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한가정학회지 논문 내용 분석 연구: 1995-2009 (Content Analysis of the Treatis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조유현;신희용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87-95
    • /
    • 2009
  •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treatises published in JKHEA(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In total, 2,136 articles published in JKHEA from 1995 to the first half of 2009 were reviewed. Articles were classified by subject matters, research methods, number of researchers, presence of research fund, language and number of reference. Although it is useful to employ content analysis in reviewing academic articles on human ecology in all journal publications, the sheer size of literature available makes this task nearly impossible. As such, we have chosen JKHEA as a popular representative journal on human ecology. This study presented the empirical results of research trends and other characteristics in JKHEA. As suc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 snapshot analysis of research on human ecology and future trends.

한국과 미국 대학의 가정교육과 교과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Course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 임일영;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2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ubject matters opened 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U.S.A. For this study, 17 undergraduate catalog and college course guidelines of Korea and the 15 undergraduate catalog and course guidelines of U.S.A. were collected. Collected materi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comparision and analysis, classified the subject matters as three steps based on these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rithmetic mean, percentage, frequenc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 1. The number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relative subject matters opened in Korea is 10% below, and U.S.A.'s is 20~30%. The ratio of U.S.A.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2. The domain of clothes & textiles and foods and nutrition is 50% in Korea, So, There is unbalance in Korea. 3. U.S.A. oftened various names of subject matters by characteristics more than in Korea.

  • PDF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개발 -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Teaching Model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56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정체성과 본질을 바탕으로 가정교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의 특징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가정교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성과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을 탐색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요소를 18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창의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 창의 인성 교육 요소를 발현하기에 적합한 가정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로서 실천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탐구학습 모형, 역할놀이(체험학습) 모형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이 가정과교육의 본질과 부합되는 개념임을 확인하고,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활성화,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증, 다양한 창의 인성 수업모델 제시, 창의 인성 수업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한.일 여자고등학생의 가정과에 대한 관심과 학습요구의 실태조사 -가족과 보육을 중심으로- (Senior High School Students'Concerns about Home Economic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in Korea and Japan -In the areas of the Family and Child Care-)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2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girl students’concerns about the family lif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their needs for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asses in order to develop an advisable co-education curriculum.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96 first grade students in Seoul in 1993 and 765 first grade students in Tokyo and Kanagawa Prefectures in 1991.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1) students’interests in the area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2) students'concerns in their daily life 3) students’interests in a new curriculum for family life education:16 contents from human birth to death. 4) students’experience with their family, and 5) students’educational needs in Home Economics’teaching method. The result of our research showed that:1) Most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had strong interests in their life and life span. 2)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cerns between Korea and Japa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had strong concern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heir “future job”, their “looks and figure”and their “hobby and amusement”, these had not bee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in Korea and Japan, but had been in U.S. 3) Very few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Japan and especially in Korea had contacts with their grandparents. 4)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showed strong interests in their near future stage, but they showed less interest in the stage of early childhood. 5)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showed their diverse needs for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a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education curriculum for family life education should meet adolescent needs and concerns, and our new curriculum, “from one’s birth to death/one’s life span”, would be more advisable.

  • PDF

내 집과 같은 노인 시설주거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I) -미국의 노인 서비스주거 시설을 중심으로-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homelike Elderly Housing Facilities)

  • 신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65-179
    • /
    • 2000
  • Korean population patters has become so called aged society by this July through the aged composed over 7% in whole population. It is worldly concern how can increas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homelike elderly housing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ome, how to express the homelike characteristics into physical design and identify their housing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design ideas were suggested.

  • PDF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Teacher Effica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재숙;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사항과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직무요인(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의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부실기재 된 31부를 제외한 나머지 194부의 자료를 가지고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교육수준, 교직경력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교교육환경에 따라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신장, 학부모 참여, 학습자 특성, 동료교사의 특성,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교사의 지각이 긍정적인 집단에서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신장과 학교교육환경,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고 현행 교사를 위한 현직연수의 내실화 및 자기연수 기회의 확대, 그리고 시간적, 경제적인 교육 당국의 지원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교사로 하여금 학부모, 학생, 동료교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PDF

핀란드 가정과 교육과정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Finnish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39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된 핀란드의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의 가정 교과는 7~9학년군에 속해 있으며 학습영역은 '식품 지식 및 기능, 음식 문화', '주거 및 더불어 살기', '가정에서의 소비자 및 재무 기능'으로 통합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핀란드 교육과정에서 가정 교과역량은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총론에서 횡단적 역량의 목표를 제시하고 7~9학년군별로 강조하고 있어 횡단적 역량과 교과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셋째, 핀란드 가정 교과의 내용체계는 학습기능, 학습내용, 횡단적 역량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수업목표와 교과역량의 역할을 하는 학습의 기능을 연결하여 역량의 성취를 강화하고 있었다. 넷째, 가정 교과의 평가는 지식과 기능을 활용한 실제 수행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교과 지식과 역량의 성취를 평가하는 기준은 수행 중심의 진술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핀란드의 교육과정의 중요한 특징은 학습자의 지식, 태도, 역량의 성취를 위한 교사 역할을 강조하는 교육제도의 유연성과 개인의 고유성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사의 책무성과 학습자의 성취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의 구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에서 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연결이 필요하며, 교과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체계, 배우기 위한 학습으로서의 평가와 학교 및 교사의 교육공동체를 통한 더 깊은 협력이 요구된다.

가정과 교육에 있어서 소비자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개발연구-문제해결 중심 학습모형개발을 중심으로-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Method for Consum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Focusing on Problem Solving method-)

  • 박명희;허형;박명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01
    • /
    • 1995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1) develop instructional method for consum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2)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ing instructional method focusing on the problem solving. In the method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e consumer education. models of teaching and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method were studied. Also, on the basis of theoretical evidence. the teaching plan focusing on problem solving method was developed. In addition, experimental research was done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iveness on the developing instructional method of the study. This experimental research were made in the six classes of the three middle school in Seou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udy, frequency, mean and two way ANOVA(factorial desig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ethod of the study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2) The effect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ere depended on the sex. The learning effects on th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3) The learning effects on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 sex and teaching method.

  • PDF

중년층이 선호하는 미래 노인주거 환경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s for Elderly Housing Characteristics: Viewpoint of A Middle-Aged)

  • 신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5-120
    • /
    • 1998
  • This study delineates the preferences of elderly housing characteristics among a middle-aged popu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independent, random, age-stratified sample of house wives using structured questionaire and interview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AS statistics analysis program. The preferred way of living style an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referre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influenced by age, income, job and education. Education was the most powerful indicator for predicting the preferences.

  • PDF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가정 영역)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High School - 2007 Revised Curriculum -)

  • 김서현;윤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3-86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가정 영역)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가정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한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로 설정하였다. 6종 기술 가정 교과서(가정 영역)의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분석한 결과 '지식 영역'에 압도적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고, '기능 영역' 중 '대인 및 집단 가능' 부분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치 영역'은 하위 요소별 그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우려나라 전통 문화 및 세계 여러 문화의 특정,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가치를 다루고는 있으나, 다른 문화와의 의사소통 방법 및 다양한 문화와 공존할 수 있도록 히는 내용은 부족하였다. 향후 교과서 개발 시 평등한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게 하며, 사회 속에서 구체적으로 우리와 다문화 구성원들이 더불어 사는 방법, 환경, 가치관, 이념 및 태도 등을 비판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제 가정과교육은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차이를 이해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바람직한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