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form extract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27초

치자의 항산화 활성 및 활성성분의 분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s of Gardenia jasminoides)

  • 양혜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57
    • /
    • 2011
  • 치자의 항산화 활성과 유지산화 지연효과를 측정하고 활성을 보인 분획에서 주성분인 geniposide와 crocin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분획 중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의 항산화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고 그 분획의 주성분으로 분리된 geniposide와 crocin의 단일물질로서의 항산화력을 측정 비교한 결과, crocin의 항산화력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OD 유사활성 시험에서 여러 분획의 활성이 총 메탄올 추출물보다도 낮음에 비하여 crocin 단일 물질은 양성 대조군 cholorogenic acid의 $EC_{50}$ 값 453 ppm에 비하여 절반정도 낮은 $EC_{50}$값 259 ppm으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지 산화 지연효과도 치자의 총 메탄올 추출물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의 AI값은 BHA 1000 ppm에서의 AI값 1.66 보다 큰 1.81 이상임을 보여 유지 산화 지연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로 치자의 항산화 기능성 식품 및 첨가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고 사료된다.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황련 추출물의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Plagiorhegama dubium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

  • 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온 황련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황련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E. col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황련의 methanol 추출물과 백화사설초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E. coli의 배양액에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E. coli이 생육이 60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aureus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황련의 methanol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이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황금(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이명진;이선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황금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황금을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황금 추i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과 사설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및 S. dysenteriae의 배양백에 황금의 ethyl acetate 추물을 각각 5,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푸레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8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물푸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물푸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물푸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쇠비름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S. dysenteriae의 배양액에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vestigation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Some Thai Edible Plant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 Lee, J.H.;Cho, S.;Paik, H.D.;Choi, C.W.;Nam, K.T.;Hwang, S.G.;Kim, Soo-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461-146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ven edible plants from Thailand to develop alternative antibiotics as feed additives. The plants include Citrus aurantifolia Swingle (Lime) fruits and its leaves, Sesbania grandiflora L. (Agati sesbania) leaves, Piper sarmentosum Roxb (Wild betal) leaves, Curcuma domestica Valeton (Turmeric) roots, Morinda citrifolia L. (Beach mulberry) leaves, Cassia siamea britt (Siamea cassia) leaves, and Cocos nucifera L. (Coconut) peels. The plants were extracted by meth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determined by agar diffusion assay against Escherichia coli, Burkholderia sp., Haemopilus somnus, Haemopilus parasui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at were considered pathogenic strains in livestock infection.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leaves showed the broadest spectrum of antibacterial activities except for C. perfringens. Butanol extract of S. grandiflora L. leaves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gainst Burkholderia sp. with MIC, $135{\mu}g/mL$.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Burkholderia sp. and H. parasuis. Ethyl acetate and water extracts from C. domesitca Valeton roots showed MIC of $306{\mu}g/mL$ and $183{\mu}g/mL$, respectively against only C. perfringens.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by 2-diphenyl-2-picryl hydrazyl photometric assay. The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all the extracts with 3.46 mg/mL and 2.70 mg/mL effective concentration 50% ($EC_{50}$) values, respectively. Total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were measured from the plant extracts. Methanol extracts of S. grandiflora L. and chloroform extracts of C. domestica Valeton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henolics, 41.7 and $47.8{\mu}g/mL$, respectively. Flavonoid content of methanol extracts in S. grandiflora L. T was $22.5{\mu}g/mL$ and the highest among plant extracts tes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 aurantifolia Swingle, S. grandiflora L., P. sarmentosum Roxb, and C. domestica Valeton hav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lternative antibiotics or potential feed additives for the control of animal pathogenic bacteria.

홍화종자에서 항산화성 Serotonin계 화합물,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oylserotonin의 분리 및 정량분석 (Determina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Serotonin Derivatives, N-(p-Coumaroyl)serotonin and N-feruoylserotonin from Safflower Seeds)

  • 이강수;김윤희;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1-178
    • /
    • 2008
  • 홍화종자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preparative HPLC($\mu$-Bondapak $C_{18}$ column($7.8{\times}300mm$) 분석을 통하여 DPPH radical 소거 활성도가 높은 두 종류의 항산화 물질(CA와 CB)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항산화물질의 대량 추출을 위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그리고 butanol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였으며 이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물질이 추출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hlomatography하여 CA와 CB를 분리하였고, $^1H$-NMR과 $^{13}C$-NMR 분석에 의하여 CA는 N-(p-Coumaroyl) serotonin, 그리고 CB는 N-feruoylserotonin으로 동정되었다. 홍화종자에서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oylserotonin의 함량을 $\mu$-Bondapak $C_{18}$ column($3.9{\times}300\;mm$)으로 300nm에서 acetonitrile의 용매로 10%에서 분석을 시작하여 30분 동안 50%까지 기울기 모드로 분석한 결과 N-(p-Coumaroyl)serotonin의 함량은 4.11 mg/gDW, N-feruoylserotonin의 함량은 7.29 mg/gDW이었으며, 이 두 가지 항산화 물질은 모두 종자껍질에서만 추출되었다.

수산폐기물인 미더덕껍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 from Styela clava Tunic, Fishery Waste)

  • 이상미;이예람;조광식;박수연;장은영;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17-925
    • /
    • 2015
  • Styela clava tunic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as a waste from S. clava processing plants and leads to environmental problems. It destroys the beach scenery and causes a bad smell and pollution by trashing on the seashore.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S. clava tunic for recycling of fishery was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all extracts were concentration-dependent. Of extracts, hot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value (0.733 mg/ml). Chloroform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metal chela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2.696 mg/ml). Autoclaved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0.491 mg/ml) and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A_{700}=1.897$ at 100 mg/ml). And n-but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SOD-like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19.116 mg/ml) and ACE inhibi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inhibitory concentration($IC_{50}$) value (0.149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obtained from S. clava tunic may potential candidate to reduce diseases caused by various oxidative stresses and hypertension.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Extract)

  • 김미선;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31-1337
    • /
    • 2012
  • 본 연구는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의 생리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in vitro 에서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섬초롱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35.18%였으며, 이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물이 74.53%로 가장 높았으며, n-butanol, n-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순이었다. 섬초롱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276.2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섬초롱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0.13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0.5 mg/mL 농도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98%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항산화 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활성과 비교 시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분획물 모두 1 m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흡광도 수치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 mg/m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섬초롱은 n-butanol 분획물 70.56%, ethyl acetate 분획물 62.27%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n-butanol 분획물 34.77%, ethyl acetate 분획물 30.8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초롱의 추출물 및 분획물 중 ethyl acetate와 n-butanol 분획물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소재로서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s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최선영;김형식;이수정;손미예;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7-682
    • /
    • 2006
  • 본 연구는 마늘 추출물 중의 총 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고 NDMA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ethyl acetate>hexane>butanol>chloroform>water 순으로 많았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을 10 mg/mL 첨가 시 각각 $88.0{\pm}1.53%,\;77.5{\pm}0.8%$의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는 10 mg/mL의 butanol 추출물 첨가 시 각각 $96.9{\pm}0.75%$$68.6{\pm}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utanol 추출물을 prep-LC로 5개의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I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이를 prep-LC로 재분획하여 얻은 3개의 subfractions(III-a, III-b 및 III-c)에서는 subfraction III-c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마늘 부탄올 추출물은 ND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인 저해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C57BL/6N 생쥐에서 천남성 추출물과 분획물의 발모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Fractions and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in C57B/6N Mice)

  • 권경숙;이문원;정일국;정한솔;송범용;송정모;이창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19-630
    • /
    • 2009
  • To investigate the hair growth activity of fractions and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in the hair removed skin of normal and spontaneous alopecia areata model in C57B/6N mice.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macroscopic, microscopic, immunohistochemical(VEGF, c-kit, PKC-${\alpha}$, TGF and FGF) and RT-PCR(TGF-${\beta}$, IGF, prolactin and placenta lactogen)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croscopic observation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vehicle, 50% EtOH as control and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to the hair removed skin of C57BL/6N mice on the 9th, 11th and 15th day. Extensive hair growth activity was observed in treated group with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on the 9th, 11th and 15th day. In Arisaematis Rhizoma extracts treated group, hair follicles of middle stage of anagen was observed and it were grown down to subcutaneous tissue of skin in all the normal mice on 15th day. But in control group, most of hair follicles of telogen phase was observed in skin. The treatment of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increased expression of IGF(145%) and placenta lactogen(108%) in the skin of normal C57BL/6N mice on the 11th day compared to control group(100%). But expression of TGF-${\beta}$(90%) and prolactin(91%) decreased in the skin of normal C57B/6N mice on the 11th day compared to control group(100%). After application of fractions(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of Arisaematis Rhizoma extract for 9th day, hair growth effect was observed in whole skin area in 50% of normal mice. But in control group, hair growth effect was not observed in whole skin area of normal mice. Immunoreactive density of VEGF, c-kit, PKC-${\alpha$ and FGF in skin of fractions of Arisaematis Rhizoma extracts was strongly stained in epidermis, bulge, secondary hair germ cells, cutaneous trunci m., subcutaneous tissue, root sheath compare to control group on the 9th day. In spontaneous alopecia areata model, The hair growth activity of Arisaematis Rhizoma extrat treated group(75%) was observed to be strong compared to control group(O%) on 7th day.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fractions and extracts of Arisaematis Rhizoma may stimulate the topical hair growth activity. Thus it can be useful for treatment of alopecia are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