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endazim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4초

농협에서 실시한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 대상 농약 잔류량 조사결과의 최근 4년간 현황 분석 (Analysis of Recent Four Years Situation for Pesticide Residues in the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nalyz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 김형국;최동선;김성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82
    • /
    • 2013
  • 본 연구는 2009년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농협중앙회를 통해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인증을 받은 농산물의 농약잔류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류농약다성분분석법에 따라 GC(ECD, NPD)와 HPLC를 이용하여 283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6,590점의 GAP 인증 농산물을 분석한 결과 잔류농약의 검출율은 2009년, 20.27%, 2010년, 23.42%, 2011년, 28.07% 및 2012년, 31.75%였으며, 부적합율은 2009년, 2.25%, 2010년, 1.82% 2011년, 1.67% 및 2012년, 3.47% 로 나타났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carbendazim 등 12종 이었고, 미적용 농약 사용으로 인한 부적합 성분은 endosulfan을 비롯하여 40종 이었다. 대부분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나타났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보이지만 딸기에서 검출된 endosulfan 과 같이 해당작물에 대한 등록되지 않은 농약사용으로 인한 부적합이 127건, 사과에서 검출된 carbendazim 같이 허용기준 초과로 인한 부적합이 총 25 건이 발생하여 향후 GAP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농약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Mancozeb 및 Propineb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o Benzimidazoles, Mancozeb and Propineb)

  • 임태헌;최용화;이동운;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carbendazim, thiophanate-methyl, mancozedb 및 propineb 등 총 4종의 살균제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ell}$)과 thiophanate-methyl($750{\mu}g/m{\ell}$)에 대하여 90%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68.2와 35.5%로 나타났으며 두 약제 사이의 교차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862$). Mancozeb와 propineb에 대하여 91%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각각 90%과 53.6%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약제가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0174$). 시험에 사용한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mancozeb와 propineb 사이의 교차 저항성은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에서 분리한 잎마름병균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와 포장 방제 (Changes in Sensitivity Levels of Botrytis spp. Population Isolated from Lily to Fungicides and Control under Field Condition)

  • 함수상;경기천;김병련;한광섭;최종진;남윤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7-11
    • /
    • 2013
  • 국내 나리 주산단지에서 분리한 Botrytis elliptica 48개 균주와 Botrytis cinerea 23개 균주를 대상으로 농가포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에 대한 약제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살균제 benomyl과 mancozeb에 대한 $EC_{50}$ 값은 $500-1,000{\mu}g/ml$로 시험에 사용된 모든 약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약제들은 나리재배 포장에서 잎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나리 재배농가에서 잎마름병 방제약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carboximide계 procymidone 살균제와 iprodione 살균제의 경우, $EC_{50}$$5-50{\mu}g/ml$은 각각 93.7%와 100%이었고,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와 fludioxonil 살균제의 $EC_{50}$$0-0.1{\mu}g/ml$ 범위는 각각 98.0%와 93.8%이었다. 한편, 비가림 포장 재배에서의 잎마름병 방제 효과는 발병 직후 iprodione 약제,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 fludioxonil 약제를 교호적으로 4회 살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각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바나나 중 농약 잔류 실태 조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in banana from international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ata)

  • 김서홍;김정아;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9-22
    • /
    • 2020
  •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바나나 중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출 농약, 검사 건수, 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량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바나나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검출된 농약은 총 109종이었으며, 전체 검사 건수는 206,894건이었다. 이 중 9,483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 검출률은 4.58%였다.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및 thiabendazole 등 이었으며, 이 농약들의 검출률은 10.62-24.62% 범위였다. Chlorpyrifos가 검출 건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및 carbendazim 순이었다. EU, 일본, 미국, 영국 및 대한민국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각각 85, 57, 23, 18 및 8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bifenthrin 및 chlorpyrifos는 모든 국가의 모니터링에서 검출되었다. 코스타리카 및 에콰도르산 바나나에서 각각 14 및 12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Imazalil 및 thiabendazole은 각각 16 및 11개 원산지에서 검출되었다. Myclobutanil 및 iprodione은 각각 4 및 2개국산에서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및 bifenthrin은 코스타리카산 바나나에서 각각 11.8 및 9.8% 검출 건수를 보였고, azoxystrobin의 검출률은 콜롬비아산에서 19%였다. 벨리즈산,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chlorpyrifos는 각각 22.7, 13.3 및 10.8%의 검출률을 보였고,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myclobutanil의 검출률은 각각 17.9 및 10.4%였다.

토양 column을 이용한 토성 및 자갈함량별 농약 이동특성 (Mobility of pesticides in different soil textures and gravel contents under soil column)

  • 이상민;김성수;박동식;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0-337
    • /
    • 2005
  • 토성(미사질식양토, 태백; 사양토, 횡성; 양토, 춘천) 및 자갈 함량(0%, 20%, 40%, 60%)에 따라 7종 (carbendazim, carbofuran, chlorpyrifos, cypermethrin, dimethomorph, diniconazole, endosulfan)의 농약을 토양 컬럼에 처리한 후 증류수로 담수상태를 유지하며 수거한 용탈수와 용탈수 수거 후 채취한 토양 중 농약 잔류량을 파악하여 수계 및 토양으로의 농약 이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토성 별 용탈수 중 농약은 수용해도가 가장 높은 carbofuran이 세 토양 모두에서 총 검출량의 87% 이상 초기 $2{\sim}4$ L 채취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토양중 carbendazim과 carbofuran을 제외한 5종의 농약 검출량은 미사질식양토 > 양토 > 사양토 순이었다. 컬럼의 상, 중 및 하단의 토양 중 농약 검출량은 carbofuran을 제외한 6종의 농약이 clay 함량이 유사한 미사질식양토 및 양토의 컬럼 상단에서 $50{\sim}92%$ 수준으로 검출되는 경향을 보여 수계로의 농약 이동성 및 토양잔류성은 각 농약의 수용해도와 토양 중 clay 함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갈함량에 따른 농약의 잔류경향은 토성별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동특성 또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자갈함량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이동 속도 증가와 함께 시간당 농약의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상주 지역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균주들의 방제 약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everal Fungicid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s Obtained from Persimmons in Sangju)

  • 임태헌;최용화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99-102
    • /
    • 2006
  • 상주 지역의 곶감용 감 생산 농가의 과수원으로부터 채집한 탄저병 감염 부위로부터 90 개의 감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을 분리하였다.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약제 (thiophanate-methyl, carbendazim), 3 종의 egosterol 합성 저해제 (difenoconazole, myclobutanil, tebuconazole) 및 4 종의 보호 살균제 (propineb, mancozeb, chlorothalonil, dithianon) 등 총 9 종의 살균제에 대하여 분리한 균주들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상용농도로 약제가 첨가된 배지에서 대조구 대비 균사생육지수를 평가함으로서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l$)과 thiophanate-methyl($750{\mu}g/ml$) 에 대한 반응은 각각 82%와 78%의 균주가 0.1 이하의 대조구 대비 균사생육지수를 보였다. 모든 실험 대상 균주는 myc1obutanil($40{\mu}g/ml$)과 tebuconazole ($75{\mu}g/ml$)이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difenoconazole($50{\mu}g/ml$)이 첨가 배지에서는 단지 l 균주만이 0.03 의 대조구 대비 균사생장지수를 보였다. 4 종의 보호 살균제 중 propineb($1,500{\mu}g/ml$) 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카벤다짐 분석 (Determination of Carbendazim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 황래홍;이성득;김정곤;김지영;박소현;김지혜;박정현;한창호;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46
    • /
    • 2017
  • LC-MS/M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밀한 카벤다짐 분석법을 연구하였다. 농산물 중 카벤다짐은 acetonitrile로 추출한 후 SPE cartridge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최소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1과 0.004 mg/kg이었다. 농산물에 각각 1.0 mg/kg 및 0.02 mg/kg 농도의 카벤다짐을 첨가하여 분석 시 회수율과 정밀성은 각각 상추가 84.9%, 1.0% 및 87.8%, 3.8% 얼갈이배추가 83.4%, 1.5% 및 86.8%, 2.7% 양배추가 86.4%, 2.0% 및 77.3%, 1.5% 근대가 83.3%, 0.2% 및 86.8%, 2.0 % 이었으며, 콩나물은 85.9%, 3.0% 및 90.1%, 1.3%, 그리고 숙주나물이 83.3%, 2.0% 및 85.9%, 1.9% 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시험법은 식품공전의 다성분분석법에 비해 신속하고 정밀한 분석법으로 농산물에 대한 카벤다짐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Survey of Fungicide Resistance for Chemical Control of Botrytis cinerea on Paprika

  • Yoon, Cheol-Soo;Ju, Eun-Hee;Yeoung, Young-Rog;Kim, Byung-Sup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447-452
    • /
    • 2008
  • Four hundred and sixty six isolates of B. cinerea were obtained from infected leaves, stems and fruits of paprika grown in greenhouses or plastic film houses in Gangwon province, Korea, between August and November in 2006 and 2007. These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five representative phenotypes of resistant (R) and sensitive (S) reactions as SSR, SRR, RSS, RRS and RSR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isolates against benzimidazole, dicarboximide and N-phenyl-carbamate fungicide in order. The percentage of five phenotypes were 51.3, 2.4, 35.6, 8.1 and 2.6%, respectively. The SSR phenotype (51.3%)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nineteen fungicide products evaluated to compare their efficacy against gray mold pathogen on the paprika fruit inoculated with fungal mycelia, the mixture of diethofencarb and carbendazim was the most effective followed by iprodione, boscalid, the mixture of iprodione and thiophanate-methyl, fludioxonil, polyoxin-B, fluazinam, the mixture of tebuconazole and tolyfluanid and procymidone; while in the assay methods inoculated with fungal spores, the mixture of tebuconazole and tolyfluanid was the most effective in controlling gray mold followed by boscalid, fludioxonil, the mixture of diethofencarb and carbendazim and the mixture of pyrimethanil and chlorothalonil.

Distribution of Monilinia fructicola Isolates Resistant to Dicarboximide or to both Procymidone and Carbendazim in Korea

  • Cha, Byeong-Jin;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46-50
    • /
    • 2003
  •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Monilinia fructicola to dicarboximides used in controlling brown rot of peach,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commercial peach orchards in Chochiwon (CH), Chongdo (CD), Gyeongsan (GY), and Youngduk (YO) in Korea. The population shift of dicarboximide-resistant isolates of M. fructicola was investigated for 3 years starting 1998. The frequency of procymidone-resistant isolates (PRI) was higher in CD and GY than in CH and YO. The frequency of PRI was higher in the mid season (July-August) than in the rest of the year. Cross-resistance rate of PRI to iprodione was over 87.8%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double-resistance to both procymidone and carbendazim was less than 10%. However, the rate of cross-resistant isolates to vinclozolin was low. In the orchards in GY and CH without any fungicide spray, the PRI population was persistent and did not vary for 3 years. The results suggest that dicarboximide resistance of M. fructicola could be a problem in controlling brown rot and blossom blight on peach trees because it may take a long time to recover the population with sensitive isolates even in the absence of these fungicides.

Isolation, Regeneration and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Pleurotus pul-monarius and Pleurotus florida

  • Eyini, M.;Rajkumar, K.;Balaji, P.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73-78
    • /
    • 2006
  •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pulmonarius and P. florida was attempted through PEG-induced protoplast fusion to select a fusant. The protocol for protoplast release, regeneration and fusion in these two Pleurotus species was standardized using the variables controlling the process. The mixture of mycolytic enzymes, i.e. commercial cellulase, crude chitinase and pectinase, KCl (0.6 M) as osmotic stabilizer, pH 6 of the phosphate buffer and an incubation time of 3 hours resulted in the maximum release of protoplasts from 3-day-old mycelia of P. florida ($5.3{\sim}5.75{\times}10^{7}$ protoplasts/g) and P. pulmonarius ($5.6{\sim}6{\times}10^{7}$ protoplasts/g). The isolated protoplasts of P. florida regenerated mycelium with 3.3% regeneration efficiency while P. pulmonarius showed 4.1% efficiency of regeneration. Polyethyleneglycol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these two species resulted in 0.28% fusion frequency. The fusant produced fruiting bodies on paddy straw but required a lower temperature of crop running ($24{\pm}2^{\circ}C$) than its parents which could fruit at $28{\pm}2^{\circ}C$. The stable fusant strain was selected by testing for the selected biochemical markers i.e. Carbendazim tolerance and utilization of the lignin degradation product, vanil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