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검색결과 7,283건 처리시간 0.032초

Low consumption of fruits and dairy foods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from outpatient clinics in and near Seoul

  • Song, SuJin;Kim, Eun-Kyung;Hong, Soyoung;Shin, Sangah;Song, YoonJu;Baik, Hyun Wook;Joung, Hyojee;Paik, Hee 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5호
    • /
    • pp.554-562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and food consumption by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SUBJECTS/METHODS: Study subject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ere recruited from four outpatient clinics in and nea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12. A total of 668 subjects (413 men and 255 women) aged ${\geq}30y$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analyses. For each subject, daily nutrient intake and food consumption were calculated using three days of dietary intake data obtained from a combination of 24-hour recalls and dietary records. To evaluate food consumption, mean number of servings consumed per day and percentages of recommended number of servings for six food groups were calculated.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using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criteria. The general linear model was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and food consumption by sex and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Nutrient intake did not differ by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both men and wome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had lower consumption and percentage of the recommendation for fruits compared with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1.6 vs. 1.1 servings/day, P-value = 0.001; 63.5 vs. 49.5%, P-value = 0.013).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showed lower consumption and percentage of the recommendation for dairy foods tha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0.8 vs. 0.5 servings/day, P-value = 0.001; 78.6 vs. 48.9%, P-value = 0.001). CONCLUSIONS: Low intakes of fruits and dairy food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Dietary advice on increasing consumption of these foods is needed to prevent and attenuat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전곡류 및 채소, 과일 섭취의 증가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 김소현;조상운;황성수;안미정;이덕희;강승완;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5호
    • /
    • pp.452-461
    • /
    • 2012
  •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etary factors in plant-based diets ar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specially, phytonutrients in fruits and vegetables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contributors for the decreased level of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witching the dietary habit to high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evaluated on the parameters of serum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high school students. Forty one stud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n = 18) or the intervention group (n = 23). The intervention group was provided for 8 weeks with the main food source being whole grain and vegetabl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arameters and dietary intak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study. After 8 weeks,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p = 0.000). The serum diacron reactive oxygen metabolites (d-ROMs)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 only in the intervention group (p < 0.05) after 8 weeks, but serum biological antioxidant potential (BA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 0.001). Intake of energy, tot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p < 0.05). Also, th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vitamin and phytonutrient intakes of all-trans-${\beta}$-carotene, ${\alpha}$-carotene, ${\alpha}$-tocophero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s (p < 0.05).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s supplementation showed improvement of the adolescent health.

실천지침 이행률에 따른 대사증후군 중재 효과 비교: 직장인 남성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health outcomes according to intervention compliance in male Korean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 남경희;강지연;이연주;성숙희;장윤균;이지영;박일근;최태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56-16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how achievement of session goals contributes to outcomes of subjects after participation in a 12-week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MetS). Thirty office workers with MetS, aged $47.2{\pm}6.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rch to July, 2011.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d face-to-face counseling five times during the 12-week period. Counselors and subjects designed session goals for each round. The average of the goal achievement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compliance for each rou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tertiles of achievement rate: Low-compliance group (LC, < 59%), medium-compliance group (MC, 59-70%), and high-compliance group (HC, > 70%). Anthropometry, biochem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 program. After the intervention,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group, and waist circumference (WC)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C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I group. Changes in SBP and DB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p < 0.01). Changes in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Results for intake of total energy, protein, fat, and sodium, as well as rates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articipants (p < 0.05). The change in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The change of fruit serving siz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C group (p < 0.01). The number of risk factors for Me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and HC group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In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is interven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risk factors for Me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habits, especially in the High-compliance group.

남성 건강검진 수진자들에서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Alcoholic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Metabolic Syndrome in Health Screen Examinees of Men)

  • 정의경;강영한;박재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37-246
    • /
    • 2009
  • 최근 성인 남성에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며, 심혈관질환을 야기하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증상이 없지만 지방간으로 진단되는 환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799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평소 음주량을 조사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지방간 유무를 확인 한 결과 297명은 정상군이었고, 206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296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었다. IDF(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과 구성요소들을 독립변수로, AFLD(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및 NAFLD(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상군과 AFLD 또는 NAFLD에서 대사증후군의 분포는 각각 7.4%, 48.8%, 34.9%이었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 비만은 AFLD 또는 NAFLD의 위험인자였고, AFLD에선 고중성지방과 복부비만이, NAFLD에서는 복부비만이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FLD군의 경우 대사증후군과 비만, 저HDL-콜레스테롤의 이상범위에서 지방간 중증의 교차비가 높았고, NAFLD군에서는 대사증후군과 고중성지방군의 이상범위에서 지방간 중증의 교차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AFLD 및 NAFLD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각각의 기준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고, 지방간 관리를 위해 꾸준하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비만 여성에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다이어트 식품의 체중 감소 효과 (The Effect of Antifat Diets with β-Cyclodextrin on the Weight Loss in Obese Korean Women)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32-838
    • /
    • 2004
  •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45일 동안$\beta$-cyclodextrin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식품(antifat diets)의 섭취시 체중,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신체둘레 및 혈액지질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ntifat diet섭취 전과 비교하였을 때 antifat diets 섭취 후 체중 3 kg 감소, 비만도 5% 감수 체질량지수 1 kg/$m^2$ 감소, 체지방율 7% 감소가 실제측정치로써 나타났으며, 이를 감소율로써 나타냈을 때 체중 4%, 비만도 13%, 체질량지수 4%, 체지방율 20%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Antifat diets섭취 전과 비교하였을 때 antifat diets 섭취 후 상위 팔둘레 3 cm 감소, 허리둘레 3 cm 감소, 엉덩이 둘레 3 cm 감소 및 허벅지 둘레 3 cm가 실제 측정치로서 감소하였고, 이를 감소율로써 나타냈을 때 상위팔둘레 8%, 허리둘레 3.4%, 엉덩이둘레 3% 및 허벅지둘레 5%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Antifat diets를 45일간 섭취하였을 경우 antifat diets 섭취 전에 비하여 중성지방 103 mg/dL감소, 총콜레스테롤 50 mg/dL 감소, LDL-C 50 mg/dL 감소가 실제 측정치로써 나타났으며, 이를 감소율로서 나타냈을 때 중성 지 방 40%, 총콜레스테롤 24%, LDL-C 37% 및 동맥경화지수 3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beta$-cyclodextrin이 비만방지 및 과체중 조절을 위한 새로운 다이어트 식음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성기 및 비육기에 급여한 감귤 부산물이 제주도 개량 흑돼지 고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Feeding Effect of Citrus Byproduct on the Quality of Cross-bred Black Pig in Jeju Island)

  • 양승주;고석민;양태익;정인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97-902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폐기되고 있는 밀감 부산물을 돼지에게 급여하여 페기물의 이용과 기능성 돈육의 생산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돼지는 밀감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등심육(TB-0) 및 육성기에 6% 급여한 후 비육기에 10% 급여한 등심육(TB-1)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영양성분 분석과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열량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TB-1(41.5 mg/100g)이 TB-0)48.9 mg/100 g)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무기질 중에서 Mg은 TB-0(192 ppm)가 TB-1(161 ppm)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비타민 $B_1$$B_2$는 시료들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TB-0 및 TB-1이 각각 19.51 및 18.65%이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469.44 및 479.45 mg/100 g으로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생육과 가열육의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밀감 부산물 급여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풍미는 TB-1이 TB-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및 만성질환에 대한 인식도 (Awareness of Processed Foods and Chronic Disease in 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Area)

  • 구희진;김성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6-84
    • /
    • 2015
  • 용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부 남녀 고등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전반적인 인식도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학생 83.0%, 여학생 91.8%가 가공식품의 과잉섭취가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유해한 가공식품의 종류는 34.1%가 라면이라고 대답하였다. 가장 두려운 만성질환으로 남학생은 암(25.5%)과 비만(25.5%)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여학생은 34.1%가 비만이라고 응답하여 고등학생들은 남녀 공통적으로 비만에 대한 두려움을 표시하였다. 유해한 식품첨가물의 종류에 대한 인식도는 합성방부제라는 응답이 58.1%로 가장 많았으며 합성조미료> 인공색소>인공감미료 순의 결과를 보였다. 안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식품첨가물 정보로는 유해성이 54.2%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영양지식에 대한 분석 결과 심혈관계 질환 유발과 관련된 주요 식품성분들(총 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등)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7.0%, 비만예방을 위한 식이섬유섭취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4.2%의 결과를 보인 반면, 나트륨 이온의 과잉섭취와 고혈압 유발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24.6%로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가공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더불어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만성질환의 발병 및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식품성분들에 대한 지식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에 대한 건전성 및 안전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영양성분의 교육을 통해 건강한 가공식품의 선택적 구매와 건전한 식습관 형성을 유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담즙정체성 간염의 임상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Cholestatic Hepatitis)

  • 최선택;은종렬;임상우;김봉준;이헌주;구미진;최준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51-58
    • /
    • 2001
  • 담즙정체성 간염의 원인과 임상양상, 검사실 소견 및 경과를 알아보고자 1991년에서 2000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혈액검사 및 간생검으로 담즙정체성 간염이 확진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담즙정체성 간염에서 비정상 간기능검사의 기간은 1개월에서 30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고, 항결핵제, 항생제에 의한 담즙정체성 간염이외에도 한약제, 건강식품에 의한 경우 검사실 소견과 임상경과가 중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들 약물을 사용한 병력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담즙정체성 간염이 만성 간내 담즙정체를 보이는 경우 바이러스에 의한 담즙정체성 간염과 담관소멸 증후군으로의 진행 유무,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자가면역성 간염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간기능 검사이상을 보일 경우에는 연속적인 간생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포도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젖소의 대사활성 증진 및 우유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etary Grape By-product on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Blood Metabolites of Dairy Cows)

  • 김상범;박중국;김태균;임동현;이현준;기광석;손준규;김현수;김삼철;권응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35-140
    • /
    • 2011
  • 본 시험은 포도부산물의 첨가가 젖소의 산유량, 유성분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유중기 젖소 8두(평균 월령: 89.8, 평균 유기: 164.4, 평균 산차: 2.8산)를 공시하였으며, 포도부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1일 1 kg을 첨가한 시험구로 두 처리구를 설정하여 3주간 급여하였다. 유지방, 유단백, 유당 및 총 고형물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유량은 포도부산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23.13 kg/d으로 대조구의 21.16 kg/d에 비해 높은 반면(p<0.05), 체세포 수는 대조구가 포도부산물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p < 0.05). 혈중 gluco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protein 및 blood urea nitrogen 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AST와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123.75 IU/L, 200.82 mg/dl)가 포도부산물 처리구(95.34 IU/L, 180.63 mg/dl)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포도부산물은 젖소를 위한 기능성 사료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reducing inclusion rate of roughages by changing roughage sources and concentrate types on intake, growth,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of Hanwoo growing cattle (Bos Taurus coreanae)

  • Jeon, Seoyoung;Jeong, Sinyong;Lee, Mingyung;Seo, Jakyeom;Kam, Dong Keun;Kim, Jeong Hoon;Park, Jaehwa;Seo, Seong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05-1714
    • /
    • 2019
  • Objective: Reducing roughage feeding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rumen health is of interest in ruminant nutr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oughage sources and concentrate types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fermentation, and blood metabolite levels in growing cattle. Methods: In this 24-week trial, 24 Hanwoo cattle ($224{\pm}24.7kg$) were fed similar nitrous and energy levels of total mixed ration formulated using two kinds of roughage (timothy hay and ryegrass straw) and two types of concentrate mixes (high starch [HS] and high fiber [HF]).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in a $2{\times}2$ factorial, consisting of 32% timothy-68% HS, 24% timothy-76% HF, 24% ryegrass-76% HS, and 17% ryegrass-83% HF. Daily feed intakes were measured. Every four weeks, blood were sampled, and body weight was measured before morning feeding. Every eight weeks, rumen fluid was collected using a stomach tube over five consecutive days. Results: The mean dry matter intake (7.33 kg) and average daily gain (1,033 g)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Howeve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roughage source and concentrate type were observed for the rumen and blood parameters (p<0.05).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was highest (p<0.05) in timothy-HF-fed calves. With ryegrass as the roughage source, decreasing the roughage inclusion rate increased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and decreased the acetate-to-propionate ratio; the opposite was observed with timothy as the roughage source. Similarly, the effects of concentrate types on plasma total protein, alanine transaminase, Ca, inorganic P,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differed with roughage source (p<0.05). Conclusion: Decreasing the dietary roughage inclusion rate by replacing forage neutral detergent fiber with that from non-roughage fiber source might be a feasible feeding practice in growing cattle. A combination of low-quality roughage with a high fiber concentrate might be economically bene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