level of Bacteria and Disinfection of Table and IP Cassette)

  • 배석환;이무식;임창선;김가중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29-237
    • /
    • 2008
  • 목적 : 검사실별 IP카세트와 테이블의 미생물 수와 세균학적 오염도를 알코올과 소독제가 포함된 티슈를 사용 전 후로 나누어 동정한 후 통계적으로 검정을 실시하여 영상의학과내 병원감염관리의 예방과 올바른 소독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의 1개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의 일반촬영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간은 2007년 4월 5일부터 4월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검사실별 IP카세트와 테이블의 미생물 수와 세균학적 오염도를 알코올과 소독제가 포함된 소독용 티슈를 사용 전, 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수집을 위하여 병원내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와 함께 시료를 채취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13.0을 사용하였으며, 전 후 비교를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24개의 대상 중 19개(79.2%)에서 세균이 검출 되었으며 5개(20.8%)에서는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분리된 세균의 종류는 7종의 세균이 검출 되었는데 그 중 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MRCNS)가 15(62.5%)곳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가 6(16.7%)곳으로 많았으며, Enterococcus Faecium(EFM)이 5(20.8%), Acinetobacter baumannii(ABA) 2(8.3%), Bacillus sp,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NS), Enterococcus sp(ENT)가 각각 1(4.2%)곳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ABA를 제외한 모든 것이 그람양성구균(Gram positive bacilli)이 30(97%) 례에서 검출 되었으며, 1(3%)례에서만 그람음성균(Gram positive bacilli)이 검출되었다. Group별 70% Alchol 사용 전 후 균의 종류 및 군락 수에서는 70% Alchol로 소독을 한 후 세균을 동정한 결과 70% Alchol 소독군에서는 IP Cassette와 Table 그룹 모두에서 100% 세균이 사멸되었다. Group별 Tissue Cleaner 사용 전 후 균의 종류 및 군락 수에서는 Tissue Cleaner 그룹에서의 균의 사멸률은 10그룹(71.2%)에서만 세균이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4 그룹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여전히 세균이 검출되었다. 전체 균의 사멸률은 91.5%로 나타났는데 다른 균들은 모두 사멸된 반면 MRCNS 균은 사멸률이 가장 낮았(83.6%)으며, 다음으로 MRSA(95%)가 낮았다. 결론 : 70% Alchol과 Tissue Cleaner의 사용전 후 검출되는 세균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두에서 유의수준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