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c42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9초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타민 D 검사의 6 시그마 분석 (Six Sigma Analysis of Vitamin D Measurement Using External Quality Assessment Program)

  • 지명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1-97
    • /
    • 2020
  • 비타민 D 검사의 표준화는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 품질 평가(EQ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타민 D 검사의 시그마 메트릭스 값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그마 메트릭스는 검사기관에서 수행한 정량적 시험에 사용되며, 분석결과는 품질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 분석은 약 300개의 검사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CAP의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인 2019년 정확도 기반 비타민 D (ABVD)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CDC 표준검사기관에서 얻어진 표준 값 6개의 서로 다른 농도에서는 시그마 메트릭 값이 각각 1.00, 1.85, 2.42, 1.01, 1.54 및 0.78로 분석되었다. 평균 1.43 시그마 메트릭 값을 보여주었다. 특히, 검체 ABVD-16, 17의 결과값에서의 양성 편향은 비타민 D 측정을 위한 표준검사법인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탠덤 질량 분석(LC-MS/MS)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차이의 원인은 다양한 비타민 D 대사산물에 대한 다양한 교차 반응으로 설명된다. 검사 기관은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S-PRG filler를 포함한 치면열구전색제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특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on Streptococcus mutans)

  • 안진선;박호원;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2-311
    • /
    • 2015
  • 본 연구는 Planktonic growth inhibition test와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한 Biofilm assay를 통해 S-PRG filler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를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 불소를 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Clinpro$^{TM}$ sealant,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인 Concise$^{TM}$ sealant를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성장억제평가를 위해 치면열구전색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3개의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고, Clinpro$^{TM}$ sealant가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다.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오 필름 평가에서도 Clinpro$^{TM}$ sealant군이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군들에 비해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을 보였으며,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PRG filler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는 기존의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에 비하여 낮은 항미생물 효과와 높은 바이오 필름 형성능을 보였다.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trichloroacetic acid와 epidermal growth factor 방출이 세포골격형성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richloroacetic acid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lease on cytoskeleton gene expression using the nano-controlled releasing system)

  • 박미정;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90-299
    • /
    • 202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trichloroacetic acid (TCA) 및 epidermal growth factor (EGF)를 인간치은섬유아세포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액틴 세포골격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TCA와 EGF가 조절방출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인간치은섬유아세포에 TCA만 적용된 군(EXP1), TCA와 EGF가 적용된 군(EXP2), 대조군(CON)의 3가지 군으로 나누어 48시간 배양하였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액틴 세포골격과 관련된 유전자 26개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피어슨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유전자들의 상관관계와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액틴 세포골격과 관련된 유전자 26개 중 23개가 EXP1과 EXP2에서 상향조절되었고, 이 중 14개는 EXP1에 비하여 EXP2에서 유의미한 발현량 증가를 보였다. LPAR1은 EXP1에서만 하향조절되었고, GNA13은 EXP2에서만 상향조절되었고, F2R은 EXP2에서만 하향조절되었다. 액틴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에 대하여 Rac1관련 유전자 중 3개와 CDC42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인간치은섬유아세포의 액틴 세포골격 관련 유전자들은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조절 방출된 TCA와 EGF에 의해 대부분 상향조절되었다.

금은화와 회화나무꽃으로부터 항산화성분의 추출 :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Lonicera japonica and Sophora japonica L.: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 한경호;줘청량;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금은화와 회화나무꽃으로부터 항산화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DPPH 라디칼소거활성을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추출시간, 주정/초순수 부피비, 추출온도 등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로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금은화의 경우 최적조건은 추출시간(2.08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41.53 vol.%), 추출온도($55.08^{\circ}C$)이었으며, 이 때 수율(37.38 wt.%), DPPH 라디칼소거활성(40.37%)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회화나무꽃의 경우 추출시간(2.13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2.89 vol.%), 추출온도($50.42^{\circ}C$)에서 개별 최대값인 수율(35.43 wt.%), DPPH 라디칼소거활성(55.27%) 값을 나타내었다.

단삼이 수지상 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Extract on Gene Expression of Dendritic cells.)

  • 강문여;김종한;최정화;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2-68
    • /
    • 2008
  • Objectives and Methods :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MR) promotes blood circulation to remove blood stasis, cools the blood to relieve carbuncle, clears away heat from the heart and tranquilizes the mi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R on immuno-potentiative action in terms of changes in the genetic profile of dendritic cells (DC) using by microarray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In this experiment, treatments with more than 250 ${\mu}g/ml$ upto 1000 ${\mu}g/ml$ of SMR elevated the proliferation rates of DC. Microscopic observations confirmed the tendency on proliferation rates.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with cellular methabolic process, cell communication, and macromolecule metabolic process were elevated by treatment with SMR in comparison of functional distribution in a Biological Process. In molecular functions,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with receptor activation, nucleotide binding and nucleic acid binding were elevated. In cellular components,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cellular membrane-bound organelles were elevated. In addition,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Wnt signalling pathways and the glycerophospholipid metabolism were elevated through analysis using pathway analysis between up-and down-regulated genes in cells treated with SMR. Finally, genes related to JAK2, GRB2, CDC42, SMAD4, B2M, FOS and ESRI located the center of Protein interaction network of genes through treatment with SMR.

  • PDF

경주지역 일부 중학생의 건강관련 위험행동 (A Survey of the Health Ris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ju)

  • 한영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68-48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to develop school health policy and health promotion program. This survey measured the levels of risk behaviors in six categories in a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ju(n=490).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0. It was done using a 1999 version of the Youth Risk Behavior Survey of CDC, which was translated and make a partial modificatio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d in behaviors that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ath or illness. 1) A high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d in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unintentional injuries and school-related violence (42.1 -78%) 2)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school life are happy experienced more depression(p=.000) and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school and family life are so-and-so seriously considered attempting suicide(p = .000) than other subgroup. 3) In spite of they were normal weight, 14.5% of students considered themselves overweight. 4)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r correlation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and grade, parents educational level perception of school life and performance, perception of family life and religion. Based on this results of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hool health program and school health policy to prevent health risk behaviors and improve health promotion especia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PDF

돼지 미성숙란의 체외배양시 MAP Kinase의 활성 (Activation of MAP Kinase during Maturation in Porcine Ooctyes)

  • 장규태;박미령;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5-276
    • /
    • 1998
  •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function of MAP kinase of porcine oocytes and to develop a method of assessment for kinase activity, we used MBP as a substrate to detect the MAP kinase activity of porcine oocytes matured in in vitro. The MAP kinase which had lower activity during the first 20 hours of culture started to show an increased amount of activity at 25 hours at which a collapse in nuclear membrane was induced. Significant (P<0.05) a, pp.ared at 30 hours of being cultured. The gel phosphorylation method, MBP which has been known to be a substrate for kinase such as cdc2 kinase, was phosphorylated at two positions corresponding to ERK 1 (44kDa) and ERK2 (42 kDa) which are known as mammalian MAP kinase. The existence of MARKK and MAP kinase were identified with western blotting at 0 hour culture of immature GV oocytes. The amount of those proteins did not increase during 40 hours of culture, which suggest that the increase of MAP kinase activity was caused by phosphorylaton rather than due to change in protein amount. MAPKK and MAP kinase were shown to be dephosporylated with deactivated at M 1 stage by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with cycloheximide added at the strat following the cultrue. We have reulsts that indicate the existedence of MAP kinase cascade which was activated simultaneously with start of porcine oocyte maturation (GVBD).

  • PDF

미국에서 치아우식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불소사용의 권장사항 (Recommendations for Using Fluoride to Prevent and Control Dental Caries in the United States)

  • 박기철;김종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0권1호통권392호
    • /
    • pp.42-53
    • /
    • 2002
  • 불소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미국인들의 구강건강이 확실하게 증진되었으며 수돗물의 인공적인 불소첨가 사업은 지난 2000년 동안에 건강과학이 이룩한 가장 획기적인 건강관리 예방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음료수에 불소를 적정량 첨가하여 치아우식증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극적 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치과의학의 과학적인 연구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치과의학이 현대건강과학의 지도적 위치를 확보하는 과정에 중요한 임무를 담당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중앙건강관리 및 예방 연구소는 정기적으로 불소사용과 관련된 연구 업적들에 대하여 관련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로 하여금 조리 정연하게 주기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불소사용법에 대한 안내서를 마련하고 이다. 미국 중앙 질병 관리 및 예방연구소는 평생을 불소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11명의 전문가들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22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그 동안에 발표된 관계문헌 270개를 분석 검토하여 2년 동안에 걸쳐 작성한 최근의 불소 사용 안내서를 지난 2001년 8월 17일 발표했다. 그 내용이 중요하고 한국의 치과의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CDC의 허락을 받고 한글판을 작성하게 되었다. 한국의 관심 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분들이 실무진에 참여한 연구자들 및 과학자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책과 현재의 소속을 밝혔으며 이 안내서에 사용된 문허 270개 참고문헌 전체를 소개한다.

  • PDF

故障許容電算體系의 設計와 信賴度

  • 조정완
    • 정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2-49
    • /
    • 1983
  • 전산기의 신뢰도(reliability)라 함은 사용자가 제출한 입력에 대하여 전산 기가 제공하는 결과의 신빙성의 척도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주어진 전산기의 부 분품 하나하나가, 그리고 프로그램의 하나하나의 instruction이 설계당시에 목적한 성능을 얼마나 잘 유지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척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신 뢰도는 전산기의 수명, 필요할 때 전산기가 가동할 확율, 또는 전산기의 성능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제2세대 이전의 전산기들에서는 전자공업과 전산기 기술의 불충분한 발전으로 인하여 비용과 기계의 크기의 한정 때문에 신뢰도 향상을 위 한 대책이 거의 없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볼 수 있는 American Air Line의 SABRE(Semi Automatic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 Bell 전화 연구소의 ESS-I, II, III(Electronic Switching System), IBM의 FMS(Future Manufacturing System)과 같은 real-time 씨스템으로서의 응용분야의 개발은 상 당히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그러나 전자공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금세대의 범용전산기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고, 오퍼레이팅 씨스템의 발전으로 인하여 multiprogramming, time-sharing, real-time 씨스템 등의 응용분야의 개발이 활발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응용분야의 활발한 개발과, 대규모 집적회로 (LSI)의 개 발로 ROM(Read Only Memory)의 가격화, 그리고 microprogram의 보급 등으로 특수 목적의 time sharing operation을 위한 소형 전산기가 발전하게 되었으며 종 래의 범용 전산기 대신에 CDC의 string unit과 pipeline을 이용한 STAR 100과 일리노이 대학의 256processor와 Burrough의 B6500로 구성된 ILLIAC-IV와 같은 초대형 전산기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Knockdown of Pyruvate Kinase M Inhibits Cell Growth and Migration by Reducing NF-κB Activity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 Ma, Chaobing;Zu, Xueyin;Liu, Kangdong;Bode, Ann M.;Dong, Zigang;Liu, Zhenzhen;Kim, Dong J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9호
    • /
    • pp.628-636
    • /
    • 2019
  • Altered genetic features in cancer cells lead to a high rate of aerobic glycolysis and metabolic reprogramming that is essential for increased cancer cell viability and rapid proliferation. Pyruvate kinase muscle (PKM) is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final step of glycolysis. Herein, we report that PKM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cells. We found that PKM1 or PKM2 is highly expressed in TNBC tissues or cells. Knockdown of PKM significantly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nd strongly reduced S phase and induced G2 phase cell cycle arrest by reducing phosphorylation of the CDC2 protein in TNBC cells. Additionally, knockdown of PKM significantly suppressed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activity by reducing the phosphorylation of p65 at serine 536, and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F-{\kappa}B$ target genes. Taken together, PKM is a potential target that may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TNB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