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ker diseas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

배 화상병 종합적 방제를 위한 Maryblyt 활용 방안 연구 (A Maryblyt Study to Apply Integrated Control of Fire Blight of Pears in Korea)

  • 남궁경봉;윤성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5-317
    • /
    • 2022
  • 배 화상병의 성공적 방제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 발병지와 남부지방의 미발병 주산지 주요지점 25곳에 대한 Maryblyt를 구동하여 꽃감염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최근 5년 중 2019년과 2022년 개화기간 중 꽃감염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한편, 개화기간 중 최적의 꽃감염 방제 처리는 High 경보 다음날에 방제하고, 강우예보를 발령한 전날 방제하는 처리가 배 꽃감염을 낮추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월동 궤양으로부터 활성화된 궤양이 병징을 보일 것으로 Maryblyt가 예측한 날은 대략 중부지방 기준 5월 중순이었는데 이때부터 현장에서 궤양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권장하였다. 천안, 이천, 상주, 나주 등 4곳의 배 과수원에 설치한 영상자료로부터 배 개화기간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과 실제 관측한 값의 차이점을 비교한 결과 남부지방은 이론치나 실측치보다 늘 빠르게 개화를 예측하므로 재조정이 필요하였다. 향후 현장 관리자와 농민들로부터 과원에서 관측한 기상, 기주인 과수, 병징 출현일 등의 정보들이 축적된다면 발병 예측 모델은 현재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미 줄기에 발생하는 식물병의 종류 및 증상 (Plant Diseases Occurring on Rose Stem)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서상태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65-68
    • /
    • 2006
  • 장미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화훼작물로서 최근에 양액재배 및 토양재배 되는 장미에서 발생하는 줄기마름증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미의 가지나 줄기가 말라죽는 증상은 크게 4 가지 병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 Coniothyrium fuckelii에 의한 가지 마름병,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탄저병, 그리고 Pythium sp. 에 의한 뿌리썩음병이었다. 이들 병의 진단과 방제에 도움이 되고자 병 증상과 병원균의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 Lee, Dong-Hyuk;Lee, Soon-Won;Choi, Kyung-Hee;Kim, Dong-A;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75-380
    • /
    • 2006
  • In the survey from 1992 to 2000, twenty-eight parasitic diseases were observed in major apple producing areas in Korea. The predominant apple diseases were white rot(Botryosphaeria dothidea), Marssonina blotch(Marssonina mali), Valsa canker(Valsa ceratosperma),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mali), and bitter rot(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Apple scab that reappeared in 1990 after disappearance for 15 years was disappeared again since 1997. A viroid disease(caused by apple scar skin viroid) was newly found in this survey. The five diseases, fire blight(Erwinia amylovora), black rot(Botryosphaeria obtusa), scab(Cladosporium carpophilum), Monochaetia twig blight(Monochaetia sp.), and brown leaf spot(Hendersonia mali), which had once described in 1928 but no further reports on their occurrence, were not found in this survey. However, blossom blight(Monilinia mali), brown rot(Monilinia fructigena), and pink rot(Trichothecium roseum), which did not occur on apple after mid 1970s, were found in this survey.

키위 잎 주요 병 진단 및 방제 (Diagnosis and Control of Major Leaf Diseases on Kiwifruit in Korea)

  • 김경희;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키위나무 잎에는 궤양병과 세균성점무늬병처럼 세균에 의한 병과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과실곰보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형태 점무늬병 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키위나무잎에 발생하는 피해를 주는 주요 병에 대하여 병징과 발생특성을 요약하고 지난 30년간 수행한 연구 업적과 현장 경험 그리고 세계적인 주요 연구 산물들을 기초로 하여 키위나무 잎에 발생하는 주요 병에 의한 피해를 경감할 수 있도록 농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Diseases Severity, Genetic Variation, and Pathogenicity of Ceratocystis Wilt on Lansium domesticum in South Sumatra, Indonesia

  • Muslim, Ahmad;Pratama, Rahmat;Suwandi, Suwandi;Hamidson, Harm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131-145
    • /
    • 2022
  • Ceratocystis wilt disease has caused significant mortality in duku (Lansium domesticum) since 2014 and has now spread to all districts in South Sumatra, Indonesia. Recently, 16 isolates from duku representing populations from various districts in South Sumatra were isolated. Analysis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solate showed that the population has a uniform morphology. Genetic analysis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β-tubulin sequences verified that the population has being dominated by the ITS5 haplotype of Ceratocystis fimbriata and a new ITS group, the ITS7b haplotype that was localized in Musi Banyuasin. Both haplotypes were highly pathogenic to duku. Inoculation tests on various forest and agroforestry plant hosts showed that both haplotypes were highly pathogenic to Acacia mangium, moderately pathogenic to Acacia carsicarpa, Eucalyptus urophylla, and Melaleuca cajuputi, but weakly pathogenic to Dyera costulata, Hevea brasiliensis, and Alstonia scholaris. Therefore, this pathogen becomes a serious threat to Indonesia's biodiversity due to its ability to infect forest and agroforestry plants, especially the indigenous ones.

감마선에 의한 감귤 궤양병균의 불활성화와 감귤 궤양병 감염에 미치는 영향 (Inactivation of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and Effect on Infection of Citrus Canker by Gamma Irradiation)

  • 김경남;송민아;한상헌;송성준;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83-288
    • /
    • 2014
  • 감귤 궤양병은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서 많은 나라에서 이 병에 대해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methyl bromide의 검역 시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감마선을 이용한 농수축산물에 대한 살균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탁액 형태의 감귤 궤양병균과 생과실 과피에 존재하는 감귤 궤양병균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감마선의 선량을 알아보았다. 미생물의 밀도를 90% 감소시키는 선량인 감귤 궤양병균의 $D_{10}$ value는 현탁액과 감귤 생과실 과피에서 각각 55와 28 Gy였다. 또한 감마선을 처리한 감귤 궤양병균 현탁액을 감귤 잎에 접종하였더니 병 발생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마선 처리에 의해 감귤 생과실에 존재하는 감귤 궤양병균을 박멸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감마선을 검역에 활용하는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 분리된 Streptomycin 저항성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균주에서 rpsL 유전자의 돌연변이 (Mutation of rpsL Gene in Streptomycin-Resistant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Strains Isolated from Korea)

  • 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28권1호
    • /
    • pp.26-31
    • /
    • 2022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는 키위에 세균성 궤양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Psa 균주는 유전적 및 생화학적 특징에 따라 5개의 biovar로 나누어진다. 그중 biovar 2와 3이 국내에서 발견되어 광범위한 피해를 주고 있다. Psa를 방제하는 효율적인 방법 중 한가지는 streptomycin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는 균주가 국내에서 분리되었고, 선행 연구에서 biovar 2 균주의 저항성이 strA-strB 유전자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Psa biovar 3 균주에서 streptomycin 저항성의 분자적 기작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실에서 선발된 streptomycin 저항성 균주의 리보솜 단백질 S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rpsL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43번째 또는 88번째 코돈에서 자연발생적 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두 곳의 키위 과수원에서 분리된 4개의 streptomycin 저항성 biovar 3 균주에서는 민감성 균주에서 AAA인 rpsL의 코돈 43이 AGA로 단일 염기 치환이 일어났고, 이는 아미노산을 lysine에서 arginine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국내에서 발견된 biovar 3 균주 모두의 저항성 기작은 rpsL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기인하였다.

호도나무 줄기와 가지의 병원균(病原菌) 삼종(三種)의 동정(同定)과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구명(究明) (Identification of Three Fungi Associated with Stem and Twig Diseases of Juglans sinensis in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ir Growth)

  • 이명옥;이영희;조원대;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91-199
    • /
    • 1992
  • 본(本) 실험(實驗)의 목적(目的)은 천원(天原), 영동(永東), 괴산(塊山)에서 재배(栽培)하고 있는 호두나무(Juglans sinensis Dode)에 가지마름과 고사(枯死)를 일으키는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하여 동정(同定)하고 이들 병원균(病原菌)의 병원성(病原性) 및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 발병율(發病率) 등(等)을 조사(調査)하는 것이었다.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의 균학적(菌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이들균(菌)은 Botryosphaeria dothidea (Mou g. ex Fries) Casati et de Notaris(가지마름병(病)), Phomopsis albobestita Fairman (Phomopsis 가지마름병(病)), Melanconis juglandis (Ellis et Everhart) Graves(검은 돌기 가지마름병(病))로 동정(同定)되었다. 온실내(溫室內)에서 이들균(菌)의 병원성(病原性)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2년생(年生) 호도나무 묘목(苗木)에서 병원성(病原性)이 입증(立證)되었다,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B. dothidea와 P. albobestita는 $25{\sim}30^{\circ}C$ 사이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 하였으며, M. juglandis는 $20{\sim}25^{\circ}C$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으며 세 가지 균(菌)모두 $4^{\circ}C$$40^{\circ}C$에서는 생장(生長)하지 않았다. 분리(分離)된 세 균(菌)의 생육(生育)은 배지(培地)에 따라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육최적(生育最適) pH는 B. dothidea와 M. juglandis의 경우 4.0~8.0의 범위(範圍)이며 P. albobestita의 경우(境遇) 4.0~5.0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B. dothidea의 경우(境遇) 탄소원(炭素源)으로는 glucose, sucrose, starch 및 maltose을, 질소원(窒素源)으로는 histidine과 potassium nitrat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다. P. albobestita의 경우(境遇)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 와 sucrose를 질소원(窒素源)으로 alanine과 potassium nitrate를 함유(含有)한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으며 M. juglandis는 glucose, sucrose, potassium nitrat, 함유(含有)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다. 주요 호도나무 재배지역(栽培地域)에서 발병(發病) 상황(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조사지역(調査地域) 모두에서 P. albobestita에 의한 피해(被害)가 가장 심하였으며, 15년생(年生) 이상(以上)된 수목(樹木)이 어린나무보다 더 피해(被害)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ranscriptional Changes of Plant Defense-Related Genes in Response to Clavibacter Infection in Pepper and Tomato

  • Hwang, In Sun;Oh, Eom-Ji;Oh, Chang-Si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5호
    • /
    • pp.450-458
    • /
    • 2020
  • Pepper and tomato plants infected with two Clavibacter species, C. capsici and C. michiganensis have shown different patterns of disease development depending on their virulence. Here, we investigated how pepper and tomato plants respond to infection by the high-virulent or low-virulent Clavibacter strains. For this, we chose two strains of each Clavibacter species to show different virulence level in the host plants. Although low-virulent strains showed less disease symptoms, they grew almost the same level as the high-virulent strains in both plants. To further examine the response of host plants to Clavibacter infection, we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plant defense-related genes in the leaves inocula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C. capsici and C. michiganensis. Pepper plants infected with high-virulent C. capsici strain highly induced the expression of CaPR1, CaDEF, CaPR4b, CaPR10, and CaLOX1 at 5 days after inoculation (dai), but their expression was much less in low-virulent Clavibacter infection. Expression of CaSAR8.2 was induced at 2 dai, regardless of virulence level. Expression of GluA, Pin2, and PR2 in tomato plants infected with high-virulent C. michiganensis were much higher at 5 dai, compared with mock or low-virulent strain. Expression of PR1a, Osmotin-like, Chitinase, and Chitinase class 2 was increased, regardless of virulence level. Expression of LoxA gene was not affected by Clavibacter inocul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lavibacter infection promotes induction of certain defense-related genes in host plants and that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ose genes by low-virulent Clavibacter infection might be affected by their endophytic lifestyle in plants.