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cken meat quality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9초

사육밀도가 토종닭 실용계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 Density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s)

  • 김찬호;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토종닭 사육시 사육밀도가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종닭(Initial BW, 37.5±0.79 g)을 364수 공시하여 20개의 floor pen(가로 1.0 m, 세로 1.0 m)에 5개의 사육밀도 처리구 (14, 15, 16, 18 및 22 수/㎡) 및 4반복을 두어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하였다. 체중 및 증체량은 사육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중가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에 사료 요구율은 사육 밀도에 따른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계육 일반성분(건물,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사육 밀도에 따른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계육 색도, 보수력 및 가열감량 역시 사육 밀도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H 함량은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22 수/㎡ 이상 사육 시 토종닭의 체중 등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밀 사육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토종닭의 증체 등 생산성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제한적인 요소로 향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골계 증탕액의 저장 및 관능 특성 (Quality Stability of High Pressure Boiled Extract of Ogol Chicken during Storage Periods)

  • 채현석;안종남;유영모;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종문;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9-286
    • /
    • 2002
  • 본 연구는 오골계, 오골계교잡종(3원교잡)육의 한약제 첨가에 따른 저장시험에서는 한약증탕액구와 오골계증탕액구, 오골계교잡종증탕액구 0.1% 효소 처리한 오골계교잡종증탕 액구를 37$^{\circ}C$에서 56일간 저장하면서 TBARS, VBN, pH, 미생물수, 관능평가 등을 조사하여 적정 저장기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증탕액의 저장기간 설정에서는 저장기간 중 성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토르트 포장지에 밀봉한 한약증탕액, 오골계증탕액, 오골계교잡종증탕액, 오골재래계를 flavourzyme으로 가수분해하여 제조한 증탕액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TBhRS, VBN, pH, 미생물수, 관능평가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방산패도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42일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6일째에 효소처리한 오골계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단백질 변성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저장 56일째에 한약증탕액에 비해오골계, 오골계교잡종 및 효소처리 오골계교잡종증탕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저장 42일부터 전체기호도에 있어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증탕액의 저장은 37$^{\circ}C$에서 6주가 적정기간으로 사료된다.

환경온도와 항생제 대체물질이 닭 가슴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Antibiotic Substitute on Quality of Chicken Breast Meat)

  • 강근호;김상호;김지혁;강환구;김동욱;조수현;성필남;박범영;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68
    • /
    • 2010
  • 본 연구는 환경온도($21^{\circ}C$, $32^{\circ}C$) 및 항생제 대체재가 냉장저장 중 닭 가슴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후 72시간째 pH 값은 $32^{\circ}C$의 에션셜오일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의 경우 $32^{\circ}C$의 고온조건에서 생산된 닭 가슴살은 $21^{\circ}C$의 조건에서 생산된 닭 가슴살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사후 72시간째 $32^{\circ}C$의 고온조건에서 생산된 닭 가슴살의 지방산화도는 에션셜오일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염용성 단백질 추출성에 있어서는 약용식물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원섬유 단백질의 분포 양상에 있어서도 액틴밴드의 경우, 유산균 및 에션셜오일 처리구가 $21^{\circ}C$의 항생제(+) 처리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기의 항생제 대체물질들은 항생제를 대체하더라도 저장 중 닭고기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아울러 항생제 대체물 급여시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지표로 지방산화도 및 염용성 단백질 추출성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에션셜오일 급여는 고온조건에서 고품질의 닭고기를 생산할 경우 항생제 대체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Carotenoid Accumula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in Spent Laying Hens as Affected by Polarity and Feeding Period

  • Lee, C.-Y.;Lee, B.-D.;Na, J.-C.;An,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99-805
    • /
    • 2010
  • Since the consumption of spent laying hens as roasted skewered meat increases, the effects of various carotenoids on pigment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ested with 62-wk-old 250 ISA brown laying h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cken meat. In a 6-wk feeding trial, 4 carotenoids with different polarity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ACAEE)>astaxanthin>canthaxanthin>${\beta}$-carotene) at 100 mg carotenoid/kg feed were used. The more polar the carotenoids, the higher were the levels in blood. After 5-wk adaptation, the concentrations of astaxanthin, canthaxanthin, and ACAEE in blood were -4 ${\mu}g/ml$. Canthaxanthin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level of total blood cholesterol. Decreases in blood triglyceride by all carotenoids used were significant. ACAEE and astaxanthin tended to increase skin yellowness of thigh, breast, and wing proportionally to feeding period. In the case of polar carotenoids (ACAEE and astaxanthin), the longer the period of feeding, the higher the accumulation in skin was observed. Only astaxanthin was effective against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in skin. Conclusively, ou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arotenoids we tested, astaxanthin is recommended for pigmentation of skin and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사양관리에 따른 오리 육의 가공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uck Meat Processing According to Feeding Management)

  • 이관호;최일신;남기택;김상현;오윤길;이치호;최강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3-208
    • /
    • 2007
  • 유기오리의 도체중은 일반오리보다 품종 및 사양방법의 차이에 기인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도체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슴부위의 정육율에서는 일반오리(11.9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리부위(13.07%)에서는 일반오리(14.2%)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도축 직후 측정된 유기오리의 pH는 가슴 및 다리부위에서 각각 6.48 및 6.73으로 일반오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다리부위의 pH값이 가슴육보다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유기오리육에서 다리근육이 가슴근육 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기오리에 대한 일반 이화학적 검사 결과 일반오리육보다 높은 pH, 높은 전단력, 낮은 가열감량 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육질 및 냄새, 연도, 맛에 있어서 일반오리보다 좋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 전체적으로 우수한 식육 자원으로서 육제품 개발에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내 생균 또는 사균 형태 김치 유산균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률, 장내 미생물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ive or Kille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Gut Microbiota and Meat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en)

  • 이정헌;김상윤;이준엽;무사비르 아메드;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7-65
    • /
    • 2013
  • 김치의 주종 유산균의 하나인 Weissella koreensis(Wk)의 육계 사료용 probiotics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육계 성장능력, 영양소 이용률, 면역능력, 장내 미생물,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무첨가 육계사료를 대조구(Control)로 설정하고, 처리구로 생균 형태의 Wk를 0.1%(LWk 0.1), 0.5%(LWk 0.5) 첨가한 구와 사균 형태의 Wk 0.5%를 첨가한 구(KWk 0.5) 등 총 4처리를 두었다. 본 연구결과, 생균 형태의 LWk 첨가는 대조구와 사균 형태의 첨가구(KWk 0.5)에 비하여 증체율과 사료 효율을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다. 영양소 이용률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 이용률이 사균(KWk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IgG 수준과 F낭의 상대적 크기는 KWk 0.5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생균 형태의 Wk 첨가로 맹장 내 총 혐기성 유산균의 수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대장균의 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사료 내 김치유산균의 첨가는 생균이나 사균 모두 계육 지방산 조성, 계육의 산패 지연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생균이나 사균, 첨가수준 모두가 전자코를 통한 육향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생균 형태 Wk가 육계 사료용 생균제로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 및 닭 다리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acon(Polymnia sonchifolia) By-products and Pine Needle Powder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7-195
    • /
    • 2013
  • 본 시험은 육계에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을 각각 0.5%와 1.0%를 급여하여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다리 육의 도체 특성, pH, TBARS, WHC, 전단력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을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야콘 부산물 분말 0.5% 급여구는 T1, 야콘 부산물 분말 1.0% 급여구는 T2, 솔잎 분말 0.5% 급여구를 T3 그리고 솔잎 분말 1.0% 급여구를 T4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을 급여한 육계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 등의 생산성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폐사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 생화학 성상 분석 결과,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의 첨가 급여는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야콘 부산물보다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명확히 나타났다. 계육의 pH, TBARS는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을 급여함에 따라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임으로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은 대조구보다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CIE $L^*$값은 낮아지고, CIE $a^*$값은 높아져 육색이 어두워지는 결과이었으며(P<0.05), CIE $b^*$값은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의 급여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부산물과 솔잎 분말를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되어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되고, 콜레스테롤대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경향은 야콘 부산물보다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우수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료 내 무청 및 시금치 급여가 육계의 조직 내 루테인 축적률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Radish Green and Spinach on Meat Quality and Lutein Accumulation in Broiler Tissue)

  • 강근호;김상호;김지혁;강환구;김동욱;조수현;성필남;박범영;함준상;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6-91
    • /
    • 2011
  • 본 연구는 사료 내 무청 및 시금치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조직 내 루테인 축적률 및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기본배합사료를 이용하였고, 처리구는 기본배합사료에 시금치로부터 추출한 루테인 화합물(2.223%), 무청분말(2%) 및 시금치분말(0.61%, 1.83%)을 각각 첨가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닭 피부의 색깔을 측정한 결과, 황색도에 있어서 무청분말 처리구와 시금치분말 1.8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닭 가슴살의 육색을 측정한 결과, 명도의 경우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시금치분말 1.83%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낮고(p<0.05), 황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화도의 경우 루테인 화합물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냉장저장 중 낮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닭 조직내 루테인 축적률을 조사한 결과 시금치분말 1.83% 처리구의 간 조직에서만 미량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해 볼 때, 시금치분말 1.83% 첨가구에서 육색(적색도 및 황색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방산화도 및 루테인 축적률에 있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닭고기 조직내 루테인 축적률 및 선행연구와 같이 지방산화도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시금치 원물질 급여 보다는 시금치로부터 추출한 루테인 화합물의 농도를 높여서 첨가급여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식단의 식품배합을 통한 단백질의 질적상승효과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Protein Quality by Food Combinations in Korean Diet)

  • 김성애;이양자;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62-272
    • /
    • 1984
  • A study on the balance of essential amino acids in Korean diet and further investigation on quality of protein through optimum combination of foods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based on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optimum gross combin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s of the Korean diet was found to be methionine and cysteine based on both whole egg and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2)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beef, chicken, pork, rabbit meat are 7 : 3, 4 : 1, 4 : 1, and 3 : 1. The amino acid score and the least amino acid are 100(phe+tyr), 99(thr), 111(trp), and 109(leu) for each combin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rk and rabbit meat can be high quality protein sources for the rice eating people. 3)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anchovy, saury, ark shell, pollack, cuttle fish, tuna and herring are 2 : 1, 5 : 1, 3 : 2, 3 : 1, 3 : 1, 4 : 1, and 3 : 1. 4) Weight ratios between potato and rice, wheat flour are 8 : 1 and 24 : 1. Lysine, the limiting amino acid of rice and wheat flour can be complemented by combining these with potato. 5)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idea on typical Korean dishes. For example, in case of soybean-sprout rice the optimum combinations of rice : soybean-sprout : pork and rice : soybean-sprout : beef are 4 : 1 : 1 and 11 : 1 : 5.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ursue further more desirable combinations with more complex food items and transform the result obtained by the computer analysis into more practical terms for practical use.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 as a Key Regulator of Performance, Lipid Metabolism, Development, Stress and Immune Functions, and Gene Expression in Chickens

  • Choi, Yang-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448-458
    • /
    • 2009
  • It has been well documented from animal and human studies that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has numerous beneficial effects on health. In chickens, CLA exerts many effects on performance ranging from egg quality and yolk lipids to meat quality. Although there are several CLA isomers available, not all CLA isomers have the same incorporation rates into egg yolk: cis-9,trans-11 and trans-10,cis-12 CLA isomers are more favorably deposited into egg yolk than other isomers investigated, but of the two isomers, the former has a higher incorporation rate than the latter. CLA alters the amounts and profiles of lipids in plasma, muscles and liver. Furthermore, increased liver weight was reported in chickens fed dietary CLA. As observed in egg yolk, marked reduction in intramuscular lipids as well as increased protein content was observed in different studies, leading to elevation in protein-to-fat ratio. Inconsistency exists for parameters such as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egg production rate and mortality, depending upon experimental conditions. One setback is that hard-cooked yolks from CLA-consuming hens have higher firmness as refrigeration time and CLA are increased, perhaps owing to alterations in physico-chemistry of yolk. Another is that CLA can be detrimental to hatchability when provided to breeders: eggs from these breeders have impaired development in embryonic and neonatal stages, and have increased and decreased amounts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respectively. Thus, both problems can be fully resolved if dietary sources rich in MUFAs are provided together with CLA.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CLA exerts a critical impact on stress and immune functions as it can completely nullify some of the adverse effects produced by immune challenges and reduce morta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Finally, CLA is a key regulator of genes that may be responsible for lipid metabolism in chickens. CLA down-regulates both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stearoyl-CoA desaturase-1 and its protein activity in the chicken liver while up-regulating mRNA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