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biosynthesi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3초

Pravastatin 정제 연구를 위한 첨가제와의 적합성 연구 (Compatibility Study of Excipients for Pravastatin Tablet)

  • 김강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2-477
    • /
    • 2018
  • Pravastatin은 3-hydroxy-3-methylglutaryl CoA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이며,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어 심혈 관계 위험성 및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이번 연구는 부형제, 안정화제, 붕해제, 활택제, 착색제로 사용되는 첨가제들 및 pravastatin과의 적합성 연구를 위해 진행되었다. 모든 첨가제들과의 혼합은 PTP 포장으로 포장되어 가속시험장치($40^{\circ}C/75%$ Relative Humidity)에서 3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가시적인 시험결과로는 백색의 가루 또는 밝은 갈색으로 변화는 없었다. 모든 첨가제들과 pravastatin 혼합 시 pravastatin 함량 및 순도에 있어 아주 적은 수준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그 중 pravastatin의 lactone 함량의 변화가 조금 있는 첨가제로는 microcrystalline cellulose 및 croscamellose sodium이었다. 초기의 pravastatin의 lactone 함량과 비교 시 약 0.22% 및 0.18%로 증가하였고 모든 첨가제들과의 전체 혼합 시도 3개월에서 lactone 함량이 0.43%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들은 복용편리성을 위한 pravastatin 정제 크기 감소 연구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Role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15 in Ovarian Function and Their Importance in Mammalian Female Fertility - A Review

  • Castro, Fernanda Cavallari de;Cruz, Maria Helena Coelho;Leal, Claudia Lima Verd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065-1074
    • /
    • 2016
  • Growth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early ovarian development and folliculogenesis, since they regulate the migration of germ cells to the gonadal ridge. They also act on follicle recruitment, proliferation/atresia of granulosa cells and theca, steroidogenesis, oocyte maturation, ovulation and luteinization. Among the growth factors, the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 15 (BMP15), belong to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uperfamily, have been implicated as essential for follicular development. The GDF9 and BMP15 participate in the evolution of the primordial follicle to primary follicl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ater stages of follicular development and maturation, increasing the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expression, plasminogen activator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LHR). These factors are also involved in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oocyte and surrounding cumulus cells, where they regulate absorption of amino acids, glycolysis and biosynthesis of cholesterol cumulus cells. Even though the mode of action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in vitro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factors GDF9 and BMP15 stimulate the growth of ovarian follicles and proliferation of cumulus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mitosis in cells and granulosa and theca expression of genes linked to follicular maturation. Thus, seeking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action of these growth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oocytes, the role of GDF9 and BMP15 in ovarian function is summarized in this brief review.

Reduction of Body Weight by Capsaicin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Stimulation of Uncoupling Protein 2 mRNA Expression in Diet-induced Obese Rats

  • Ann, Ji-Young;Lee, Mak-Soon;Joo, Hyun-Jin;Kim, Chong-Tai;Kim, Yang-H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210-216
    • /
    • 2011
  • Capsaicin is a pungent component of red pepper, which is widely consumed as food adjunc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capsaicin in diet-induced obese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n=14) were fed with a high-fat diet (Control) or high-fat diet containing 0.016% capsaicin (w/w) (Capsaicin) for 8 weeks. The final body weight and the mass of white adipose tissu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psaicin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Dietary capsaicin ameliorated lipid profiles with decrease i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and decrease in the levels of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s in the liver. Activity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n indicator of triglyceride biosynthesis in white adipose tissue, decreased by 35%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capsaicin. However, consumption of capsaicin increased the expression of uncoupling protein 2 (UCP2) in white adipose tissue, which is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Our data suggests that capsaicin may reduce body weight and fat accumulation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These effects may be mediated, at least partially, by the upregulation of UCP2 gene expression and its ability to inhibit GPDH activity.

인삼사포닌 분획이 동물체(쥐)내에서의 에탄을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Ethanol Metabolism in Rat Liver)

  • 곽한식;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76-86
    • /
    • 1988
  • 쥐에게 물대신 12% 에탄올(대조군) 또는 인삼사포닌 분획을 포함한 12% 에탄올(시험군)을 6일간 투여한 후 간과 혈청에서의 acetaldehyde 농도와 간의 [$NAD^+$]/ [NADH] 및 [$NADP^+$]/[NADPH] 비율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의 간과 혈청의 acetaldehyde 농도는 물로 사육한 정상군에 비해 훨씬 높았으나 물대신 인삼사포닌을 포함한 에탄올을 투여한 시험군의 경우는 정상군에 비해 약간 높았을 뿐이었으며 [$NAD^+$]/ [NADH] 비의 감소율도 대조군보다는 시험군이 훨씬 작았다. l-$^{l4}C$]-ethanol을 함유한 10% ethanol을 1ml 복강으로 투여하고 30분 후의 간의 지방질의 방사능을 분석한 결과 시험군의 간 지방질의 전체 방사능은 대조군보다 훨씬 낮았고 인산지방질,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질의 분석결과는 에탄올 투여로 인한 인산지방질 생합성 저하와 지방산 및 중성지방의 생합성 증가현상이 인삼사포닌의 투여로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Apolipoprotein H: a novel regulator of fat accumulation in duck myoblasts

  • Ziyi, Pan;Guoqing, Du;Guoyu, Li;Dongsheng, Wu;Xingyong, Chen;Zhaoyu, Ge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6호
    • /
    • pp.1199-1214
    • /
    • 2022
  • Apolipoprotein H (APOH) primarily engages in fat metabolism and inflammatory disease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OH on fat synthesis in duck myoblasts (CS2s) by APOH overexpression and knockdown. CS2s overexpressing APOH showed enhanced triglyceride (TG) and cholesterol (CHOL) contents and elevat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AKT serine/threonine kinase 1 (AKT1), ELOVL fatty acid elongase 6 (ELOVL6), and acetyl-CoA carboxylase 1 (ACC1) while reducing the expression of protein kinase AMP-activated catalytic subunit alpha 1 (AMPK),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 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1 (ACSL1), and lipoprotein lipase (LPL). The results showed that knockdown of APOH in CS2s reduced the content of TG and CHOL, reduced the expression of ACC1, ELOVL6, and AKT1, and increased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PPARG, LPL, ACSL1, and AMPK. Our results showed that APOH affected lipid deposition in myoblasts by inhibiting fatty acid beta-oxidation and promoting fatty acid biosynthesi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AKT/AMPK pathway. This study provides the necessary basic information for the role of APOH in fat accumulation in duck myoblasts for the first time and enables researchers to study the genes related to fat deposition in meat ducks in a new direction.

난황 경구투여가 랫드의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Egg Yolk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방한태;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5-264
    • /
    • 2014
  • 본 연구는 계란 난황을 경구투여 한 랫드에서 혈액 지질감소에 관한 생화학적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6마리의 Sprague Dawley 숫컷 랫드를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동일한 정제고형식이를 급여하면서 매일 한번 씩 난황을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C; 생리식염수 1.0 g), T1(삼겹살 기름 1.0 g), T2(난황 1.0 g), T3(삼겹살 기름 1.0g 과 난황 1.0 g을 각각 1주일씩 교체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일일평균 증체량은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C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T1이 가장 높았고 C, T3, T2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HDL-C는 T2가 가장 높았고 C, T3, T1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LDL-C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T2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 AST, ALT는 T1에서 가장 높았고 T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복강지방을 제외한 간, 비장, 신장의 무게는 각 처리구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복강지방은 T1이 가장 높았으나 C, T2, T3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 T2는 가장 낮았다. 분을 통하여 배설되는 일일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산성스테롤의 배설량은 T2가 가장 높았으나 T1은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계란의 섭취가 동물의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분을 통한 스테롤의 배설을 촉진시켜줌으로써 혈액 지질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부터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Flavonoid Compounds with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ies)

  • 손건호;이주연;이정순;강삼식;손호용;권정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7-256
    • /
    • 2018
  • 심혈관계 질환은 질환별 사망률 순위에 있어서 세계에서는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2위인 질병이다.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주 위험 요인인 콜레스테롤은 HMG-CoA reductase에 의해 간에서 신생합성이 조절된다. 현재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statin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광범위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발굴하고자 98종의 플라보노이드 및 그와 관련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10{\mu}g/ml$ 농도에서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sophoraflavanone G, morin, 및 kuraridin이 각각 54.6%, 45.04% 및 21.9%의 저해활성을 타내었으며, $IC_{50}$값을 계산한 결과, sophoraflavanone G가 $7.3{\mu}g/ml$로 가장 낮았으며 morin과 kuraridin은 각각 $13.3{\mu}g/ml$$87.4{\mu}g/ml$으로 확인되어, 향후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 및 치료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NA Polymorphisms in SREBF1 and FASN Genes Affect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Cattle (Hanwoo)

  • Bhuiyan, M.S.A.;Yu, S.L.;Jeon, J.T.;Yoon, D.;Cho, Y.M.;Park, E.W.;Kim, N.K.;Kim, K.S.;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6호
    • /
    • pp.765-773
    • /
    • 2009
  •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factor 1 (SREBF1) and fatty acid synthase (FASN) ge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synthesis of fatty acids and cholesterol, and in lipid metabolism. This study used polymorphisms in the intron 5 of bovine SREBF1 and in the thioesterase (TE) domain of FASN genes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s with beef fatty acid composition. A previously identified 84-bp indel (L: insertion/long type and S: deletion/short type) of the SREBF1 gene in Korean cattle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concentration of stearic (C18:0), linoleic (C18:2)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The stearic acid concentration was 6.30% lower in the SS than the LL genotype (p<0.05), but the linoleic and PUFA contents were 11.06% and 12.20% higher in SS compared to LL (p<0.05).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fiv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g.17924G>A, g.18043C>T, g.18440G>A, g.18529G>A and g.18663C>T in the TE domain of the FASN gene were identified among the different cattle breeds studied. Among these, only g.17924 G>A and g.18663C>T SNPs were segregating in the Hanwoo population. The g.17924G>A SNP is a non-synonymous mutation (thr2264ala)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of palmitic (C16:0) and oleic acid (C18:1). The oleic acid concentration was 3.18% and 2.79% higher in Hanwoo with the GG genotype than the AA and AG genotypes, respectively (p<0.05), whereas the GG genotype had 3.8% and 4.01% lower palmitic acid than in those cattle with genotype AA and AG, respectively (p<0.05). Tissue expression data showed that SREBFI and FASN genes were expressed in a variety of tissues though they were expressed preferentially in different muscle tissues. In conclusion, the 84-bp indel of SREBF1 and g.17924G>A SNP of the FASN gene can be used as DNA markers to select Hanwoo breeding stock for fatty acid composition.

대두를 이용한 Lovastatin 대량생산용 Seed Culture의 제조기술 (Development of Seed Culture Using Soybean for Mass Production of Lovastatin with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Mutant)

  • 김수정;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6-670
    • /
    • 2008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산용 seed culture의 대량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배양체의 선발, 분석 및 최적 배양용기를 검토한 결과 대두를 이용하여 petri dish(${\phi}150{\times}20mm$)에 배양하였을 때 lovastatin의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포자의 발아 촉진을 위하여 대두에 Asp. terreus를 접종한 다음 열처리를 달리하여, 각 전배양체를 미강에 본배양하였다. 본배양액을 추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lovastatin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3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전배양체가 본배양 12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성을 보이며, in vitro assay 결과, 대두를 $3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본배양하였을 경우에 HMG-CoA reductase가 82%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포자현탁액 접종법보다 대두를 이용한 방법이 더욱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배양시간의 단축성을 보여 산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키토산 처리가 콩나물의 Soyasaponin 함량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Treatment on Changes of Soyasaponin Contents in Soybean Sprouts)

  • 오봉윤;박복희;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84-588
    • /
    • 2007
  •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조사포닌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생장기간 별로 키토산을 처리했을 때, 생장 $5{\sim}6$일째 조사포닌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000, 1,000, 500 ppm 그리고 250 ppm 농도로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 순서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7일째에는 감소하였다.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한 콩나물에서 그룹 B 사포닌의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soyasaponin I 은 250 ppm 처리구 콩나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더 높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는 키토산의 농도에 따라서 함량이 감소하였다. Soyasaponin II의 함량은 대조구 콩나물보다 키토산 처리구 콩나물이 키토산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여 1,000 ppm을 처리했을 때 최고값을 보이다가 더 높은 농도인 2,000ppm을 처리했을 때에는 감소하였다. 하지만 콩나물 재배중 키토산 처리는 soyasaponin V의 함량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ovasaponin III과 IV의 함량은 soyasaponin II와 비슷하게 키토산을 1,000 ppm 처리할 때까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2,000 ppm 키토산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