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Mak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3초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규범적 진로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진로의사 결정에서의 우연의 영향 (The Critics on the Normative Career Development Theory)

  • 송병국;이채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329-337
    • /
    • 1997
  • Normative models for explan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re not sufficient to enable the career counselor to help a client understand and influence the factors affecting his career. Actually, the particular people and life events that are unpredictable and subject to chance often influence on career behavior. Therefore, it is needed the development of a models of career decision-making that recognizes both normative and chance influences. The focus in this article is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within various lift contexts and the recognition that individuals may prepare themselves to use unexpected opportuniti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 PDF

한국폴리텍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 Polytechnics Students)

  • 김문희;김봉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73-482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폴리텍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상담과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폴리텍대학 II대학 I캠퍼스에 재학 중인 11개 학과 총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폴리텍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각 변인 들 간의 상호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한국폴리텍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폴리텍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한국폴리텍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폴리텍대학생 주변의 사회적 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내적 요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모 지지와 고등학생 진로발달과의 관계 연구 - 일반계, 산업정보계, 실업계의 비교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이광자;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e data was gathered from 1,468 students in 15 classes(different divisions) at 9 high schools (3 Academic high schools, 3 Industrial technology schools, 3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by gender. 2. As for the division factor, the recognition level of parental supports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and the average of their career development level was also higher. 3. As for the division factor, the recognition level of parental supports was most highest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other groups and the average of their career development level was also the highest.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suppor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5 As for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on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other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The $R^2$ value was weak but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Motivation in Obtaining a Certificat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With a Focus on Landscape Technicians-

  • Iee Chen Oh;Yong Jo Ju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585-593
    • /
    • 2023
  • This study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landscape technicians by, assessing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that aligns with the needs of the 21st-century environment, distinct from the industrialization era, It, provides basic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multi-dimens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motivation for a certificat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a demand for the certificate in the structural aspect.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 comprehensive analysis involving frequency assessm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study found differences according to particpants' divers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place of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a certificat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in the context of structural relations. The study findings on the relations between motivation for obtaining a certificat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monstrate that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efforts to obtain a certificate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people hoping to become landscape technicians.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신윤정;전주람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05-13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어려움 세 변인간의 구조적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2명을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 어려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결정 어려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를 진로자기조절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더 자료에 부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가족건강성이 미치는 직 간접적인영향력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진로상담시, 가족환경에 대한 탐색 뿐 아니라 진로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외식조리 관련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분석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교를 중심으로 - (Th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oodservice and Culinary Arts Majors - Focused on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정양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8-2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조리 관련 학과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3개 대학의 외식 조리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25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33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17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를 준비하기 위하여 진로탐색, 정보수집, 체험활동 및 취업준비 노력이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전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년에 따른 구조화된 진로교육의 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김남석;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11-21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3,4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3.55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52점, 진로정체감은 2.64점이었다. 진로정체감과 셀프리더십(r=.40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5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6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어머니의 가정내 변혁적리더십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적복지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 김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4호
    • /
    • pp.149-1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liberal arts in Seoul. 4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March 11 through 18, 2010. Among them, 386 completed surveys were utilized as the data for the statistic analyses. SPSS were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children of mothers with leadership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from families of mothers without leadership. This has been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children according to their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Second, the adolescent group with mothers who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managing the home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e group without such mothers. This was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adolescent childr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vel in the famil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 positive relations by group. That is, adolescents living table lives are more positive about their future. Lastly, when compar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has gained more credibility as stage ads. Based on the results, when mothers nurture children with a affection-based autonomy, children gain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leads to firm beliefs about constructive futures. Therefore, for successful and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CE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serve as its found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