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ent Analy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High School - 2007 Revised Curriculum -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가정 영역)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Kim, Seo-Hyun (Won Mi High School) ;
  • Yoon, Young (Major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2.21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the objects and the content 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analyzed multicultural contents reflected o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We set up the o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s creating the new culture through developing multicultural ability by critical thinking.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of six kind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resulted that most of contents are assigned to 'knowledge se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group function' holds the highest ratio among the sub-sections of 'function section'. The 'value section' shows even distribution in its sub-sections. Most of textbooks cont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necessary value in multicultural society. But, there are lack of contents about the way of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and coexist with diverse cultures. When we develops new textbook hereafter, it is necessary to contain the contents about which can help to understand and respect diverse culture through the egalitarian perspective and, by extension, which can make students think critically about the attitude, values, environment and way of live together with multicultural members in society. From now on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help the students who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to be understand about the differences in diverse culture and to create a desirable culture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as well.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가정 영역)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가정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한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로 설정하였다. 6종 기술 가정 교과서(가정 영역)의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분석한 결과 '지식 영역'에 압도적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고, '기능 영역' 중 '대인 및 집단 가능' 부분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치 영역'은 하위 요소별 그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우려나라 전통 문화 및 세계 여러 문화의 특정,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가치를 다루고는 있으나, 다른 문화와의 의사소통 방법 및 다양한 문화와 공존할 수 있도록 히는 내용은 부족하였다. 향후 교과서 개발 시 평등한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게 하며, 사회 속에서 구체적으로 우리와 다문화 구성원들이 더불어 사는 방법, 환경, 가치관, 이념 및 태도 등을 비판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제 가정과교육은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차이를 이해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바람직한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