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e dioxide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1초

이산화염소수 생성기의 생성효율 및 과.채류에 대한 침지 세정 살균효과 (Effect of an Aqueous Chlorine Dioxide Generator and Effect on Disinfection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by Immersion Washing)

  • 박기재;정진웅;임정호;장재희;박희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6-242
    • /
    • 2008
  • 이산화염소수 발생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성원료인 $NaClO_2$ 농도(0.01-0.1%)와 $Cl_2$ gas 투입량(100-1,000 g/hr)에 따른 chlorite, chlorate, FAC 및 chlorine dioxide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Chlorate, FAC 및 chloride dioxide 생성량은 $NaClO_2$$Cl_2$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염소수 최적 생성조건은 0.1% $NaClO_2$, 900 g/hr $Cl_2$ gas 농도였으며 발생한 이산화염소수의 $ClO_2$는 882 ppm, FAC는 8.0 ppm, chlorite는 검출되지 않았고 chlorate는 43.32 ppm이었다. 이때의 수율과 순도는 각각 97.0%, 96.0%였다. 상추, 치콘, 깻잎, 케일의 채소류에 대한 세정 침지 살균에서는 이산화염소수 농도의존성 감균 효과를 나타내어 3-4 log의 총균수 감소 효과가 있었다. 과일의 경우에도 농도 의존성 감균 효과는 동일하였으며 대략 3-5 log의 총균수 감균 효과가 있었다.

이산화염소 표백단계와 킬레이트 처리단계 동시 진행 시 킬레이트 종류가 사탕수수 Soda-AQ 펄프 표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cane Bagasse Soda-AQ Pulp Bleaching Properties by Type of Chelate Compounds and Simultaneous Process of (DQ) Stage)

  • 이재성;신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47-155
    • /
    • 2016
  • 본 연구는 사탕수수 부산물 펄프를 Element Chlorine Free (ECF) 표백 처리할 때 마지막 과산화수소 표백단계를 추가하여 최종 표백 펄프의 잔류 이산화염소를 제거하고, 총 이산화염소 사용량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산화수소 표백단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킬레이트 처리 단계를 반응 조건이 비슷한 이산화염소 표백 단계와 동시 진행하였을 때, 개별적으로 킬레이트 처리를 진행한 표백 펄프의 표백 특성을 비교하였다. 총 이산화염소 사용량이 4.5%(w/w oven dried pulp)일 때 EDTA의 경우 킬레이트를 동시 처리할 때 백색도와 점도는 각각 87.0% ISO와 25.8 cPs로 개별 처리하는 경우 보다 더 높은 표백 특성(86.4% ISO, 25.2 cPs)을 나타냈다. 반면 DTPA를 킬레이트 화합물로 사용하는 경우 동시처리 시(83.9% ISO, 21.9 cPs) 개별처리(86.8% ISO, 25.6 cPs) 보다 표백 특성이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EDTA를 킬레이트 화합물로 사용시 잔류 전이금속(망간 이온, 철 이온) 농도가 개별처리 시 0.65 ppm, 66.74 ppm으로 나타난 반면 동시 처리시 0.52 ppm과 55.68 ppm으로 킬레이트 처리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DTPA는 동시 처리시 0.71 ppm과 116.88 ppm의 망간 이온, 철 이온 농도가 나타난 반면 개별 처리시 0.56 ppm, 86.17 ppm의 농도로 동시 처리 시 킬레이트 처리 능력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킬레이트 화합물 종류와 처리 방법에 따라 킬레이트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며, 효율적인 공정을 위해서는 EDTA를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산화염소 표백단계와 동시 처리하는 것이 표백 효율과 공정효율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염소 및 저온 플라즈마 가스 살균 및 MAP 처리가 파프리카의 저장 중 품질과 미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ne Dioxide, Cold Plasma Gas Sterilization and MAP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Paprika During Storage)

  • 최인이;이주환;권용범;노유한;강호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3-229
    • /
    • 2022
  • 파프리카 저장 및 유통 전 처리와 포장방법이 저장성 및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산화염소 가스 3, 6, 12시간과 저온 플라즈마 가스 1, 3, 6시간 처리 후 골판지 박스로 포장하여 8±1℃ 챔버에서 7일간 저장 하였을 때, 이산화염소 12시간 처리와 플라즈마 6시간 처리가 대장균과 곰팡이 발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무처리 대조구와 이산화염소 12시간, 플라즈마 6시간 처리한 후 골판지 박스 포장과 MAP 처리를 하여 8±1℃ 챔버에서 2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는 MAP 처리구가 1% 미만의 수치를 보였고, 외관상 품질은 MAP 처리구가 저장 종료일까지 상품성 한계점 이상이었다. 필름 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농도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도의 경우 이산화염소 처리구가 낮았고, 색도를 나타낸 Hunter a* 값은 MAP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취는 MAP 처리구에서 측정되었지만 매우 낮았다. 파프리카 과경의 곰팡이 발생률은 이산화염소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가 가장 빠르고 높게 발생하였고, 이산화염소 처리 MAP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저장 종료일 과육의 총 세균수는 플라즈마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 대장균수는 이산화염소 처리 MAP 처리구, 곰팡이는 이산화염소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파프리카 저장 중 미생물 억제를 위해 포장 방법과 관계없이 저장 전 플라즈마를 6시간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사탕수수 부산물 펄프의 DEDP 표백 시 킬레이트 전처리가 표백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Bleaching Efficiency by Chelating Treatment in Sugarcane Bagasse DEDP Bleaching Process)

  • 이재성;송우용;박종문;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4호
    • /
    • pp.81-87
    • /
    • 2015
  • Soda-AQ pulp made from sugarcane bagasse (SCB) were bleached in element chlorine free (ECF) sequence. To reduce chlorine dioxide use, final peroxide bleaching was introduced. Prior to peroxide bleaching, different chelating chemicals were applied for comparative analysis in ISO brightness and viscosity. When using equal total chlorine dioxide usage (4.5%), bleached SCB pulp using chelate and hydrogen peroxide (DEDQP) was reached 86.8% (DTPA), 86.4% (EDTA) ISO brightness, whereas bleached pulp using only hydrogen peroxide (DEDP) reached at 81.2% ISO brightness. Viscosity of DEDQP bleached pulp was 25.6 cPs (DTPA), 25.2 cPs (EDTA), And DEDP bleached pulp was shown 18.0 cPs viscosity. Decreasing of transition metal by chelate process led to improvements in final brightness along with higher viscosity. Due to EDTA is 5-7 times cheaper than DTPA, EDTA is recommended as chelating chemical prior to peroxide bleaching.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의 소다 안트라퀴논 펄핑 특성 및 이산화염소 표백 특성 (Soda-Anthraquinone Pulping and Chlorine Dioxide Bleaching Properties from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 이규성;송우용;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2호
    • /
    • pp.13-19
    • /
    • 2016
  • Moso Bamboo was investigated as the a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industry. Soda-Anthraquinone (Soda-AQ) pulping, elemental chlorine free bleaching was applied. Yield of soda or soda-AQ pulp was 29.3-31.7% with Kappa number 33.0-22.8 with different cooking time or anthraquinone addition at 20% active alkali. In soda or soda-AQ pulping, 81-86% of xylan was removed, which was the main reason for lower pulp yield than hardwood species. Average fiber length of Moso Bamboo soda-AQ pulp was 1.36 mm with $15.5{\mu}m$ fiber width. Soda-AQ pulp from Moso Bamboo (P-3, lowest Kappa pulp) was bleached with 5.5-6.5% of chlorine dioxide charge as D0ED1 bleaching sequence. In 3-stages ECF bleaching, final brightness of 85.3% ISO was achieved with total chlorine dioxide 6.5%.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hlorine Dioxide on Bacteria

  • Song, Kyoung-Ju;Jung, Suk-Y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0-274
    • /
    • 2018
  • Chlorine dioxide ($ClO_2$) gas is a neutral chlorine compound. $ClO_2$ gas was proven to effectively decontaminate different environments, such as hospital rooms, ambulances, biosafety level 3 laboratories, and cafeterias.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ClO_2$ gas, bacteria of clinical importance were applied. Staphylococci, Streptococci and Bacillus strains were applied and Klebsiella, and others e.g., Escherichia coli, Shigella, Salmonella, Serratia were also done for the inhibitory analysis. Bacteria plates were applied with a hygiene stick, namely, "FarmeTok (Medistick/Puristic)" to produce $ClO_2$. $ClO_2$-releasing hygiene stick showed the very strong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but had different inhibitions to the bacteria above 96.7% except for MRSA of 90% inhibi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the MRSA were not inhibited less than others at this point. It can be only suggested that more releasing $ClO_2$ should be essential to kill or inhibit the MRSA. B. subtilis, S. agalactiae, S. pyogenes, E. coli O157:H7, S. typhi (S. enterica serotype typhi) and S. marcesence were inhibited over 99%.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research growth inhibition by $ClO_2$ gas with bacteria of clinical importance value.

고분자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의료.식품용 멸균제 이산화염소의 전기화학분해 발생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Polymer Ion Exchange Resin)

  • 노승백;김상섭
    • 공업화학
    • /
    • 제23권1호
    • /
    • pp.86-92
    • /
    • 2012
  • 이온교환수지(ion exchange resin; IER)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ClO_2$)의 전구체 용액인 아염소산나트륨($NaClO_2$) 용액으로부터 아염소산이온($ClO_2^-$)을 흡착시킨 후 전기분해장치(electrolysis system)에 의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온교환수지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전극으로는 Ru, Ir이 코팅된 Ti plate를 사용하였다. 반응조의 교반속도, 온도, 아염소산 제조농도, 이온교환수지의 투입량과 형태에 따라 이온교환수지의 아염소산이온($ClO_2^-$) 흡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는 이온교환수지를 도출하였다. 전기분해장치에 의한 이산화염소의 발생 추이를 관찰하고 발생 목표값에 최적화된 조건을 실험계획법인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design)으로 선정하였다.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는 SAR-20 (TRILITE Gel type II형)이며 그 흡착량은 약 110 mg/IER (g)으로 관찰되었으며, 전기분해장치의 이산화염소 발생 최적조건은 멸균 목표값인 900~1000 ppm, 1 h에서 정전류는 전류인가 전극의 면적을 기준으로 $A/dm^2$, $N_2$ gas 유량은 4.7 L/min이었다.

이산화염소 및 citric acid 처리가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 (MPR) salad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 (MPR) Salad)

  • 염형준;고종관;김미리;조용식;전혜경;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9-133
    • /
    • 2005
  • Minimally processed and refrigerated(MPR) 셀러드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저장성 증대를 위하여 이산화염소와 citric acid 처리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을 3.75 log cycle, 효모와 곰팡이는 3.47 log cycle, 대장균은 3.41 log cycle, Listeria 속은 3.38 log cycle 감소시켰다. 물로 세척한 경우는 샐러드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한 반면 화학적 처리구는 생육 미생물을 3.3-3.7 log cycle 감소시킴으로써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보장해 주었다. 또한 샐러드 저장 중 효소적 갈변 원인인 polyphenoloxid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대구조에 비해서 49.73%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와 citric acid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는 MPR 샐러드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보장해 주고 또한 갈변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저장성을 증대시키고 유통기간 연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된다.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주요 식중독균의 불활성화에 관한 두 kinetic models의 비교 (Evaluation of Two Kinetic Models on the Inactivation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 이지혜;송현정;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23-428
    • /
    • 2011
  • 주요 식중독균인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S. Typhimurium과 S. Enteritidis를 주어진 이산화염소수 농도에서 시간별로 처리한 inactivation data를 first-order kinetic model과 Weibull model을 이용하여 kinetic parameter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Weibull model이 first-order kinetic model보다 inactivation kinetic data에 더 적합한 것을 보였다. 또한 특정 농도의 이산화염소수에서 처리한 survival plot의 tR values(특정 이산화염소수 농도에서 미생물 90%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는 Weibull model을 적용 시, E. coli O157:H7가 5 ppm에서 2.49 min, L. monocytogenes가 5 ppm에서 1.47 min, S. aureus가 5 ppm에서 0.94 min, S. Typhimurium이 1 ppm에서 0.87 min 그리고 S. Enteritidis가 1 ppm에서 0.08 min으로 측정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