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rient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8초

학습지향성 및 혁신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혁신성의 매개효과와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Orientation, Innova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ntrepreneu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levance)

  • 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59-174
    • /
    • 2022
  • 창업자는 가시적 경영성과를 내기 위해 오랫동안 인적, 물적 자원과 자본을 지속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따라서, 창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난관과 어려움 속에서도 창업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열성을 가지고 창업에 몰두하는 조직몰입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창업자의 조직몰입은 조직화, 창업기업설립, 신제품 개발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학습지향성 및 혁신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혁신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학습지향성, 혁신성, 경력연관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자의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혁신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학습지향성과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과 경력연관성의 상호작용항이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경력연관성이 평균보다 높은 조건에서 학습지향성의 혁신성에 대한 영향이 더욱 증대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과 경력연관성의 상호작용항이 마찬가지로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는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는 학습지향성과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가 혁신성을 매개로 하여 나타난 간접적 효과라는 것이다.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Preparation of Old Ag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Effects of Moder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 김은경;김종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27-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창업가의 개인 경력지향성,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잠재적 창업가들이며, 총 408명의 표본을 분석자료로 활용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온라인 구글 설문방법과 오프라인인 면대면 설문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지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혁신지향성과 사업지향성, 자율지향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안정지향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의지에 대하여 조력과 롤모델 모두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지향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안정지향성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노후준비도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Comparison on the Vocational Values and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between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 김수겸;유미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222-12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영재학급 과학영재 학생, 일반학급 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를 비교하고,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영재학생 85명, 일반학생 139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은 11개의 영역 중에서 다양성, 보수, 사회적 인정, 자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과 자율성에서는 과학영재 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보수와 사회적 인정에서는 일반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의 전체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도 유의미하게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이 성별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다양성, 보수, 안정성, 사회적 인정, 자율성 영역에서는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성별의 차이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과학 진로지향도의 4개 하위영역에서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서는 '과학 진로 선호도' 영역에서만 주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진로지향도 전체 및 3개 하위영역에서 집단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s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Business Sustainability

  • LEE, Woo-Seung;KIM, Bo-Yo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4호
    • /
    • pp.235-248
    • /
    • 2019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career orientation factors of startup entrepreneurs affect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s well as business sustainability. We propose directions for startup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defined the career orientation of entrepreneurs through the five orientation factors of security, autonomy, technical competence, managerial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creativity. We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or business sustain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We surveyed startups in Korea using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282 points of survey data.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managerial competence of the members of a startup can play an important role withi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business sustainability. Both autonomy and technical competence exhibited no effect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business sustain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entrepreneurship, while security showed a negative effect. In order to improve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achieve business sustainability, we confirmed that it was more important for startups to consider the creativity and business management competences of entrepreneurs rather than pursue business security or have a technology-oriented attitude.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관행과 조직시민행동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Effe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 이재훈;서대석;강영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3-77
    • /
    • 2011
  •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whethe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it also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samples are from five Veterans Hospital and of 344 questionnaires collected, 311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18.0) and AMOS(16.0) were employed to describe data and test hypothe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and hiring manage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le only education and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results reveal that career management and hiring management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while on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it is also foun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at between hiring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a full mediator between career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hiring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cause there is no direct effect of career management and hiring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However, results show that an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es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customer orientation.

  • PDF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 이민선;이윤정;문희강;이예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70-1879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 increasing rates of youth unemployment, preparing college students for their future career and guiding them in making career decision is imperati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otivation orientation were considered as influencing factors, as well a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to 282 students majoring Clothing and Textiles at seven universities and 27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asured respondents' major satisfaction, motivational orienta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demographics (gender, age, school and department names, class standing, expected graduation date,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GPA). Descriptive statistics,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Duncan multiple comparis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othing and Textiles major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ir major, but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female than male students.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were less likely to feel anxious about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Motivation group and the Intrinsic-Motivation group showed lower anxiety over career decision-making compared to Low-Motivation and Extrinsic-Motivation group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llege advisors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influencing factors.

Young Men's Choice of Fashion as a Career Path: "Seekers" and "Settlers"

  • Karpova, Elena;Lee, Juyoung;Garrin, Ashley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6권2호
    • /
    • pp.1-16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men's choice of fashion as a college major and, subsequently, a non-traditional career path. Such investigation is importan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tives and processes of selecting a non-traditional college major and subsequent career path. This research consulted several theoretical frameworks to guid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and help interpret the findings of the study. Specifically, our study builds upon Holland's trait theory (1982), Gottfredson's (1981) circumscription theory, Farmer's (1985) model of career motivation, and Simpson's (2005) typology of men's non-traditional career entry. A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explore men's experiences of selecting fashion as an academic major in college and deciding to pursue a career in the traditionally female-dominated field. Following the analysis of 22 individual interviews with male upperclassmen majoring in fashion, three topical areas emerged and we proposed a model of male students' path to a non-traditional college major. The model explains male students' dynamics of entering a non-traditional college major, the role of personal and social factors in the decision process as well as the role of future career orientation when choosing to study fashion as an academic major.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ustomer Orientation by Service Career of Security Agents)

  • 김의영;이준우;조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269-293
    • /
    • 2013
  • 시큐리티 산업의 질적 향상은 시급하다. 고객과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표현이 시큐리티 산업을 전반적으로 평가될 수 있거나 자신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고객 요구에 대한 감정조절이 무엇보다 필요한 직업군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조절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시큐리티 요원의 서비스 교육에 유효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및 충남 소재의 시큐리티 회사의 요원을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7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조사도구는 국내 외 선행연구를 기초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은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경력이 차이를 보였다. 즉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고객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력이 낮은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노동을 조절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신입사원의 감정노동은 근무환경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DF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결정요인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eterminant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Students)

  • 이지석;속대붕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2호
    • /
    • pp.65-8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력지향성, 사회문화적 요인, 자기권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첫째, 경력지향성에서 기술지향성, 안정지향성, 자율지향성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사업지향성에서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적 요인 중 기업이미지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수준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한국 대학생이 중국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력지향성 변수 중에서 사업지향성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이 있었고, 안정지향성에서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으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권능감과 기업이미지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환경(가설 2-2)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가설이 기각된 반면에,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병원설립주체별 간호조직건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Customer Orientation by the Hospital Ownership)

  • 이규희;오창석;조경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69-79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rganizational health has on customer orientation by hospital ownership.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a public hospital, private hospital, and religious hospital, respectively, during March 2014 and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 The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 of organizational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ublic hospital compared to the private hospital. The reliability factor of customer organ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ublic hospital and religious hospita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rivate hospital. For reactivity, the religious hospit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private hospital. A positive influence was shown in the vitality factor at the public hospital, and community orientation at the private hospital, while both community orientation and career showed effects at the religious hospital. ICU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at the private hospital. Conclusions : The reason vitality had a relatively more import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the public hospital was due that age group of 20~29 was the dominant socio-demographic factor.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community orientation on customer orientation in the private hospital and religious hospital may be related to the nurses' ca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