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protein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8초

노쇠중인 밀잎에서 Benzyladenine에 의한 막단백질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Membrane Proteins by Benzyladenine during Wheat Leaf Senescence)

  • 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17-123
    • /
    • 1992
  • 암배양을 통한 노쇠중인 밀 제1엽에서 지질의 과산화반응과 불용성 잎단백질의조성 및 엽록체 틸라코이드 막단백질 조성의 변화에 대한 BA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성숙한 밀 제1엽을 잘라내어 4일간의 암배양을 통한 노쇠유도실험에서 $10^{-5}\;M$ Benzyladenine(BA)은 노쇠중인 밀잎에서 엽록소 함량 및 수용성과 불용성 단백질 함량의 감소를 크게 억제시켰다. 특히, 단배질 함량 감소에 대한 BA의 억제효과는 수용성 보다는 불용성 단백질에 있어서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BA로 처리된 잎에서 지질의 과산화물인 MDA 함량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불용성 단백질에 대한 SDS-전기영동 결과 양적으로 현저한 57, 26 및 12 KD 단백질이 다른 소량의 단백질 무리와 함께 분리되었다. 대조구 잎에서의 불용성단백질 조성의 변화는 72시간의 암배양동안 57 KD와 12 KD 단백질이 현저하게 분해 소실되었으나 26 KD 단백질은 비교적 분해가 덜 일어났으며 BA 처리시 이들 단백질의 소실이 크게 억제되었다. 엽록체 틸라코이드막 단백질 조성의 경우, 각각 CF의 $\alpha,\;\beta$ subunits인 59 KD 단백질과 57 KD 단백질 및 LHCP 단백질인 26 KD 단백질을 포함하는 20개 정도의 단백질이 SDS-전기영동상에서 분리되었다. 72시간의 암배양 동안 대조구 엽록체에서 이들 단백질들이 급속히 분해 소실되었으나 BA로 처리된 엽록체의 경우 이들 단백질의 분해가 정량적으로 크게 억제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BA가 노쇠중인 밀잎에서 막지질의 과산화반응 억제를 통해 막단백질의 손실을 지연시키며 그로 인하여 엽록체 틸라코이드막을 포함한 세포막이 유지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질소시비에 따른 맥주맥 품종간의 수량 및 품종반응에 관한 연구 (Yield and Malt Quality Responses of Two Malt Barley Cultivars to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 하기용;구자옥;김용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58
    • /
    • 1980
  • 본 시험은 맥주맥 품종들의 수량과 맥아품질에 영향하는 질소 시비반응차를 구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979년부터 1980년에 걸쳐 광주시 소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 포장에서 실시한 두 맥주맥 품종(Golden Melon과 향맥)의 질소시비(3, 6, 9, 12 및 15kg ai/10a)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질소 시비로 인한 생육촉진 효과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주효과는 분벽수 증가와 건물중 증가를 용하여 성립되는 경향이었다. 2. 출수현상은 품종 특성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는 경향이었고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빠른 조생성을 보였다. 3. 유효경비율은 품종 특성으로서 질소 반응이 둔하였고 성숙일수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길어서 만숙성을 보였으며 양품종 공히 질소 증시로 지연되있다. 4. 대부분의 수량 구성요소들은 그 변이가 품종특성으로 결정되며, 질소 증시의 효과는 혜당입수를 통하여 표현되었다(향맥은 단위면적부 수수 증가도 안정되었다). 5. 수량성은 품종 특성상으로도 향맥이 Golden Melon보다도 높고 시비 질소의 수량화 효율도 향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양조 특성의 변이는 주로 질소시비량 차이에 기인되었으며 단백질은 정상관으로, 그리고 탄수화물과 $\beta$-Amylase활성은 역상관의 방향으로 변이하였다.

  • PDF

자란만 패류양식어장의 기초생산력 및 환경인자 변동 특성 (Spatio-Tempor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rimary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hellfish Mariculture in Jaran Bay, Korea)

  • 이대인;최용현;홍석진;김형철;이원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21-734
    • /
    • 2022
  • 본 논문은 남해안 자란만 패류양식어장에서 약 2년 동안 월별로 기초생산력, Chl. a, 영양염류, 입자유기물질과 퇴적물의 유기오염 정도 및 생화학 조성 등 주요 양식생물의 서식환경인자의 변동특성과 상관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른 연안 어장과 기초생산력을 비교하고 어장환경관리와 관련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월별 평균 기초생산력은 6.43~115.43 mgC m-2 hr-1 범위로 여름과 가을에 높았는데, 가막만과 마산만 보다는 낮았고, 가로림만과 서해보다는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양식장이 많이 분포한 내만은 그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Chl. a를 구성하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점유율이 시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고, 영양염의 고갈로 인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제한은 거의 없었으나, 대부분 시기에 N/P비가 16 이하로 질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층 입자유기물질의 생화학적 조성은 탄수화물이 가장 높았으나, 반면 표층 퇴적물에서는 지질과 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퇴적물의 TOC와 AVS 농도는 만 안쪽에서 높았고 일부 시기에는 어장환경기준을 초과한 상태였으며, C:N 비는 평균 8.1~10.4 범위로 나타났다. 기초생산력은 Chl. a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 입자물질성분 중에서는 탄소보다는 질소 및 단백질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최근 5년 동안의 수층에서의 Chl. a, DIN, DIP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반대로 퇴적물의 오염도는 증가하는 추세였다. 자란만의 연간 기초생산력 125.9 gC m-2 yr-1, 굴 양식장 면적 4.97 km2를 고려하면 연간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생산되는 탄소량이 약 625 ton이며, 연간 굴 생산 습중량은 약 6,250 ton으로 추정되었다.

활성탄을 이용한 불순물제거에 의한 효과적인 인삼 조직 단백질체 분석 방법 개선 연구 (Development of a Simple and Reproducible Method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Ginseng Protein Samples Prior to Proteomics Analysis)

  • 굽타 라비;김소운;민철우;성기호;아그라왈 가네시 쿠마르;락왈 랜딥;조익현;방경환;김영창;김기홍;김선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26-832
    • /
    • 2015
  • 본 연구는 인삼의 잎과 뿌리 단백질 추출물에서 활성탄을 이용하여 염, 계면활성제, 색소를 제거하여 단백질체 분석 연구에 미치는 잠재적인 효과에 대한 평가를 기술하고 있다. 5%(w/v) 활성탄(100-400 mesh)과 함께 단백질 추출물을 30분간 4℃에서 반응시켜 염과 계면활성제를 제거한 후 SDS-PAGE를 분석하여 단백질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엽록소 함량의 분석은 활성탄 처리 후 엽록소의 상당한 양(~33%)이 제거되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 분석은염, 계면활성제 제거만이 아닌 색소의 제거에서도 활성탄의 잠재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활성탄을 처리한 단백질 시료를 이용하여 이차원 전기영동과 PCA 통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단백질은 gel에서 더 나은 해상도를 보여주었으며 단백질 시료의 정제에서도 활성탄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이 결과들은 활성탄을 이용한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식물 조직의 단백질 추출물에서 염, 계면활성제, 색소를 제거함으로써 고해상도의 단백질체 분석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도에 따른 담배와 인삼엽의 광합성 능력의 차이 (Differences of Photosynthetic Ability of Tobacco and Ginseng Leaves in Accordance with Light Intensity)

  • 황종규;현동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1-219
    • /
    • 1989
  • 담배와 인삼은 광강도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CO_2$ 흡수량과 RuBPCase 활성은 담배의 경우 1900 $\mu$ E m$^{-2}$ sec$^{-1}$에서 높았고 인삼은 500 $\mu$ E m$^{-2}$ sec$^{-1}$에서 높았다. 담배와 인삼의 $CO_2$ 흡수량과 RuBPCase 활성의 차이는 담배가 3.7배, 2.7배 각각 높았다. $CO_2$ 흡수량과 RuBPCase 활성과의 상관은 담배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인삼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는 경향이었다. Glycolate oxidase 와 Malate dehydrogenase 활성은 담배의 경우 1,900 $\mu$ E m$^{-2}$ sec$^{-1}$에서 높았고, 인삼은 1000 $\mu$ E m$^{-2}$ sec$^{-1}$에서 높았다. 담배의 Nitrate reductase 활성은 광조건이 1900 $\mu$ E m$^{-2}$ sec$^{-1}$가 500 $\mu$ E m$^{-2}$ sec$^{-1}$보다 2배 높았으나 인삼은 광처리구 모두 Nitrate reductase 활성을 검출할 수 없었다. 단백질함량과 엽록소함량은 담배가 인삼보다 적정 광구에서 2.2배, 1.5배 각각 높았다. 엽록소 a/b의 비율은 담배의 경우 500 $\mu$ E m$^{-2}$ sec$^{-1}$에서 낮았고 인삼은 1000 $\mu$ E m$^{-2}$ sec$^{-1}$에서 낮았다. 단백질함량과 엽록소함량과의 관계는 담배에서 고도의 정상관이었고 인삼은 500 $\mu$ E m$^{-2}$ sec$^{-1}$에서 처리 후 5일에 부상관이 인정되었다. 단백질조성은 담배와 인삼이 상이하였지만 주 band의 분자량은 담배와 인삼 모두 50KD과 15KD으로 비슷하였다. 이들은 처리 후 시기가 지나면 희미해졌으며 담배는 500 $\mu$ E m$^{-2}$ sec$^{-1}$에서 인삼은 1000 $\mu$ E m$^{-2}$ sec$^{-1}$에서 47KD이었다.

  • PDF

나노기포 수소수에서 배양한 Arthrospira platensis 특성 확인 (Characteriz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Cultured in Nano-bubble Hydrogen Water)

  • 서지혜;최수정;이상훈;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21-426
    • /
    • 2015
  • 미세조류 Arthrospira platensis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불포화 지방산 등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건강보조식품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phycocyanin, myxoxanthophyll, zeaxanthin 등의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서 항산화물질, 식품 첨가물로도 이용되고 있다. 나노기포 수소수는 수소 기체를 나노기포 상태로 물속에 주입하여 포화용해도 이상으로 용해시킨 것이다. 이런 나노기포 수소수는 항산화능이 높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rthrospira platensis를 일반 증류수 배지와 수소수로 제조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특성을 확인하였다. 배양 결과, 세포 성장 및 광합성으로 인한 색소인 chlorophyll과 carotenoid의 함량은 수소수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15%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phycocyanin 역시 7% 정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지질함량은 수소수 배지 배양과 일반 배지 배양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물질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flavonoid 및 polyphen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lavonoid는 수소수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70% 이상 증가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polyphenol은 대조군과 유사한 함량을 보이고 있다.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에 따른 수창포(Acorous calamus L.) 분말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wder from Hot Air and Freeze Dried Leaves and Roots of Acorous calamus L.)

  • 범희주;강대진;이병두;손진한;임지순;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51-1457
    • /
    • 2007
  • 수창포의 부위별 건조조건을 달리한 분말의 일반성분, 당 및 클로로필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각 부위별 수분의 함량은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았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가장 낮았다. 회분함량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같거나 높아졌으며 동결 건조한 시료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은 각 부위별 건조방법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색도 중 잎의 품질특성에 중요한 $a^*$값은 잎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a^*$값이 낮아 품질 면에서 우수하였다. 클로로필 함량 역시 잎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함량이 높았다. 환원당함량은 뿌리에 높았으며, 특히 $40^{\circ}C$ 열풍 건조한 시료가 가장 높았으며, 총당 함량은 건조조건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잎상부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창포의 잎에서 상당히 높은 함량은 보였으며, 건조조건에 따라서 유의성 검정 결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잎이 뿌리보다 상당히 높은 함량은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뿌리와 잎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잎상부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시료의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동결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hlorophyll-removed ethanol extract of Lycium barbarum leaves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이한솔;배은영;김경아;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23-139
    • /
    • 2023
  • 구기엽 추출물 (LLE)과 클로로필을 제거한 구기엽 추출물 (LLE(Ch-))이 MCD diet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한 C57BL/6 mouse와 팔미트산으로 지방 축적을 유도한 HepG2 세포에서 지방축적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군 대비 LLE(Ch-)는 혈장 TG 농도와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LLE군에서는 혈장 ALT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군 모두 간조직의 TG와 cholesterol 함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며 간조직의 병리학적 변화 결과에서 LLE군에 비해 LLE(Ch-)군에서 지방축적의 억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팔미트산 0.5 mM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LLE와 LLE(Ch-)가 1,000 ㎍/mL 농도까지 독성이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00 ㎍/mL과 500 ㎍/mL 농도부터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pAMPK와 pACC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AS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구기엽 100% 에탄올 추출물들은 간조직의 지방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의 활성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소재 모두 항 지방간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케일의 생육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Hydroponically Grown Kale in Plant Factory)

  • 이광재;허정욱;정충렬;김현환;조정수;이준구;이경자;남상영;홍의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7-82
    • /
    • 2016
  • 본 연구는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수경재배 케일의 생육, 수량 및 글루코시놀레이트(GL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인공광원으로 LED B:W(1:1, BW), R:B:W(2:1:3, RBW), BW+형광등(1:1+FL, BW+FL) 등 3처리를 하였다. 수확 엽수와 엽중은 BW+FL이 BW와 RBW보다 우수하였다. 엽장은 BW+FL에서, 엽폭은 RBW가 우수하여 다른 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과 'L' 값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a' 값과 'b' 값은 BW+FL에서 가장 낮았다. GLS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glucobrassicin, glucoiberin, gluconasturtiin, sinigrin, progoitrin, glucoraphamin, epiprogoitrin 순으로 많았으며, 총 GLS 함량은 RBW에서 가장 높았다. 잎의 수분 함량,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광은 생육과 2차 대사산물의 합성에 차이가 나타내며, 기능성 향상을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배추 (Brassica campestris L.) 제 1엽의 생장조절에 대한 Nitric Oxide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on the Growth Regulation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Primary Leaves)

  • 함정훈;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293-300
    • /
    • 2005
  • 배추 유식물 제 1엽의 생장에 미치는 sodium nitroprusside(SNP: NO 공여체)의 생리적 효과를 NO에 의한 세포 분열조절의 가능성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배추 유식물에 서로 다른 농도의 SNP (0, 200, 500 및 $1000\;{\mu}M$)를 8일간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200\;{\mu}M$ SNP 농도에서 최대 잎 생장을 보이면서 처리농도 의존 방식으로 잎의 생장에 영향을 끼쳤다. 잎의 생장반응과 일치하여, 잎의 엽록소 및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0\;{\mu}M$농도에서 최대로 증가하여 각각 대조구의 142%와 134%수준을 보였으나, 오히려 $1000\;{\mu}M$처리농도에서는 엽록소의 경우 미미한 감소와 그리고 단백질 함량에서는 13%의 감소가 일어났다. 게다가, 잎 조직의 DNA와 RNA 함량 역시 $200\;{\mu}M$ 처리시 최대로 증가하여 각각 대조구의 142% 및 139% 수준을 보였으나, 반면에 $1000\;{\mu}M$ 농도에서는 각각 대조구의 80% 및 84% 수준까지 감소되었다. 세포벽 합성과 관련된 효소 활성도 변화에서 phenylalanine ammonia-lyase와 guaiacol peroxidase 활성도는 $200\;{\mu}M$ SNP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각각 최대 212%와 134% 증가 하였으나, $1000\;{\mu}M$ 농도에서는 두 효소 활성도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들 결과는 효과적인 농도에서의 SNP 처리에 의한 배추 제 1엽의 생장 촉진 현상은 세포분열 유도에 대한 NO의 능력에 기인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