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tridium sp.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CO 내성을 갖는 Clostridium sp. AWRP 돌연변이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합성가스로부터의 에탄올 생산 연구 (Enhanced Alcohol Production from Synthesis Gas Using a CO-resistant Mutant of Clostridium sp. AWRP)

  • 권수재;이종민;이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81-584
    • /
    • 2019
  • In this study, the carbon monoxide (CO)-fermenting acetogen, Clostridium sp. AWRP was subjected to chemical mutagenesis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TG) to generate a CO-resistant mutant. Among the 26 colonies obtained, the highest alcohol production was observed in one isolate, named C1.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the C1 strain exhibited 1.5- and 3.4-fold higher CO consumption rate and alcohol selectivity, respectively. The total CO consumption of strain C1 could be further enhanc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metal ions, such as nickel and iron. The highest ethanol titer (5.7 g/l) was achieved by 5-fold increase in the iron concentration.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화학원료인 C4-C6 생산 (Production of C4-C6 for Bioenergy and Biomaterials)

  • 김병천;이성철;상병인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447-452
    • /
    • 2011
  • 석유자원의 고갈이 에너지 및 화학원료물질로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화학원료인 C4-C6 생산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주요한 C4 물질인 n-butanol과 n-butyric acid를 다량 생산하는 미생물은 Clostridium tyrobutyricum, Clostridium beijerinckii, Clostridium acetobutylicum이다. 대표적인 C6 물질인 n-hexanoic acid는 Clostridium kluyveri와 Megasphaera elsdenii가 다량 생산한다. 미생물 발효에 의해 보고된 n-butanol, n-butyric acid, n-hexanoic acid의 최대 생산량은 각각 21, 55, 19 g/L이었다. 배양과정에서 이들 생산물의 제거는 최종산물억제의 감소로 미생물에 의한 n-butanol, n-butyric acid, n-hexanoic acid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C6 물질인 n-hexanoic acid는 n-hexanol로 될 수 있는 고 부가가치 물질로 생물학적 생산 연구가 꾸준히 진행 중인데, 신규한 미생물인 Clostridium sp. BS1은 galactitol을 이용하여 5 g/L의 n-hexanoic acid를 생산하였다.

한우의 반추위로부터 섬유소 분해균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cellulolytic bacteria in the rumen of Korean native cattle)

  • 김태일;백순용;주이석;윤용덕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91-95
    • /
    • 1998
  • 한우의 반추위액에서 섬유소를 분해하는 균주 GPC-1, GPC-2, GNR-1, GNR-2, GNR-3를 선별하였다. 분리주 GPC-1과 GPC-2는 Gram 양성구균이며 편성혐기균으로서 Ruminococcus속으로 분류되었다. 분리주 GNR-1, GNR-2 및 GNR-3는 Gram 음성 간균이며 혐기균으로서 내생포자형성 유무에 따라 포자 형성균인 GNR-3는 Clostridium속으로 분류하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은 균은 $H_2S$ 생성유무에 따라 Bacteroides 속과 Butyrivibrio 속으로 분류되었다. 종수준의 동정을 위하여 당분해능과 생화학적 조사를 통하여 GPC-1는 Ruminococcus albus로, GPC-2는 Ruminococcus flavefaciens로, GNR-1는 Bacteroides succinogenes로, GNR-2는 Butyrivibrio fibrisolvens로, GNR-3는 Clostridium cellobioparum로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Clostridium sp. KH-431의 동정 및 항생물질의 정제 (Identification of the Antibiotic-Producing Chstridium sp. KH-431 and Purification of the Antibiotics)

  • 홍수형;김미정;박용복;이재근;하지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1993
  • 순수분리된 2,000여 주의 혐기성 세균으로부터 선발된 stain KH-431은 bacteria 및 fungi에 대하여 재현성있는 항균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생산하였다. Strain KH-431은 그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Clostridium fallax의 근연종으로 동정되었다. strain KH-431의 항생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에 대해 고찰한 결과 PY배지를 기초배지로 사용하고 sorbitol, yeast extract, d-biotin 그리고 $CaCl_2$를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초기 pH 및 배양온도 배양시간에 대한 최적조건은 각각 pH7과 $30^{\circ}C$, 108시간으로 나타났다.20$\ell$ 의 배양액으로부터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얻은 sample을 재결정한 결과 KG-431B는 순수한 결정상태로 얻어졌으나 KG-431A의 완전정제에는 많은 문제점이 뒤따른 바 현재 다른 정제방법의 도입을 고려중에 있다.

  • PDF

음식물쓰레기의 혐기성 소화 시 질소농도에 따른 수소생산 및 미생물 군집변화 (Variations of Hydrogen Production and Microbial Community with Different Nitrogen Concentration During Food Waste Fermentation)

  • 이풀잎;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672-678
    • /
    • 2014
  • 본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 내 질소농도에 따른 발효과정에서 수소생성 특성과 미생물의 군집변화를 살펴보았다. 음식물 쓰레기 내 질소의 함량이 200 mg/L일 때 가장 높은 수소생산 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수소생산율은 83.43 mL/g dry wt biomass/hr이였다. 질소의 함량이 600 mg/L 이상이 되면 수소생산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소생산량과 B/A ratio (Butric acid/Acetic acid)의 비례적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16S rDNA의 PCR-DGGE결과 대부분 군집은 Clostridium sp. 미생물로 규명되었으며 수소생성에 기여도가 큰 미생물은 Enterococcus faecium partial, Klebsiella pneumoniae strain ND6, Enterobacter sp. NCCP-231, 그리고 Clostridium algidicarnis strain E107 등으로 판명되었다.

포도당을 주입한 수중퇴적물을 이용한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미생물군집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quatic Sediment Microbial Fuel Cells Injected with Glucose)

  • 김민;;김수현;장재수;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54-26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포도당을 자연의 저질기반 미생물연료전지에 주입할 경우 전기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 때 관련된 미생물의 군집을 분석하고 관련미생물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1,000 mg/L의 포도당이 주입되었을 때 생성되는 전류가 약 3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주로 발효세균과 전기생성세균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는 발효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이 전기생성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므로 유기산의 축적을 방지하여 되먹임저해(feedback inhibition) 현상을 감소 시키는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더 높은 농도의 포도당이 주입되었을 시에는 전류가 떨어지거나 큰 증가가 일어나지 않았다. 만약 적절한 농도의 포도당이 주입될 시, 전기생성 미생물과 발효미생물이 동시에 포도당을 분해하면서 피드백을 제거하며 전류생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포도당을 토양에 주입하였을 시에 Clostridium sp.과 같은 발효미생물이 많이 나타났다. 포도당의 발효는 전기생성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즉 발효산물이 전기생성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어서 사용된다면 전기생성이 증가한다. 하지만, 발효산물이 전기생성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지 못한다면 여러 전기생성을 억제하는 화학적반응(pH 저하, 메탄생성, 유기산 축적 등)이 일어나고 미생물연료전지와 관계없는 미생물들이 주입된 유기물을 대부분 분해하여 전기생성이 저하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적절한 농도의 포도당 주입을 통한 발효세균(Clostridium sp. 등)과 전기발생균(Geobacter sp. 등)의 적절한 조합은 자연상태에서의 혼합미생물존재 환경에서의 전기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음식물쓰레기의 혐기성 소화 시 중금속에 따른 수소생산량의 변화 (Variations of Hydrogen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Heavy Metals During Anaerobic Fermentation of Food Waste)

  • 이풀잎;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7-1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혐기성 발효를 통한 수소생산에서 중금속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식물 쓰레기의 혐기성발효에 따른 수소생산량은 79.48 mL/g COD이였다. 1 mg/L의 아연이 함유되었을 때 약 60%의 수소생산량의 저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리가 아연보다 수소생산을 심각하게 저해하였다. 구리가 독립적으로 있을 때 수소생산량이 심각하게 저해되는 것에 반하여 아연과 공존함으로서 구리의 저해작용이 완화되어 수소생산량이 회복되었다. 수소생성과정 동안 butyric acid 또는 acetic acid가 주종으로 관찰되었으며 중금속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는 Klebsiella sp., Clostridium sp., 그리고 Dysgonomonas sp.과 같은 군집이 출현하였으나 아연이나 구리가 함유되었을 경우 Enterococcus 종이 시료의 수소생산 활동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당폐수를 이용한 수소생산과 미생물의 군집해석 (Biohydrogen Production from Sugar Manufacturing Wastewater and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 이희수;이태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3호
    • /
    • pp.41-51
    • /
    • 2012
  • 생물학적 혐기발효를 이용하여 제당폐수로부터 바이오 수소가스의 생산 수율을 알아보고, 이 반응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군집양상을 살펴보았다. 제당폐수 내 영양염류($N{\cdot}P$)의 공급함에 따라 수소발생량이 9.53 에서 $26.67m{\ell}$ $H_2/g$ COD로 증가하였다. 혐기발효과정에서 butyric acid, acetic acid, lacticacid, 그리고 propionic acid이 검출되었다. Butyric acid/acetic acid(B/A)비는 제당폐수에 영양염류가 공급됨에 따라 0.50에서 0.92로 증가 하였으며, B/A비가 높을수록 수소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제당폐수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군집은 Firmicutes문에는 Clostridium 속으로 나타났으며 $\gamma$-Proteobacteria 강에는 Klebsiella 속, Erwinia 속, 그리고 Eenterobacter 속이 검출되었다. 또한 수소 생성이 활성화 되면서 Erwinia 속은 위축되고 Klebsiella 속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섯 폐상퇴비의 이화학성과 미생물 조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organisms on the Waste Composts of Mushroom)

  • 주길재;우철주;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49-54
    • /
    • 2002
  • 본 연구는 팽이버섯의 병재배용 폐배지를 이용하여 폐상퇴비를 제조하고 퇴비의 이화학성 및 미생물을 분석한 내용이다. 폐상퇴비의 유기물 함량은 43.29%, 유기물함량/질소비는 27.00, 전질소함량은 1.60%, 수분함량은 46.48%, 염농도는 0,64%, $P_2O_5$는 1.32%, $K_2O$ 1.18%로 나타났다. 퇴비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는 $1.6{\times}10^{10}$(cfu/g)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대부분이 Bacillus sp.으로 나타났고 주로 B. lentimobus, B. coagulans, B. brevis, Clostridium thermocellum, Escherichia coli 등이 존재하였고, 방선균류는 주로 Streptomyces thermovulgaris, S. thermofuscus 등 Streptomyce sp.가 주종이며, Micropolyspora faeni도 존재하였다. 곰팡이류는 Aspergillus sp. 나 Penicillum sp.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