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protein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1초

Growth regulation of cow1 rice mutant seedlings by blue light

  • Goh, Chang-Hyo;Ko, Suk-Min;Park, Hee-Yeon;Kim, Yeon-Ki;Kim, Yong-Woo;Kim, Young-Joo;Sun, Hyeon-Jin;Moon, Yong-Hwan;Lee, Hyo-Y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65-471
    • /
    • 2010
  • We assessed whether the cow1 mutant defects are associated with growth of Tos17 and T-DNA insertional rice in blue light (BL). Growth of oscow1 mutants which encoded a member of the YUCCA protein family was retarded in BL. Root to shoot ratios of the mutants were reduced about 2 times lower in the absence of NAA and about 2.5 times lower in the presence of NAA; the shoot growth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NAA additi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the mutants was however inhibited in high light. Pigment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ld-type (Chl a:b = 3.02) and mutants (3.84). Carotenoid contents of the mutants were also decreased considerably, implying the involvement of cow1 in pigment formation. These findings lead us to suggest that the growth retardation of oscow1 mutant plants by BL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photosynthetic activity in part.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Gerbera Cultivars to Heat Stress

  • Chen, Wen;Zhu, Xiaoyun;Han, Weiqing;Wu, Zheng;Lai, Qixia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14
    • /
    • 2016
  • Heat stress is an agricultural problem for Gerbera jamesonii, and it often causes poor seedling growth, reduced flower yield and undesirable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rbera plants. Here, the responses of six cultivars of Gerbera jamesonii to heat stress were investigated. Under a 1-d heat treatment at $45^{\circ}C$, the leaves of gerbera cultivars showed yellowing, wilting, drying and death to varying degrees. The heat treatment also resulted in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d soluble protein and chlorophyll contents, and the accumulation of malondialdehyde (MDA) and proline in leaves. Moreover, heat tolerance differed among the six tested gerbera cultivar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among the six gerbera cultivars, 'Meihongheixin' is a heat-resistant cultivar, whereas 'Beijixing' is a heat-sensitive one. 'Shijihong' and 'Linglong' are relatively heat-resistant cultivars, and 'Dadifen' and 'Taiyangfengbao' are relatively heat sensitive.

솔잎착즙액의 발효에 따른 기능성 효과 (The Functional Effects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 박가영;리홍선;황인덕;정현숙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376-383
    • /
    • 2006
  • 솔잎착즙액(PNE)은 엽록소 함유량(40.8 mg/100 g)이 높고 비타민 C도 다량함유(149 mg/100 g)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으며, 솔잎 발효액은 향미가 좋아지고 기능성이 높아져서 고부가가치가 크므로 발효의 조건과 활성도를 조사 분석하여 고기능성 솔잎발효액(SFPE)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솔잎자체발효(SFPE)에 관여하는 균을 발효단계에 따라 분리,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GPYA배지에서 발효균을 스크린하여 Pichia galeiformis, Candida boidinii, Pichia species, Candida species1, Candida species2, Candida ooidensis,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karawaiewii를 선발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2년차에는 Candida boidinii, Candida species2, Candida ooidensis,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선발되었고, 3년차에는 Candida species1&2가 선발되어 Candida species2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4년차에는 어떤 균도 선발되지 않았다. Candida species2는 Candida ernobii와 99.65%의 homology를 보였다. E. coli, Bacillus subtili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SFPE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높은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SFPE 1, 4, 7의 항산화 활성은 $0.025{\mu}{\ell}/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SFPE 1, 4, 7이 약 34.8%의 NBT scavenging의 활성을 보여주었고, $0.2{\mu}{\ell}/ml{\sim}0.3{\mu}{\ell}/ml$의 농도에서는 SFPE 1, 4, 7이 약 90%에 달하는 NBT scavenging 의 활성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생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솔잎발효액이 쥐의 혈관수축 이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Phenylephrine(PE)($10^6M$)으로 유발된 수축반응에 대해 SFPE를 0.15 mg/ml과 0.3 mg/ml을 첨가하였을 때 혈관이 다시 이완되었으며, ATP 민감성 $K^+$ 채널 억제제인 glibenclamide($10^5M$)을 처리하였을 때 SFPE 7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SFPE의 혈관 이완작용이 세포막 ATP-민감성 $K^+$ 통로를 활성화시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지상광학센서를 이용한 쌀 단백질함량 예측 (Estimation of Rice Grain Protein Contents Using Ground Optical Remote Sensors)

  • 김이현;홍석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51-5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광학 센서를 이용한 벼 생육단계 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의 관계를 구명하여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능동형 광학센서인 GreenSeeker(NTech Inc., USA) GNDVI(gr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rho}0.80{\mu}m-{\rho}0.55{\mu}m)/({\rho}0.80{\mu}m+{\rho}0.55{\mu}m)$)와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rho}0.80{\mu}m-{\rho}0.68{\mu}m)/({\rho}0.80{\mu}m+{\rho}0.68{\mu}m)$) 2종의 센서를 이용하여 벼 군락의 반사특성을 측정하고 동시에 식물체 샘플링을 통한 쌀 단백질함량을 분석하였다. 3년 동안(2005-2007년) 벼 출수 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의 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시기에 걸쳐 GNDVI가 NDVI보다 상관이 높았고. 벼 수확기가 가까울수록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벼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두 시기의 GNDVI값과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91, 0.81로 특히 이삭거름 주기 전에 측정한 GNDVI를 통하여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을 예측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수형성기 GNDVI를 이용한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 경험 모델식을 구하고 경험 모델식에서 얻어진 추정값과 실측값의 관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2005년과 2006년에서 구한 경험모델식의 쌀 단백질함량 추정값과 2007년도 쌀 단백질함량 실측값을 1:1 line에서 비교해본결과 결정계수가 높게 나타났다($R^2=0.96^{***}$).

고성만과 강진만에서 현탁물 섭식자에 유용한 입자물질 양과 질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eston as Diet Available to Suspension-Feeders in Gosung and Kangjin Bays of Korea)

  • 이필용;강창근;최우정;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0-347
    • /
    • 2001
  • 한반도 남해안의 고성만과 강진만에 대한 입자유기물질 양과 현탁물식자를 위한 먹이로서의 질의 월별변동을 밝히기 위하여 부유입자물질의 원소 및 생화학 조성에 대한 현장조사를 1999년7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실시하였다. 두 해역의 총 부유입자물질은 해역간에 유사한 농도 분포로 뚜렷한 월별 변동 양식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생물군의 잠재 먹이원인 입자유기물질 조성성분들은 두 해역 모두 여름철에 뚜렷이 높은 농도를 보이는 계절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입자유기물질의 원소나 생화학 조성 성분의 높은 농도가 나타나는 시기는 chlorophyll a와 잘 일치하여 식물플랑크톤 생산이 입자유기물질의 중요한 조절자라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chlorophyll a와 입자유기물질 조성성분(입자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질)들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들 생화학 성분들 간에도 높은 상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이 낮은 시기에 연구 해역들의 입자유기물질에 대한 또 다른 과정들에 의한 기여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는데, 가을에서 봄철사이에 높은 C:Chl a, C:N 비 및 입자 탄수화물의 높은 농도 등은 입자유기물질의 생화학성분 농도가 표층 퇴적물 재부유나 양식생물의 배설과 같은 과정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조사해역에서 입자유기물질 중 생화학 성분들의 합으로 나타낸 먹이물질은 그것들의 에너지 값과 함께 가을부터 봄철사이에는 다소 높은 농도가 관찰되었지만, 가장 높은 농도는 여름철에 나타났다. 총 부 유입자물질 중 먹이물질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표시한 먹이지수는 대체로 $6\%$를 넘지 않는 수준으로 입자유기물질의 영양상태에 있어서 다소 낮은 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식물플랑크톤 변동과 함께 입자유기물질의 먹이물질과 먹이지수 변동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현탁물 섭식자 생물군의 성장과 비만 및 생리생태를 이해하기 위한 자연의 먹이환경으로서 입자유기물질 농도나 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 PDF

김의 가공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1. 산지별 등급별 품질평가 및 저장중의 변화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Quality Evaluation of Different Grades of Dried Lavers and Its Changes during Storage)

  • 이강호;송승호;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8-418
    • /
    • 1987
  • 마른김의 산지별 특급과 일반성분, 색소, 아미노산조성, 지방산조성 등 성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수분활성을 달리한 저장조건하에서의 김의 품질요인이 되는 색소,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및 ascorbic acid등의 면화를 실험하여 품질의 안정성을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른김의 품질은 산지별, 등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등급이 높을수록 단백질 및 chlorophyll a, carotenoid, biliprotein 등 색소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조성의 경우 고도불포화산의 함량이 높았고 그 중 $20_{20:5}$산이 $50\%$에 달하였고, $C_{20:5}$산이 $50\%$에 달하였고 $C_{20:5}$산과 $C_{16:0}$산의 함량이 전지질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산지별 지방산조성에는 큰 차가 없었고, 등급이 높을수록 $C_{20:5}$산의 함량비가 높았다.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각 시료간에 큰 차가 없었고 구성아미노산중에서는 Asp, Glu, Ala 등의 함량이 높았다. 2. 마른김의 저장중 성분의 변화에 있어서는 chlorophyll a, carotenoid, biliprotein, ascorbic acid는 저수분활성 즉 $\alpha_w0.1\~0.3$에서 변화가 적었으며 그 중 biliprotein이 가장 안정하였고 carotenoid의 변화가 심했다. ascorbic acid의 경우 고수분활성에서 저장할수록 저장초기부터 급격히 변화되었으며, 갈변도 저수분활성에서 제어되었다. 저장중 지방산조직성분의 변화는 $\alpha_w0.2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alpha_w0.1에서는 오히려 산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에는 대조시료에서 Glu, Pro, Ala 등이 전체의 $62.4\%$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감미성분인 Pro, Gly, Ala이 전체의 $47.4\%$ 차지하였다. 저장중에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살펴보면 $\alpha_w0.2에서 저장한 경우 100일후 Ser, Ala, Val, Lys 등이 $80\%$ 이상으로 잔존한 반면 Glu는 불과 $25\%$만이 잔존하였다. $\alpha_w0.6저장에서는 Ala만이 $80\%$ 이상으로 잔존하였고 Met이 가장 변화가 커 $13.8\%$의 잔존율에 불가하였다.

  • PDF

Gibe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대맥종자(大麥種子) 및 초엽(?葉)에서 핵산합성(核酸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s on The Synthesis of Ribonucleic Acid in Seeds and Coleoptiles of Barley)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2호
    • /
    • pp.84-102
    • /
    • 1978
  • 대맥(大麥)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 $10{\mu}M$ GA를 처리(處理)하여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배지(培地)에서 ABA의 농도(濃度)가 각각(各各) $0.1{\mu}M,\;5{\mu}M$$10{\mu}M$이 되도록 ABA 용액(溶液)을 첨가하여 ${\alpha}-amylase$ 생성(生成)의 소장(消長)을 그리고 $10{\mu}M$ GA와 $10{\mu}M$ ABA 혼합액(混合液) 처리(處理)하여 10시간(時間) 배양(培養) 후(後) 핵산(核酸)의 거동을 $10{\mu}M$ GA처리구(處理區)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였다. 대맥(大麥) 초엽(?葉)에 $10{\mu}M$ GA와 $10{\mu}M$ ABA를 처리(處理)하여 초엽의 생육(生育), chlorophyll, RNase의 활성(活性), 단백질(蛋白質) 및 총(繼) RNA 함량(含量)의 소장(消長)을 처리구(處理區)의 그들과 비교(比較)하였고 이들 hormone 처리(處理) 20시간(時間) 배양후(培養後) 핵산(核酸)의 거동 및 polysome과 menosome의 상대적(相對的)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몇 가지 결론(結論)을 얻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 처리(處理)에 의(依)한 총(總)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은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alpha}-amylase$의 분비(分泌)는 배양(培養) 18시간(時間)부터 활발(活潑)하였다. 2) $0.1{\mu}M$ ABA 첨가는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저해(沮害)시켰으나 $5{\mu}M$$10{\mu}M$ ABA 첨가는 다같이 첨가 4시간(時間) 후(後)에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으며, 배양과정중(培養過程中) $5{\mu}M$ ABA 첨가는 G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다. 3) ABA는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alpha}-amylase$의 분비(分泌)에 별(別)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4)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GA 단독(單獨) 처리구(處理區)와 GA-ABA 처리구간(處理區間)에 핵산(核酸)의 분획(分劃)에서 별(別) 이(異)가 없었다. 5) 초엽에서 GA의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ABA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감소(減少)시킴과 동시(同時)에 s-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켰는권(權) 이는 이들 hormone이 RNase의 활성(活性)에 상이(相異)한 영향(影響)을 준 것으로 보였다. 6) 초엽에서 ABA 처리(處理)는 RNA-DNA 획분(劃分)의 성분비(成分比)를 감소(減少)시켰다. 7)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RNase의 활성(活性)을 감소(減少)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의 활성(活性)을 증대(增大)시켰다. 8)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총(總) RNA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를 현저히 감소(減少)시켰다. 9) 초엽에 있어서 GA 처리(處理)는 초엽의 생장(生長) 및 chlorophyll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0)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단백질(蛋白質) 및 polysome의 형성(形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1) ABA 처리(處理)는 polysome의 형성(形成)이 저해(沮害)되는 까닭은 ABA가 r-RNA의 합성(合成)을 저해(沮害)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EMS (Ethyl Methane Sulphonate) 처리에 의한 Chlorella Vulgaris 변이주 생성 및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Chlorella Vulgaris Mutants Generated by EMS (Ethyl Methane Sulphonate))

  • 김옥주;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265-269
    • /
    • 2015
  • Chlorella vulgaris는 녹조류로 직경 $2{\sim}10{\mu}m$의 구형 단세포식물로 단백질,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클로렐라 성장촉진인자(CGF)와 같은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영양학적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간 기능 개선 및 면역 기능강화와 같은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C. vulgaris에 화학적 돌연변이원인 EMS (ethyl methane sulphonate) 처리에 따른 세포 성장, 색소 및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변이주를 확보하였다. C. vulgaris에 EMS를 처리하여 얻어진 변이주를 E14, E24로 명명하였다. 세포 성장의 경우 mutant의 성장 패턴이 Wild Type (WT) 균주의 성장 패턴과 비슷하였다. E14, E24의 클로로필 함량은 각각 99, 52% 증가하였고,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E14는 7% 증가, E24의 경우 5% 감소하였다. 지질 함량의 경우 WT에 비해 E24의 경우 23% 증가하였고, E14는 12% 감소하였다. 이 결과, EMS에 의해 유도된 C. vulgaris 돌연변이주는 세포 성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지질 함량을 많이 축적하여 고부가가치 소재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농 야채의 무기물 및 비타민 함량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 김형열;이근보;임흥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24-429
    • /
    • 2004
  • 강원도 홍천 유기농 재배단지 내에서 재배한 5종의 유기농 야채 즉, 케일, 신선초, 셀러리, 상추 및 파와 가락동 시장에서 구입한 일반재배 야채를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함량, 무기물, 비타민 및 chlorophyll 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유기농 야채 판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전체적으로 유기농 야채의 조단백, 조지방 함량이 일반야채 보다 높아 이는 야채의 외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대적으로 녹색색상과 함께 반짝이는 윤기가 강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현상의 하나로 일반재배 야채에 비하여유기농 야채는 약간 건조된 듯한 외관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연약한 것 같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나트륨, 칼륨, 칼슘, 인 및 철의 5종 무기물과 함께 일부 비타민 성분을 을 측정해 본 결과 개별 성분은 물론 무기물 및 비타민 총량에서도 유기농 야채에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일반재배 야채 보다 높았으며, 무기물의 경우 케일은 유기농 재배품은 811.8 mg/100g으로 일반 재배품의 688.1mg/100g에 비하여 약 17.98$\%$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신선초, 셀러리에서는 각각 447.9, 486.5 mg/100g 및 399.7, 405.3 mg/100g로 측정되어 12.06, 8.62$\%$ 높게 측정되었고, 상추, 파는 각각 368.6, 320.9 mg/100g 및 320.9, 333.1 mg/100g로 14.86, 19.93$\%$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녹색 채소에서 주요 색소성분인chlorophyll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국 Chlorella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lorella in Korea)

  • 이주식;심종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8-44
    • /
    • 1963
  •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n pure-isolation and the related contaminants of Chlorella, the phenomena of the ecological distributions of Chlorella in Korea have been manifested in several areas and also the aim that in going to do culture, biological and physiological study of Chlorella is carried out. Contaminants very oftenly occupied on the colony of the strains taken in order to fulfil pure-isolation of Chlorella, but in accordance with being piled up the minute research on this subject, I can obtain the desirable results as follows: 1. For the pure-isolation, the duration chose the time from May to September 1957 so that may easily isolate from contaminant water with utilizing the antibiotic substances. 2. To take long time, 36-48 hours until growth of nascent through the non-sporulated, it originates from the difference of the cultured media.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 the mechanism of growth until nascent through the sporulated must not always require the ligh. However the supply of metabolic energy depend upon its nutritional conditions per phase. 3. The culture of Chlorella should be based on the lower culturing except adding especial conditions such as reagent concentration of media, artifical shake of media and other facts due to the natural conditions. And also these strains grew not only in distilled water but 2% NaCl solution without any abnormality in cell it self. I, therefore, guess it is possible to culture in sea-water under phasic environment. 4. In the experiment of ammonia detection, it is caused by the sampling surroundings to contain the minute quantity of ammonia in strain No. M 918; that is the place to be plenty of Carbohydrate on behalf of protein. 5. To compare the absorption curve of chlorophyll of higher plant with that of Chlorella, the absorption zone made mostly the Same ones each other but a little absorption grade dose not clearly appear. The colony which formed giant type grows with intensive colour and green band on surrounding of the colony and after that it was changed into all the green colour and developed up to end. 6. At first phase for a week, the development of Chlorella suspends the normal condition as in vivo but after a few days, the colour of chlorophyll gradually changed into blue-yellow which secrete the mucous substances on the agar media. The cell was flew out the contained substances itself on leaving the cell wall only, or the various micro-organism diffused on the outer-region of the c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