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s 9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35초

토양 pH가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il pH on Crude Compon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이승필;김상국;정상환;최부술;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9-244
    • /
    • 1998
  • 본 실험은 더덕의 향기성분 향상과 식물정유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토양환경가운데 pH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자생지에서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에 재배할 경우 밭더덕에서도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pH 4.5에서 만장은 247cm로 가장 짧았고 토양 pH 6.5는 299cm로 생육이 가장 촉진되었으며 뿌리의 무게는 토양 pH 5.5와 6.5에서는 각각 17.9g과 15.6g으로 무거웠다. 2. 조단백질은 토양pH가 알칼리 토양으로 진행될수록 함량이 감소되었고 조회분은 토양 pH와는 무관하게 회분함량이 최저 2.99%에서 최고 3.85%로 대한약전 생약규격에 명시된 더덕의 회분함량 허용치인 4.0%이하였다. 3. 식물정유함량은 토양 pH 5.5에서 0.007%로 토양 pH 7.5보다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4. 토양 pH에 따른 더덕 뿌리의 향기성분은 총 48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1-hpxanol, cis-3-hexanol 및 trans-2-hrxanol의 화합물이 큰 변화를 보였다. 5. trans-2-hexanol은 토양 pH 6.5에서 1.87 % area로 가장 높았다.

  • PDF

항산화물질을 생산하는 해양방선균 Streptomyces Sp. ACT-18의 동정 및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of Antioxidant Producing Marine Actinomycetes Streptomyces sp. ACT-18)

  • 김만철;김주상;;한용재;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4-31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 연안 해수로부터 분리된 항산화물질을 생산하는 해양 방선균의 천연해양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이다. 균주 ACT-18은 16S rDNA 염기서열,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 및 세포 지방산분석을 통하여 동정되었다. 분리균주 ACT-18은 Gram 양성, 호기성, 비운동성 포자, 배지상에서 substrate mycelia의 색이 어두운 초록색, aerial mycelia는 노란색의 회색을 나타내였다. 세포사이즈는 약 $0.5{\sim}1.0\;{\mu}m$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Gram 양성박테리아인 Streptomyces 종들과 그룹을 형성하였다. 지방산분석결과 주요 지방산은 $C_{15:0}$ anteiso(39.33%), $C_{16:1}$ cis 9(11.96%), $C_{16:0}$ (13.08%)과 $C_{17:0}$ anteiso(10.99%)로 분석되었다. Streptomyce sp. ACT-18의 배양액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에 의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alkyl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배양액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0.1 mg/mL의 농도에서 46%의 라디컬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Hydroxyl 라디컬 소거활성은 0.1 mg/mL에서 63%, alkyl 라디컬 소거활성은 0.1 mg/mL에서 39%의 소거 활성을 보였다.

질소, 산소, 인 주개 리간드를 갖는 몰리브덴 (Ⅲ) 및 (Ⅳ) 착물의 합성과 특성 (제 3 보)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lybdenum(Ⅲ) and (Ⅳ) Complexes with N, P, O-Donating Ligands(Ⅲ))

  • 김은기;유은영;박유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1-107
    • /
    • 1994
  • $MoCl_4(MeCN)_2$과 N, P, O주개 리간드를 반응시켜 새로운 몰리브덴(Ⅲ) 및 (Ⅳ)착물을 합성하였으며 원소분석과 적외선 및 전자 흡수스펙트럼 등을 이용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리간드는 3,5-Lutidine, 1,2-phenylenediamine, 8-hydroxyquinoline, 9,10-phenanthrenequinone, triphenylphosphine 과 1,2-bis(diphenylphosphino)ethane이다. 합성된 몰리브덴(Ⅳ) 착물의 Mo-Cl 신축진동은 몰리브덴(Ⅲ)착물보다 증가한 영역에서 나타나므로, M-Cl 신축진동의 위치는 금속의 산화수에 비례한다는 사실과 잘 일치한다. 한자리 리간드의 착물에서는 Mo-Cl신축진동에 의해 강한 한 개의 흡수띠가 나타나는 반면, 두자리 리간드의 착물에서는 강한 네 개의 흡수띠가 나타나므로 이들 각각 trans($D_{4h}$)및 cis($C_{2v}$) 대칭임을 알 수 있다. 몰리브덴(Ⅲ)착물에서 acetonitrile의 C≡N 신축진동은 자유 리간드(2260 $cm^{-1}$)보다 약 30 $cm^{-1}$ 증가한 위치에서 나타나므로 이들 착물은 acetonitrile이 배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광학적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MoCl_4(L)_2]$,[Mo$Cl_4$(L^L)], $[MoCl_3(L)_2MeCN]$ 및 [Mo$Cl_3$(L^L)MeCN]과 같은 팔면체 구조의 착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환 복분해 중합을 통한 가교형 폴리이미드 박막의 잔류응력 거동 및 특성 분석 (Residual Stress Behavior and Characterization of Polyimide Crosslinked Networks via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 남기호;서종철;장원봉;한학수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52-7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미세 전자 소자용 절연박막 및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사용이 기대되는 폴리이미드(PI)에 개환 복분해 중합(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이 가능한 환형 말단 캡핑제(end-capping agent)인 cis-1,2,3,6-tetrahydrophthalic anhydride(CDBA)로 사슬 말단에 가교 반응이 된 가교형 폴리이미드를 합성하였다. 말단 캡핑제의 조성비에 따른 가교형 폴리이미드 박막의 잔류응력 거동은 thin film stress analyzer(TFSA)를 이용한 wafer bending mothod로 온도에 따라 연속적인 거동을 in-situ로 측정하였다. 열특성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 열기계 분석기(TMA) 및 열 중량 분석기(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광학 특성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와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네트워크 구조의 모폴로지(morphology) 변화를 통해 해석하였다. 말단 캡핑제의 조성비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응력은 27.9에서 -1.3 MPa로 초저응력 및 향상된 열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광학 특성은 감소됨을 보였다. 가교형 폴리이미드 박막의 우수한 특성 발현은 고집적도 다층 구조의 안정성 및 신뢰도가 요구되는 분야의 응용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방선균 Streptomyces sp. ACT-1의 동정 및 항산화 활성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rine Actinomycetes Streptomyces sp. ACT-1)

  • 김만철;김주상;김윤범;;한용재;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7-403
    • /
    • 2009
  • 이 연구는 해양 유래의 천연 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로서 항산화물질 생산 해양 방선균은 제주연안 해수에서 분리되었다.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및 세포 지방산 분석을 기초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 ACT-1은 그람양성, 호기성, 비운동성, 기질균사체색이 red, 기중균사체 색이 gray계열 이었다. 세포지방산 분석결과 주요 지방산으로 $C_{15:0}$ anteiso (39.33%), $C_{16:1}$ cis 9 (11.96%), $C_{16:0}$ (13.08%)와 $C_{17:0}$ anteiso (10.99%)로 분석되었으며, 최종적으로 Streptomyces sp. ACT-1으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ACT-1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hydroxyl, alkyl radical 소거활성을 ESR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SBME-1 (Streptomyces broth methanol extract)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7%,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00{\mu}g$/ml에서 84%,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71%를 보였다.

향신료 정유의 휘발성 성분 및 식중독 세균에 의해 형성된 biofilm 억제 효과 (Volatile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from Spices and It's Inhibitory Effects against Biofilm Formed by Food Poisoning Bacteria)

  • 김형은;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5-295
    • /
    • 2022
  •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cinnamon, clove 및 lemongrass 정유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유의 주요 항균활성 성분이 polyethylene과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Cinnamon 정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cinnamaldehyde (38.30%), linalool (9.61%), β-caryophyllene (8.90%) 및 1,3,4-eugenol (8.19%)로 동정되었다. Clove 정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1,3,4-eugenol (61.84%)로 분석되었다. Lemongrass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citral의 이성질체인 geranial (19.11%)과 neral (19.23%)로 검출되었으며, citral은 isomeric acyclic monoterpene aldehydes로서 geranial (trans-citral, 19.11%)과 neral (cis-citral, 19.23%)의 혼합물로 분석되었다. Cinnamon, clove 및 lemongrass의 주요 성분 중 cinnamaldehyde, linalool, eugenol 및 citral이 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시험한 6종의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Eugenol (0.1%)과 citral은 polyethylene 및 stainless steel coupon 표면에서 식중독 세균에 의해 형성된 biofilm에 대하여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났다. Cinnamaldehyde (0.1%)는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2와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812에 의해 형성된 biofilm에 대해 장한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cinnamaldehyde, eugenol 및 citral 처리에 의해 식중독 세균에 의한 biofilm 형성을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 광물에 의한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환원적분해 (Reductive degradation of Chlorinated compounds by using Iron Minerals)

  • 김성국;박상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2호
    • /
    • pp.11-19
    • /
    • 2004
  • 염소계 및 니트로계 유기 화합물은 발암물질 또는 돌연 변이성 유발물질로 인체에 매우 유독한 물질로 알려 져있다. 특히 사염화탄소,헥사클로로에탄 또는 니트로계 방향족 화합물은 자연계에서 분해되는 반감기는 수십 년이 걸린다. 이 연구에서는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환원적 분해반응으로 무독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e$^{0}$ , FeS와 FeS$_2$를 반응 매개물로 이용해서 $CCl_4$, $C_2$Cl$_{6}$, $C_2$HCl$_{5}$ , $C_2$Cl$_{4}$$C_2$HCl$_3$의 환원적 분해반응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Cl_4$ 는 FeS을 반응 매개물로 혐기성 조건에서 CHCl$_3$와 CH$_2$Cl$_2$로 환원적 분해반응을 하였다. $CCl_4$에서 CHCl$_3$으로 환원반응은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 CHCl$_3$에서 CH$_2$Cl$_2$로 분해되는 반응속도는 매우 느리게 일어났다. $C_2$Cl$_{6}$$CCl_4$와 달리 복잡한 반응 경로로 환원적 분해 반응을 하였으며, 수소첨가 반응, 탈염소제거반응과 탈수소탈염소화반응으로 $C_2$HCl$_{5}$ , $C_2$Cl$_4$, $C_2$HCl$_3$와 cis-1,2-C$_2$H$_2$Cl$_2$의 환원 생성물로 분해되었다. 반응 초기에 소량의 $C_2$HCl$_{5}$ 생성물이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C_2$HCl$_4$으로 환원반응 하였다. 특히 $C_2$HCl$_3$에서 환원반응 생성물로 cis-1,2C$_2$HCl$_2$만이 생성물로 나타났고, trans-1,2-C$_2$H$_2$Cl$_2$ 또는 1,1-C$_2$H$_2$Cl$_2$은 생성물로 나타나지 않았다.

Tea Consumption,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ssociations with Breast Cancer Risk among Chinese Femal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Gao, Ying;Huang, Yu-Bei;Liu, Xue-Ou;Chen, Chuan;Dai, Hong-Ji;Song, Feng-Ju;Wang, Jing;Chen, Ke-Xin;Wang, Yao-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543-7550
    • /
    • 2013
  • Objective: To evaluate associations between tea consumption,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nd breast cancer risk among Chinese females. Methods: Three English databases (PubMed, ScienceDirect and Wiley) and three Chinese databases (CNKI, WanFang and VIP) were independently searched by 2 reviewers up to December 2012, complemented by manual searches.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assessed with the Newcastle-Ottawa Scale items. Random-effects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the poole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Potential publication bias was estimated through Egger's and Begg's tests.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was evaluated with $I^2$ statistics. Results: Thirty-nine studies involving 13,204 breast cancer cases and 87,248 controls were identified. Compared with non-drinkers, regular tea drinkers had decreased risk (OR=0.79, 95%CIs: 0.65-0.95; $I^2$=84.9%; N=16). An inverse association was also found between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breast cancer risk (OR=0.73, 95%CIs: 0.63-0.85; $I^2$=77.3%; N=1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lcohol drinking and breast cancer risk (OR=0.85, 95%CIs: 0.72-1.02; $I^2$=63.8%; N=26). Most of the results from the subgroup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main results. Conclusion: Tea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in Chinese females. However, alcohol drinking may not be associated with any elevation of risk.

국한성 소세포 폐암에서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 적응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Limited Disease Small-Cell Lung Cancer)

  • 김문경;안용찬;박근칠;임도훈;허승재;김대용;신경환;이규찬;권오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9-15
    • /
    • 1999
  • 목적 :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에 대하여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국소 반응율, 급성 부작용의 빈도, 단기 임상 추적 관찰 결과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0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VIP 요법(etoposide, ifosfamide, cis-platin) 또는 EP 요법(etoposide, cis-platin)의 복합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동시 병합요법을 시행받은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3주 간격으로 모두 6회의 시행을 목표로 하였고, 흉부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사용하여 일일선량 2Gy씩 44Gy를 4.5주간에 첫번째 화학요법과 동시에 시행하고자 하였다. 관해율은 예정된 치료가 모두 종료된지 4주만에 판정하였으며, 완전 관해를 얻었던 경우에는 10회에 걸쳐 25Gy의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예정하였다. 급성 부작용의 빈도와 정도는 SWOG 부작용 판정 등급체계를 적용하였으며, 단기 추적 관찰 결과로서 1년 및 2년 생존율, 무병 생존율 등은 Kaplan-Meter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 대한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16개월이었다(범위 2개월$\~$41개월). 완전 관해는 30명(65$\%$)에서 있었으며, 이 중 22명에서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동시 병합요법의 3도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감소증 23명(50$\%$), 적혈구감소증 17명(37$\%$), 혈소판감소증 9명(20$\%$)이었고, 비혈액학적 부작용은 탈모 9명(20$\%$), 오심 및 구토 5명(11$\%$), 그리고 말초신경염 1명(2$\%$)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한명에서, 화학요법제의 용량 감소는 전체 246회의 화학요법 중 58회에서 있었다. 3도 이상의 방사선 식도염은 없었으나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흉부 방사선치료의 일시 중단은 21명에서 평균 8.3일간 필요하였다. 국소 재발은 완전 관해 환자에서 8명, 국소 진행은 부분관해 및 불변 환자에서 6명이 확인되었고, 원격 전이는 17명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중 4명에서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함께 확인되었다. 원격 전이의 주요 장기로는 뇌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이 4명으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전체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3개월이었으며, 1년, 2년 생존율 및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79%$\%$ 45$\%$ 및 55$\%$, 32$\%$였다. 결론 : 국한성 소세포 폐암환자에서 항암 화학 및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관해율 및 1년, 2년 생존율을 얻었으며, 대체적인 환자들의 치료 방침에 대한 순응도는 양호한 편으로 판단된다.

  • PDF

건강검진이 의뢰된 여성의 연령에 따른 Osteocalcin의 참고범위 설정 (Establishment of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according to Age in Women for Health Promotion Center)

  • 강지순;유병주;오정은;김건재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104-111
    • /
    • 2009
  • 목적 : Bone Gla protein (BGP)라고도 불리는 Osteocalcin은 조골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비 콜라겐성 뼈 단백질이다. 혈청 Osteocalcin은 골 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Osteocalcin수치의 참고치는 연령에 따라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참고치가 있으나 검사실 자체적으로 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연령별 Osteocalcin 참고치를 재설정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7년 8월부터 2008년 9월 사이에 본원 건강검진 센터를 방문하였던 20~80세의 정상 성인 여자 8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 Osteocalcin은 면역방사계측법(IRMA)을 이용한 Kit (OSTEO-RIACT, CIS Bio international, Gif-sur-Yvette, France)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Hoffmann 방법을 시행하여 얻은 Osteocalcin 참고치는 다음과 같다. 20~30세에서는 8.8~39.4 ng/mL에서 6.3~28.8 ng/mL로 31~40세에서는 7.7~31.9 ng/mL에서 5.9~17.4 ng/mL로 41~50세에서는 8.0~36.0 ng/mL에서 5.5~20.1 ng/mL로 51~60세에서는 8.0~50.5 ng/mL에서 6.7~27.0 ng/mL로 61~80세에서는 12.9~55.9 ng/mL에서 7.5~27.5 ng/mL로 변경되었다. Osteocalcin 참고치는 제조회사 권장 참고치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대사성 골질환의 지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Osteocalcin의 참고치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서 임상적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 번 정한 참고치는 계속 사용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재평가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