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pase-9

검색결과 647건 처리시간 0.04초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thepsin B의 영향 (Cathepsin B Is Implicated in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Macrophage)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5-252
    • /
    • 2020
  • 대식세포사멸은 죽상판 형성에 영향을 미쳐 죽상동맥경화증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지방 역시 죽상동맥경화 발병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 본 연구팀에서는 중성지방이 대식세포사멸을 유발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thepsin B가 중성지방에 의해 유발되는 대식세포사멸 과정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THP-1 대식세포에 중성지방 처리 시 cathepsin B의 발현량에는 변화가 없고 리소좀에 있던 cathepsin B가 세포질로 방출되어 세포질의 cathepsin B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cathepsin B 억제제인 CA-074 Me를 처리 시 중성지방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사멸이 일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서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사멸이 caspase-1, -2 및 apoptotic caspase 활성화를 매개로 일어남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aspase 활성 경로와 cathepsin B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cathepsin B 억제시 caspase-7, -8 및 -1의 활성은 억제되었으나, caspase-3, -9 및 -2는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중성지방에 의해 세포질로 방출된 cathepsin B는 caspase-1 활성화에 기여하고, 활성화된 caspase-1은 외인성 apoptotic caspase 경로를 활성화하여 THP-1 대식세포 사멸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old Nanoparticles Induce Apoptosis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 Selim, Manar E.;Hendi, Awatif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617-1620
    • /
    • 2012
  • Background: Gold nanoparticles have recently been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bio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ir interactions with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duction by well-characterized gold nanoparticles in human breast epithelial MCF-7 cells. Methods: Apoptosis was assessed by TUNEL, cytotoxicity by MTT assay and caspase 3, 9, p53, Bax and Bcl expression by real-time PCR assays. Results: Gold nanoparticles at up to $200\;{\mu}g/mL$ for 24 hours exerted concentration-dependent cytotoxicity and significant upregulation of mRNA expression of p53, bax, caspase-3 & caspase-9, whereas expression of antiapoptotic bcl-2 was down-regulated. Conclus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showing that gold nanoparticles induce apoptosis in MCF-7cells via p53, bax/bcl-2 and caspase pathways.

난소절제 흰쥐의 대동맥에서 이소플라본 섭취와 규칙적 운동에 따른 Apoptosis의 변화 (Change of Apoptotosis on Isoplavone Diet and Regular Exercise in Aorta of Ovariectomized Rats)

  • 이진;조형숙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9-11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 combined treatment consisting of an isoflavone diet and aerobic exercise on the Caspase 9 levels, and Bcl-2 levels during menopause, using 30 S.D ovariectomized rats as a model, over 12 weeks. The ovariectomized rats were divided into 4 experiment groups, with 8 rats in each group, as follows: (1) General diet group (GD, n=8), (2) Isoflavone diet group (ID, n=8), (3) General diet + Exercise group (GEX, n=8), (4) Isoflavone diet + Exercise group (IEX, n=8).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mbined treatment consisting of an isoflavone diet and regular exercise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caspase-9 proteins (p<0.05),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s (P<0.001). In addition, apoptotic cells were more decreased (p<0.001) in GEX and IEX group. This also suggests that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might be prevented or inhibited to exert positive apoptotic inhibitory effects by increasing Bcl-2 protein expression within aortic tissues during vascular movement and decrease caspase-9 protein.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재배 와송의 세포 사멸 유도 효과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 김재용;정은정;원영선;이주혜;신동영;서권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7-323
    • /
    • 2012
  •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SW480 대장암세포에서 재배 와송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그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와송은 천연 와송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농도 300 ${\mu}g$/mL의 재배 와송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 보다 더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배 와송 메탄올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물,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 중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는 Sub-G1기의 함량 증가와 핵의 응축 및 apoptotic bodies 생성 그리고 DNA 분절을 통해 나타났다. 한편,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caspase 활성은 caspase inhibitor 처리군에서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가 확연히 저해됨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caspase 활성 중 caspase-3 및 -9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인 Bid, Bcl-2 및 PARP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tBid 및 Bax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 결과,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은 유사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재배 와송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caspase 의존적인 경로를 통해 apoptosis를 일으켜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에서 VEGF, p53, Apaf-1 and Caspase-9의 발현 (Expression of VEGF, p53, Apaf-1 and Caspase-9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이성학;강여주;조의주;이연수;강창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7-113
    • /
    • 2012
  • 배 경 편평상피암은 두경부의 악성종양 중 가장 흔하며, 임상적인 경과가 불량하다. 따라서 나쁜 예후를 가지는 환자군을 조기에 선별하여 더 적극적인 치료의 시행을 결정짓는 표지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우리는 일련의 두경부 편평세포암 검체에서 몇몇 분자 표지자의 예후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3예의 두경부 편평세포암 검체를 대상으로 VEGF, p53, Apaf-1, caspase-9의 발현과 몇몇 임상병리학적 지표들간의 연관성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환자군은 남성이 더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63.7세였다. 1기가 5예, 2기가 2예, 3기가 8예, 4기가 8예였다. 평균생존기간은 37.3개월이었다. VEGF단백 발현은 종양의 크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VEGF단백 발현은 병기, 그리고 림프관 침습과 연관적인 경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VEGF단백 발현과 생존기간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Apaf-1과 caspase-9의 단백발현은 다른 임상지표, 환자의 생존기간과는 관련이 없었다. 결 론 VEGF단백 발현은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나쁜 임상경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표지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에서 별로 연구되지 않은 Apaf-1과 caspase-9의 발현상태를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Quinacrin Induces Cytochrome c-dependent Apoptotic Signaling in Human Cervical Carcinoma Cells

  • Fasanmade, Adedigbo A.;Owuor, Edward D.;Ee, Rachel P.L.;Qato, Dima;Heller, Mark;Kong, Ah Ng Tony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26-135
    • /
    • 2001
  • Quinacrine (QU), a phospholipase-A2 (PLA-2) inhibitor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 chemotherapeutic adjuv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leading to its chemotherapeutic effect, we have investigated QU-induc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in human cervical squamous carcinoma HeLa cell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QU induced cytochrome c-dependent apoptotic signaling. The release of pro-apoptotic cytochrome c was QU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and preceded activation of caspase-9 and -3. Flow cytometric FACScan analysis using fluorescence intensities of $DiOC_6$/ demonstrated that QU-induced cytochrome c release was independent of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MPT), since the concentrations of QU that induced cytochrome c release did not alter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blacktriangle}{\Psi}_m$). Moreover, kinetic analysis of caspase activities showed that cytochrome c release led to the activation of caspase-9 and downstream death effector caspase-3, Caspase-3 inhibitor (Ac-DEVD-CHO) partially blocked QU-induced apoptosi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aspase-3 in this apoptotic signaling mechanism. Supplementation with arachidonic acid (AA) sustained caspase-3 activation induced by QU. Using inhibitors against cellular arachidonate metabolism of lipooxygenase (Nordihydroxyguaiaretic Acid, NDGA) and cyclooxygenase (5,8,11,14-Eicosatetraynoic Acid, ETYA) demonstrated that QU-induced apoptotic signaling may be dependent on its role as a PLA-2 inhibitor. Interestingly, NDCA attenuated QU-induced cytochrome c release, caspase activity as well as apoptotic cell death. The blockade of cytochrome c release by NDCA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that attained with cyclosporin A (CsA), a MPT inhibitor. ETYA was not effective in blocking cytochrome c release, except under very high concentrations. Caspase inhibitor z-VAD blocke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suggesting that this signaling event is caspase dependent, and caspase-8 activation may be upstream of the mitochondrial events. In summary, we report that QU induced cytochrome c-dependent apoptotic signaling cascade, which may be dependent on its role as a PLA-2 inhibitor. This apoptotic mechanism induced by QU may contribute to its known chemotherapeutic effects.

  • PDF

Exogenous Morphine Inhibits Human Gastric Cancer MGC-803 Cell Growth by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duction

  • Qin, Yi;Chen, Jing;Li, Li;Liao, Chun-Jie;Liang, Yu-Bing;Guan, En-Jian;Xie, Yu-B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377-1382
    • /
    • 2012
  • Morphine is not only an analgesic treating pain for patients with cancer but also a potential anticancer drug inhibiting tumor growth and proliferation. To gain better insight into the involvement of morphine i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we investigated effects on progression of gastric carcinoma cells and the expression of some apoptosis-related genes including caspase-9, caspase-3, survivin and NF-${\kappa}B$ using the MGC-803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The viability of cells was assessed by MTT assay, proliferation by colony formation assay, cell cycle progression and apoptosis by flow cytometry and ultrastructural alteration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influences of morphine on caspase-9, caspase-3, survivin and NF-${\kappa}B$ were evaluated by semi-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 Our data showed that morphine could significantly inhibit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and cause cell cycle arrest in the G2/M phase. MGC-803 cells which were incubated with morphine also had a higher apoptotic rate than control cells. Morphine also led to morphological changes of gastric cancer cells. The mechanism of morphine inhibiting gastric cancer progression in vitro might be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caspase-9 and caspase-3 and inhibition of survivin and NF-${\kappa}B$.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기전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김은지;이용진;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6-523
    • /
    • 2006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한랭한 삼림지대에서 자라는 자작나무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항종양 및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차가버섯의 항암기전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대장암에서 유래한 HT-29 세포를 사용하여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차가버섯을 열수추출하여 냉동 건조하여 얻은 물추출물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100{\mu}g/m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차가버섯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다. 차가버섯 물추출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DNA합성은 감소하였고, apoptotic cell의 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Apoptosis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으나, cleaved caspase-8, -9, -3의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증가하였다. Caspase-8, -9, -3의 활성도 모두 차가버섯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spase-3의 표적 단백질로 세포의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PARP단백질의 분해도 차가버섯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차가버섯 물추출물이 DNA합성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하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 경로의 활성을 증가하므로써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차가버섯 물추출물을 대장암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CT-26 대장암 세포에서 Dominant Negative ATM 유전자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자멸사의 경로 (Apoptotic Pathway Induced by Dominant Negative ATM Gene in CT-26 Colon Cancer Cells)

  • 이정창;이호근;김선영;이대열;황평한;박진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79-686
    • /
    • 2003
  • 목 적 : AT는 드물게 발생하는 상염색체성 열성질환으로, 소뇌의 퇴화에 의한 운동장애와, 암 발생의 소인이 증가하는 등 많은 임상적 징후가 보인다. AT 질환을 유발하는 ATM 유전자는 DNA 손상시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시키지 못하며, 방사선 조사 후 세포 생존력을 유지시키지 못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에 DN-ATM 유전자를 발현시켜 AT 세포의 표현형으로 변화시킨다면, 이러한 암세포는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멸사가 훨씬 더 증가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ATM 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DN-ATM이 발현되는 CT-26 대장암 세포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 후에 유도되는 세포자 멸사 경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DN-ATM 아데노바이러스(Ad/DN-ATM)와 표식 유전자 GFP만을 함유한 대조 아데노바이러스(Ad/GFP)를 제작하여 CT-26 세포에 감염시켰다. DN-ATM이 발현되는 CT-26세포에서 방사선 조사로 유도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3H$]-thymidine assay, DNA fragmentation, 및 Western immunoblot analysis으로 실험하였다. 결 과 : 실험 결과에서 방사선 조사 후 세포의 성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CT-26 대장암 세포가 AT 환자에서 보여지는 표현형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다. 방사선 조사 후 시간이 지날수록 Bcl-2의 발현이 감소되고, Bax의 발현이 증가하며, caspase 9, caspase 3 및 PARP가 활성화되었다. 결 론: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DN-ATM이 발현되고 있는 CT-26 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야기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미토콘드리아를 통하여 caspase 9, caspase 3와 PARP의 활성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자멸사임을 시사한다.

Epigallocatechin Gallate가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Apoptosi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홍은정;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14-1119
    • /
    • 2008
  • ECCG는 녹차 카테킨의 주요 성분으로 항산화작용으로 인한 항암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EGCG가 전이성이 강한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의 세포사멸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유방암 세포 배양액에 EGCG를 0, 5, 10, $20\;{\mu}M$로 첨가시켜,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단백질과 mRNA 발현, caspase-3 활성을 관찰하였다. EGCG 첨가 농도가 $5\;{\mu}M$ 이상부터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인 bax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EGCG 첨가에 따라 bcl-2/bax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사멸의 마지막 단계인 caspase-3의 활성은 EGCG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이성이 강한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에서 EGCG는 암세포에서 bcl-2의 발현은 억제시키고 bax의 발현은 증가시키며, caspase-3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