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gra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5초

환도(GB30) 및 족삼리(ST36) 건강약침이 신경병증성 통증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Pharmacopuncture Injected at GB30 and ST36 on Neuropathic Pain in Rats)

  • 황민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6권1호
    • /
    • pp.52-62
    • /
    • 2019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Zingiberis Rhizoma Pharmacopuncture(ZP) at GB30 and ST36 in neuropathic pain induced SD rats by the block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TRPV1). Methods : Neuropathic pain in rats was induced by tibial and common peroneal nerve transection of right leg. The rat subjec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 normal(Nor, n=5), control(Con, n=5), neuropathic pain plus 2 mg/kg ZP injection at GB30 and ST36(ZP-A, n=5), 10 mg/kg ZP(ZP-B, n=5), 20 mg/kg ZP(ZP-C, n=5) and 0.45 mg/kg Tramadol(Tra, n=5). Three days after the surgery, injections were administered once a day for 17 days. Withdrawa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were measured by stimulating the paw of Right leg with von frey filament, acetone and radient heat on day 3, 7, 11, 15, 19 after surgery. After all treatments were completed, c-Fos in the midbrain central gray and TRPV1 & TRPA1 of DRG(L5) were analyzed. Results : Groups ZP-B and ZP-C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withdrawal response of mechanical allodynia, thermal hyperalgesia and cold allodyni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p<0.01, p<0.001). Groups ZP-B and ZP-C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c-fos and TRPV1 protein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p<0.01, p<0.001).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Zingiberis Rhizoma Pharmacopuncture at GB30 and ST36 could decrease mechanical & cold allodynia and thermal hyperalgesia by block the TRPV1 on the model of neuropathic pain.

대장(大腸)과 관련(關聯)된 경혈(經穴)들의 신경해부학적(神經解剖學的) 연구(硏究) (Neuroanatomical Studies on the Acupoints Related to the Large Intestine)

  • 강창수;이상룡;이창현;남용재;이광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95-1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eridian, acupoints and viscera using neuroanatomical tracers. The common locations of the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were observed following injection of transganglionic tracer, WGA-HRP and transsynaptic neurotropic virus, pseudorabies virus(PRV), Bartha strain(Ba) and PRV-Ba-Gal (Galactosidase)) into the the large intestine(cecum, colon and rectum), ST37 and LI4. After survival times of 96 hours following injection into the thirty rats with WGA-HRP, PRV-Ba and PRV-Ba-Gal. They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were frozen sectioned($30{\mu}m$). These sections were stained by HRP and X-gal histochemical and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nd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the large intestine were observed bilaterally within the T13-L4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T9-11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ST37 were observed within the L3-5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L2-4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LI4 were observed in the middle cervical ganglion and stellate ganglion, and C5-8 spinal ganglia. 2. In spinal cord, PRV-Ba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found in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segments. Densely labeled areas of each spinal cord segment were founded in lamina N, V, VII(intermediolateral nucleus), Ⅸ, X and dorsal nucleus. 3. In medulla oblongata,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commonly found in the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nucleus tractus solitarius, raphe obscurus nucleus, raphe pallidus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and gigantocellular nucleus. 4. In pons,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locus coeruleus, Kolliker-Fuse nucieus and A5 cell group. 5. In midbrai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central gray matter. 6. In diencephalo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V-Ba and PRV-Ba-Gal labeled common area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ay be correlated to that of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ST37 and LI4. Especially, These morphological results provide that interrelationship of meridian-acupoints -viscera may be related to the central autonomic pathways.

  • PDF

심부통증이 흰쥐 중뇌에 미치는 c-Fos 면역반응성의 변화와 아스피린의 효과 (Changes of c-Fos Immunoreactivity in Midbrain by Deep Pain and Effects of Aspirin)

  • 정진아;유기수;황규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95-701
    • /
    • 2003
  • 목 적 : 근육과 관절 등에서 유발된 심부통증(deep pain)이 척수상위로 전달되는 신경로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피부에서 유발된 천부통증(superficial pain)과는 달리 중뇌의 PAG에 위치한 신경원에 침해 자극이 전달되어 자율신경계와 행동양식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의 항염증성 약품들은 말초조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하여 진통효과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척수와 뇌간에서도 진통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자는 포르말린으로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켜 중뇌의 어느 부위에서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지를 c-Fos 단백의 발현으로 확인하고 또한 비스테로이드성의 항염증성 약품인 아스피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방 법 : 실험 I군에서는 생리식염수를 흰쥐 꼬리에 미리 피하주사한 뒤 포르말린을 이용해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켰고, 실험 II군은 아스피린을 주사한 후 포르말린으로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켰다. 정상군에서는 통증자극을 주지 않았다. 실험 I군과 실험 II군의 흰쥐는 통증을 유발 시킨 뒤 30분, 1, 2, 6, 24시간에 희생시켜 뇌를 적출하여 뇌절편을 만들었다. 뇌절편으로 냉동 연속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c-Fos 단백의 출현여부를 확인하였다. Interaural 1.00-1.36 mm를 통과하는 관상 뇌절편의 연속조직표본에서 나타난 양성면역반응성을 토대로 중뇌의 VLPAG와 DMPAG를 관찰하였고, 단위면적($0.2mm^2$)당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를 계수하고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DMPAG에서 보다 VLPAG에서 현저하게 많았다. DMPAG와 VLPAG에서 통증유발 2시간 후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아스피린을 투여한 군의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전시기에 걸쳐 적었다. 결 론 : 이 연구결과는 포르말린에 의해 유발된 체성 심부통증의 기전과 아스피린의 효과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공명영상의 병변에 따른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 양상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based on the lesions on MRI)

  • 정성훈;박성신;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91-895
    • /
    • 2007
  • 목 적 : ADEM은 급성 중추 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으로 병태 생리학적 기전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 또는 예방 접종 후 수일에서 수주일 경과 한 후에 발병하며, 면역학적 기전이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 양상과 예후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부분은 단상성의 경과를 보이는 양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뇌 자기공명영상 병변은 전형적인 경우 주로 백질에서만 관찰되나 심부 회백질을 침범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임상 증상과 예후가 뇌 병변의 위치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어, 후향적으로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경희대학교 소아과에 ADEM으로 입원한 환자 21명을 의무 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따라 1군은 백질에 국한된 다중 또는 단일 병변, 뇌실 주위 및 소뇌의 병변도 포함된 경우로 분류하였으며, 2군은 심부 회백질 또는 피질 병변으로 백질을 침범하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두 군간에 선행 증상이나, 발병 시 신경학적 증상, 뇌 척수액 소견, 신경학적 후유증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두 군에 있어 선행 증상의 빈도를 보면 아무런 선행 증상 없이 발병한 경우가 38.1%로 가장 많았으며 상부 호흡기 감염 증상이 28.6%였고, 두 군간에 선행 증상에 대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발병 당시 증상을 보면 경련이 76.2%, 두통과 구토 증상이 47.6%, 의식의 변화가 38.1%로 관찰되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검사 결과 백혈구 증다증이 38.1%, 뇌척수액 소견상 세포 증다증이 76.2%에서 보였으며, 뇌척수액 내 단백질 증가가 28.6%에서 관찰되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예후에 있어서도 15명인 71.4%가 정상화 되었으며 지속된 경련은 19%, 운동 장애는 19%에서 보였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병변의 차이에 따른 임상 양상과 예후에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나, 다양한 증상과 다양한 병변 및 예후를 보이고 있어 수많은 다른 면역학적 기전을 가진 이종성 질환이 아닌지 의심된다. 아직까지 ADEM의 진단 기준은 임상 증상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의존하여 다소 불분명하다. 이에 ADEM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며, 아울러 초기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추적 관찰에 있어 좀더 세심한 주의와 연구가 필요하겠다.

환도혈(環跳穴) 오공약침(五蚣藥鍼) 자극(刺戟)이 백서(白鼠)의 신경병리성(神經病理性) 통증(痛症) 억제(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 (Inhibitory Effect of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Injected at Hwando(GB30) on Neuropathic Pain in Rats)

  • 김성남;김성철;최회강;소기숙;임정아;황우준;문형철;최성용;이상관;나창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45-167
    • /
    • 2004
  • Objective : Neuropathic pain can be caused by a partial peripheral nerve injury. This kind of pain is usually accompanied by spontaneous burning pain, allodynia and hyperalgesia. It is not clear that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can control neuropathic pain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may be effective to the neuropathic pain (mechanical allodynia, cold allodynia)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Methods : To produce the model of neuropathic pain, under isoflurane 2.5% anesthesia, tibial nerve and sural nerve was resected.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the author examined if the animals exhibited the behavioral signs of allodynia. The allodynia was assessed by stimulating the medial malleolus with von Frey filament and acetone. Three weeks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was injected at Hwando(GB30) one time a day for one week. After that the author examined the withdraw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by von Frey filament and acetone stimulation. And also the author examined c-fos in the midbrain central gray of neuropathic rats and the change of WBC count in the blood of neuropathic rats. Results & Conclusion : 1. The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injected at Hwando(GB30) decreased the withdrawl response of mechanical allodynia in SHA-1, SHA-2 and SAH-3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injected at Hwando(GB30) decreased the withdrawl response of chemical allodynia(cold allodynia) in SHA-1, SHA-2 and SAH-3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injected at Hwando(GB30)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am group and control group(p=0.01), sham and SHA-3 group(p=0.026), control group and SHA-1 group(p=0.01), control group and SHA-2 group(p=0.024) in the c-fos expression. 4. The scolopendrid aqua-acupuncture injected at Hwando(GB30)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am group and SHA-3 group(p=0.010), control group and SHA-3 group(p=0.006) in the WBC count.

  • PDF

대구 부근 하부 하양층군(백악기) 사암과 이암의 속성 광물과 속성 작용의 규제 요인 (Controls on Diagenetic Mineralogy of Sandstones and Mudrocks from the Lower Hayang Group (Cretaceous) in the Daegu Area, Korea)

  • 신영식;추창오;이윤종;이용태;고인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575-586
    • /
    • 2002
  • 경상분지 중앙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부 하양층군의 사암과 이암에서 산출되는 속성광물은 탄산염 광물(방해석, 백운석), 점토 광물(I/S, C/S, 일라이트, 녹니석 및 캐올리나이트), 알바이트, 석영 및 적철석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각 층별 특징적인 속성 광물상으로는, 칠곡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C/S포함)-적철석이, 신라역암은 알바이트-일라이트-방해석이, 함안층에서는 일라이트-녹니석-적철석이, 반야월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백운석이 산출된다. 속성 작용 과정의 물리, 화학적 환경 변화를 지시하는 점토 광물로는 일라이트가 전층군을 통하여 보편적으로 산출되나, 녹니석(C/S포함)은 회색 또는 녹색암이나 화산기원 물질의 함량이 높은 칠곡층 사암과 이암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속성 광물상에 근거할 때, 속성 광물의 생성은 일차적으로 기원암과 밀접히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라이트 결정도를 기준으로 이 지역의 사암과 이암은 후기 속성 작용 단계 내지 저변성 단계에 해당되며, 속성 작용은 매몰 심도 보다 백악기 화강암체의 관입, 유기물의 함량과 입자의 크기 및 퇴적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Fabrication of Combined Probes for Interstitial hyperthermia and Brachyradiotherapy)

  • 추성실;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5-87
    • /
    • 2004
  • 원격조정 아프터로딩 시스템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삽입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RF) 안테나로도 병행사용할수 있는 열 방사선 병용삽입관 을 제작하였다. 30W의 RF 전력으로 15분간 한천 판톰에 가열하였을 때 폴리에틸렌관은 약 5oC 상승하였으나 금박으로 코팅 된 폴리에틸렌관은 약 20${\circ}$C 상승하여 RF 안테나로 대용할 수가 있었다. 한천 팬텀 중앙부에 길이가 2 cm 인 4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등온곡선이 반경 1.25 cm 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1.75 cm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다. 개의 뇌 실질에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 PDF

전립선비대증 초음파 영상에서 GLCM을 이용한 컴퓨터보조진단의 영상분석 (Image Analysis of Computer Aided Diagnosis using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in the Ultrasonography for Benign Prostate Hyperplasia)

  • 조진영;김창수;강세식;고성진;예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84-191
    • /
    • 2015
  • 전립선 초음파영상은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을 진단하고 전립선암의 생검과 전립선비대에서 전립선 크기 확인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전립선비대증은 노인 남성의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전립선은 주변구역, 중심구역, 이행구역과 전방 섬유근 간질부분 4개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전립선비대증은 조직학적으로 전립선 이행구역에서 결절성 증식을 동반한 요도주위의 진행성 과증식이 특징으로 이 결절로 인한 요도 폐쇄를 야기함에 따라 하부요로 증상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전립선 이행구역 영상과 전립선비대 이행구역 영상에 대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GLCM을 적용하여 정상영상 60증례와 전립선비대증영상 60증례을 분석영역($50{\times}50$ 픽셀)으로 설정하고, 각 영상에서 Autocorrelation, Contrast, Cluster Prominence, Entropy, Max Probability, Sum average 6가지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Autocorrelation, Cluster Prominence, Entropy, Sum Average 4개의 파라미터에서는 병변의 질감 검출 효율이 92-98%로 높게 나왔다. 이에 전립선 이행구역의 결절성 증식 변화를 정량적인 영상분석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전립선비대증 진단에 있어 2차적인 수단으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전립선 초음파 영상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불변의 무게중심을 템플릿으로 이용한 대수-극 좌표계 영상 워터마킹 기법 (Log-Polar Image Watermarking based on Invariant Centroid as Template)

  • 김범수;유광훈;김우섭;곽동민;송영철;최재각;박길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3호
    • /
    • pp.341-351
    • /
    • 2003
  • 디지털 영상에서 워터마킹이란 영상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법이다. 이때 삽입되는 저작권 정보를 워터마크라 하고 이는 외부의 공격을 받더라도 쉽게 제거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워터마킹 기법이 영상 압축, 필터링 둥의 파형 공격(waveform attack) 에는 강인하나 회전, 크기 변화, 이동, 잘려짐(cropping) 등과 같은 기하학적 공격(geometrical attack) 에 쉽게 깨어지는 단점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공격에 대한 해결책으로 영상에서 불변의 무게중심(invariant centroid) 을 구하고 이를 템플릿(template) 으로 이용한 대수-극 좌표계 변환과 이산 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을 사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워터마크가 첨가된 영상에 가해지는 기하학적 공격은 불변의 무게중심과 대수-극 좌표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극복하고, 파형 공격은 DCT 변환을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또한 워터마크 정보만을 역 LPM 변환하여 원 영상에 삽입하는 간접 삽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좌표계 변환으로 인한 화질의 열화를 막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서 삽입된 워터마크의 검출이 불가능한 잘림을 동반한 기하학적 공격 후에도 워터마크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살균제 저항성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 (Effect of Mepanipyrim on the Resistant Isolates of Gray Mold fungus, Botrytis Cinerea to the Fungicides of Benzimidazole and Dicarboximide)

  • 구한모;안승준;신호철;도은수;신미호;김유석;김진희;천세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59-265
    • /
    • 2006
  • Benomyl과 procymidone에 대한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저항성 균주와 감수성 균주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를 실내에서 조사하고 딸기, 오이, 포도에 대한 포장에서의 잿빛곰팡이병의 방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율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benomyl과 procymidone을 각각 $100{\mu}g\;a.i./ml$씩 첨가한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서 benomyl과 procymidone 살균제에 저항성 또는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저항성 균들의 포자발아는 mepanipyrim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저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포자 발아와는 대조적으로 균사의 생장은 benzimidazole 또는 dicarboximide계의 기존 다른 약제와 유사하게 억제되었다. Benomyl과 procymidone에 저항성인 분리 균주를 오이 잎에 접종한 후 mepanipyrim $250{\mu}g\;a.i./ml$을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의 침투력이 현저히 억제되었지만 benomyl과 procymidone을 처리하였을 때는 그렇지 못했다. Mepanipyrim $250{\mu}g\;a.i./ml$을 포장에서 딸기, 오이, 포도에 처리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이 현저히 억제된 것으로 나타나(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mepanipyrim이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등의 다른 살균제에 저항성인 잿빛곰팡이병원균에 의한 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